• Title/Summary/Keyword: 운항 성능

Search Result 4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자율운항선박 CBM 보조기기 및 배관 상태 모니터링 및 고장 진단 SW 연구

  • 김미나;박순호;서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12-213
    • /
    • 2021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중 2세부(자율운항선박 핵심 기관시스템 성능 모니터링 및 고장예측 진단 기술 개발) 과제는 자율운항선박의 추진 및 전력 생산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계측 데이터 기반의 고장 진단/예측을 수행하고 장애 발생 시 원격 지원체계를 통해 체계적/전문적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이 없이 자율적으로 운항도 하지만, 핵심장비/기자재에 대해서도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여 고장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선박 기관시스템은 선박 운항의 안전과 정시 입·출항에 핵심이 되는 장비/기자재로써 자율운항선박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 핵심장비 중 보조기기 2종(Pump, Purifier), 배관(Seawater Pipe, Steam Pipe)의 성능 모니터링 및 고장예측/진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제어를 위한 충돌위험 및 이상항적 식별 기술 개발

  • 최진우;박정홍;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8-189
    • /
    • 2023
  • IMO가 정의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의 자율도는 4단계로 구분되며, 완전 무인선박인 4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단계에서는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육상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진행 중인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원격제어를 위한 비상상황인식 기술 개발에 대해 소개한다. 육상의 원격제어가 수행되어야 하는 비상상황에 대한 식별을 위해, 항적 정보를 이용한 타선 항로예측 기반의 충돌위험영역식별을 수행한다. 또한, 타선의 항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율운항선박 운항 영역에 존재하는 현재의 선박에 대한 이상학적 식별을 수행한다. 제안된 기술은 울산 성능실증센터 및 자율운항선박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에서의 기능 및 성능 검증을 위해 준비중이다.

  • PDF

Design of Scenario Manager for Simulation-based Testbed for Autonomous Ship (자율운항선박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S-TAS) 시나리오 매니저 설계)

  • Seunghyeon Lim;Dong-Ham Kim;Sangwoong Yun;Dong Jin Y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63-264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자율운항선박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자율운항선박 관련 개발 기술에 대한 시험평가 기술의 개발도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율운항선박 관련 개발 기술에 대한 시험평가와 관련하여 현재 다부처사업으로 진행 중인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에서는 자율운항선박에 탑재되는 장비 또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Simulation-based testbed for autonomous ship, S-TAS)를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의 활용을 위하여 자율운항시스템 구성요소 중 안전운항시스템과 경제운항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시나리오 운용기능을 설계하였으며, 향후 개발되는 자율운항시스템을 위한 시나리오 운용 기술의 개발 및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PDF

Introduction of Testbed Vessel for MASS Technologies (자율운항선박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 개발 및 운용)

  • Songman Jeon;Seunghyeon Lim;Dongwon Han;Hae-Seong Ahn;Geun-Tae Y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36-337
    • /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의 상용화를 위하여 개발되는 요소 및 통합기술의 성능시험과 실증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테스트베드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서 개발되는 기술의 성능검증을 위하여 울산시 고늘지구 인근에 성능실증센터가 구축되고 있으며, 성능실증센터는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를 비롯한 육상테스트베드와 시험해역과 시험선을 포함한 해상테스트베드로 구성된다.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자율운항기술의 해상 실증 및 성능시험을 고려하여 건조되었으며, 본 논문을 통해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의 기능과 구성요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실해역 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

  • Jeong, Se-Yong;An, Gyeong-Su;Yang, Jin-Ho;Jo, Chu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66-68
    • /
    • 2015
  •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은 실해역 속도 성능 예측방법에서의 선택 근거확보와 정확도 평가를 위한 효과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성능검증에 있어서 동일한 선박에 대한 다양한 대안 항로에서의 동시성능계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과를 직접 비교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적인 절차를 제안하였고, 시스템의 내부 분석코드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절차는 1) 계산의 근거 인기상 정보의 정확성 검증, 2) 실제 항로에서의 성능예측계산의 신뢰성 확인, 3)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방법을 이용한 최적항로선택, 4) 실제 항로와 최적항로의 연료 효율성 비교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대상 선박은 폴라리스쉬핑의 솔라돌핀호(208k BC)이며 실선 운항 데이터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직접 계측하였다. 그 결과 호주-한국 항차에서 최적항로를 항해할 경우 약 6.0%의 연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선박성능과 기관성능의 예측 프로그램

  • 안시영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4
    • /
    • pp.22-25
    • /
    • 1994
  • 선체성능, 선박운항성능 및 기관성능의 현황파악과 예측을 하는 것은 선박설계자, 선박운항자 및 선박관리운영자에게 설계, 보선관리 및 용역관리상 대단히 중요하다. 선체성능의 전산원용예측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모형수조시험 및 공시해상시험의 자료를 수식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자료의 수식화, 예측된 자료와 성능시험결과치의 상관기법 및 PC soft ware를 이용한 선박성능예측의 체계적 접근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선박의 Abstract Log Book의 자료 및 주기관 성능자료의 수식화, PC soft ware 개발에 의한 선박운 항성능 및 기관성능예측에 대한 연구가 역시 수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에서는 선체 성능(저항과 추진계수), 선박운항성능 및 주기관성능의 예측에 관하여 그 개요를 소개코져 한다.

  • PDF

Autonomous flight Algorithm Design (자율형 운항 알고리즘 설계 연구)

  • Lee, Dae-Yong;Kang, Ja-You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1
    • /
    • pp.122-130
    • /
    • 2012
  • Airborne separation assurance is a key requirement for Free Flight. This paper is to propose autonomous flight algorithm, such as extended authority of delegation, efficiency of airspace issue to deal with the empirical solution for free flight, and to measure flight efficiency and conflict detection and resolution (CD&R) by utilizing flight performance data under the two circumstances of scenario with the modeling of proposed algorithm and potential field algorithm. The results show that the autonomous flight algorithm is superior to the potential field algorithm under the circumstances of free flight airspace in terms of algorithm performance, CD&R, and flight efficiency.

A Study on the Flight Test of Airplane Changgong-91 for Korea MOT Type Certification (교통부 형식 증명 획득을 위한 창공-91 비행 시험 수행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Chul;Lee, Jung-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1
    • /
    • pp.81-93
    • /
    • 1993
  • 창공-91의 비행 시험의 목적은 성능 측정과 비행 특성의 확인이며 교통부의 기준은 주로 비행기의 운항에 따르는 안정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비행 시험으로 실속 속도와 이착륙 성능 그리고 상승 성능을 측정하여 비행 교범에 수록하였고, 안정성과 조종성의 적절함을 판단하였다. 창공-91 A2기의 비행 시험에 소요된 비행 시간은 81. 5 시간이다. (창공-91 $A_1$기 : 52.8시간)

  • PDF

Efficient Pattern Creation of Rostering in Short-haul Routes (단거리 운항에서 로스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패턴 생성)

  • Lee, Ju-Ho;Jo, Yeong-Rae;Lee,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5-229
    • /
    • 2005
  • 항공기 운항 승무원의 로스터링 문제에서 패턴 생성은 승무원의 효율적인 운항스케줄 생성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패턴 생성을 다음의 두 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단위운항구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 단위운항구간에 대한 부분 집합 패턴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패턴을 제외한 단위운항구간의 집합에 대해서 목적함수의 가중치와 비용함수를 적절히 적용한 집합 분할 모형을 사용하여 부분최적해 집합을 구하였다. 결과적으로, 항공 운항 승무원의 로스터링을 위한 성능이 우수한 실행 가능한 패턴을 생성하였다.

  • PDF

A Hidden Markov Model Framework for Aircraft Taxi Mode Inference (은닉 마르코프 모형을 이용한 항공기 지상이동 운항모드 추정 방법 연구)

  • Hong, Seong-Gwon;Jeon, Dae-Geun;Eun, Yeon-Ju;Kim, Hyeon-Gyeong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191-1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공항 지상 감시 장비(ASDE: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지상이동 운항모드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항공기의 운항모드와 그에 따라 관측되는 속도 및 가속도를 확률 변수로 정의함으로써, 확률적 추정방법을 통해 운항모드를 추정하였다. 운항모드를 추정하기 위한 모형으로서는 은닉 마르코프 모형(HMM: 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실제 ASDE 데이터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