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항자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Job Stress of Airline flight crew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Hyeon-Deok;Song, Byeong-Heum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55-63
    • /
    • 2016
  • 항공사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항공사 운항승무원을 제외한 객실승무원이나 기타 항공사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본 연구는 항공기의 운항에 있어서 최종 의사결정자라고 할 수 있는 조종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연구함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운항승무원의 이직증가에 따른 문제를 인식하여 운항승무원이 조직에서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조직몰입,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조직 관리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조종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관리하여 업무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개인의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상용화에 따른 해양경찰관련 법령 개선 방안 - 해양경찰청 소관 법령 중심으로 -

  • 장우태;박현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69-170
    • /
    • 2023
  • 사물인터넷(loT),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자율운항선박(MASS)의 개발이 유럽(독일,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노르웨이 등), 미국, 일본, 중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통산자원부는 2022년 11월 3일 자율운항에 필요한 항해·기관 자동화 시스템 등의 핵실기술 개발과 자율운항 해상 시험선 실증을 수행하는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를 준공하여 미래 해운산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양주권 수호, 수색·구조, 해상질서유지, 해양범죄예방·수사, 해양오염방제 등 바다에서의 수호자 역할을 수행하는 해양경찰의 변화는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이에 국내·외 서적, 연구논문, 보고서, 언론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자율운항선박 등 미래발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해양경찰의 개선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creasing Fatigue of Officer During Ship Navigation (선박운항중 항해자의 피로도 증가에 관한 연구)

  • Yang, Young-Hoon;Jang, Jun-Hyuk;Bae, Yong-Gi;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4-15
    • /
    • 2018
  • 선박운항중 항해자의 피로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선박운항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해자의 신체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천항에 입항하는 상황에서 도선사 및 선장 총 12명을 대상으로 플리커(Flicker) 장비를 이용한 시각 피로 변화, 자율신경검사 분석 장비를 이용한 스트레스 및 누적 피로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 PDF

선박성능과 기관성능의 예측 프로그램

  • 안시영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4
    • /
    • pp.22-25
    • /
    • 1994
  • 선체성능, 선박운항성능 및 기관성능의 현황파악과 예측을 하는 것은 선박설계자, 선박운항자 및 선박관리운영자에게 설계, 보선관리 및 용역관리상 대단히 중요하다. 선체성능의 전산원용예측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모형수조시험 및 공시해상시험의 자료를 수식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자료의 수식화, 예측된 자료와 성능시험결과치의 상관기법 및 PC soft ware를 이용한 선박성능예측의 체계적 접근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선박의 Abstract Log Book의 자료 및 주기관 성능자료의 수식화, PC soft ware 개발에 의한 선박운 항성능 및 기관성능예측에 대한 연구가 역시 수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에서는 선체 성능(저항과 추진계수), 선박운항성능 및 주기관성능의 예측에 관하여 그 개요를 소개코져 한다.

  • PDF

Design of Monitoring System for Managing Officer's Operation with Supporting of Nautical Safety (선박 안전운항 지원을 위한 승무원 운용상황 감시 시스템의 설계)

  • Kim, Ok-Soo;Lee, Myung-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7
    • /
    • pp.1335-1343
    • /
    • 2012
  • Although navigation systems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technologies are in use for nautical safety of ocean vessels, ship collisions are increasing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overseas transportations. Since these accidents are mostly caused by the watch officers and crews' human mistake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new set of systems to prevent such misfortunes. Therefore, we suggest a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which monitors crews in order to conduct secure on-board navigation and nautical safety. We also materialized a mobile terminal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the crews to check the status of the ship, and we designed a platform for an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to assure a harmless voyage. Lastly, we attested the mutual connections of integrated safety-related data.

Analysis of the Prediction of Operation Processes based on Mode of Operation for Ships: Applying Delphi method

  • HyeRi Park;JeongMi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10
    • /
    • pp.267-275
    • /
    • 2023
  •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hipbuilding, shipping, and logistics sectors is predicted to lead to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ships and changes in the way ships are operated. The co-existence of various operation forms, such as autonomous operation and remote operation, with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s is expected to lea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hip operation process and the emergence of new stakeholders. This paper studies the future ship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hange in ship operation method, predicts the change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future ships, and derives functional requirements by major tasks and stakeholders. The Delphi technique is applied to construct a ship operation scenario from the planning stage of voyage and cargo transport to the stage of arrival at the final destination port and discharge of cargo, and to predict future work changes by task and actor. Seafarers' activities are expected to be minimised by remote and autonomous operation, and experts in each field are expected to have responsibilities and tasks in different aspects of ship operation.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위한 해양파 가시화 요소 분석

  • Park, Se-Gil;O, Jae-Yong;Yang, Yeong-Hun;Kim, Hye-Jin;Lee, Yeong-Ju;Kim, A-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22-124
    • /
    • 2012
  •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시스템은 체험자가 실제 선박을 운항하는 것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선원의 교육 및 해상교통 안전진단 등에 활용된다. 이러한 활용 목적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통제 및 운용 공간을 비롯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등 여러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구성되는데, 공간 및 하드웨어. G.UI 기반의 소프트웨어 등은 실선박과 거의 흡사하게 제작되고 있는 반면 3차원 영상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는 몰입감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선박운항 시뮬레이터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해양파 묘사에 있어서는 더욱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표를 통해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위한 여러 해양파 가시화 요소들을 분석해 보고 몰입감 있는 해양파 가시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Ulsan-Port safety management solution & virtual-reality simulation with 5G and water drone (5G 및 수상드론을 통한 울산항 안전운항 관리 솔루션 및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 Kim, Seongyeon;Kim, Yeonjin;Kim, Jeongsu;Hwang, Jhunho;Kim,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118-1121
    • /
    • 2020
  • 전체 해양 사고 원인 중 선박 운항 부주의가 34%로 사고 발생 원인 중 대다수를 차지한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박 운항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운항 교육 및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해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울산항만을 현실적으로 반영한 가상현실 시물레이션 및 5g 수상드론을 이용한 운항 교육 시스템과 모든 선박들이 사용가능한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연구하고 이를 울산 항만에 제공한다.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 발생하는 선박 조종 특성에 대한 분석

  • 전주영;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7-138
    • /
    • 2022
  •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규정하는 자율도 레벨(Degree of autonomy)의 Degree four에 해당하는 자율운항선박 개발까지 진행되는 가운데, 우리가 연구하고 있는 원격제어는 Degree two에서부터 필요한 주요 개발되어야 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원격지에서 운항자가 원격제어시 발생되는 지연 상황에 대해 파악하였고 그중 선박 조종 특성에 의한 지연을 확인하였다. 추후 선박 조종에 영향을 주는 바람, 파고 등의 인자를 추가하여 보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 PDF

Intelligent safe operation system using big data of marine risk (해양위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안전운항 시스템)

  • Sung-Jun Byun;Seung-Woo Han;Seon-Gu Lee;Jeong-Mi Kim;Su-Yeon Hwang;Chang-Hwa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14-1115
    • /
    • 2023
  • 이 논문은 해양 안전 및 보트 운항 훈련을 위한 소형선박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다룬다. 시뮬레이터는 자유 운항, 시험 모드 운항, 초급자 훈련 모드 운항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실력과 선호도에 따라 맞춤 교육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보트 운항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접근 가능한 학습 도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