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자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Driver-vehicle Interface for Cooperative Driving (협력운전을 위한 운전자-차량 인터페이스 연구)

  • Yang, In-Beom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5
    • /
    • pp.27-33
    • /
    • 2019
  • Various technical and societal approaches are being made to realize the auto driving (AD) and cooperative driving (CD) includ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extended advanced driver support system is under development. In CD, it is important to share the roles of the driver and the system a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so a efficient interface scheme between the driver and the vehicle is required.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including driver, system and driv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role and function of driver and system in CD. An efficient interfa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vehicle to cope with various driving situations on the CD using the analysis of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research model is also propo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interface scheme could contribute to CD system design, cockpit module development and interface device develop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of the Around View system for Drivers' Convenience (운전자의 편의성을 위한 어라운드 뷰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 Cheon, Sang-Gyu;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92-495
    • /
    • 2013
  • 최근 자동차의 수요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전에 대한 요구와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현재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시스템으로 AVM(Around View Monitoring) 기술이 개발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외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AVM(Around View Monitoring) 기술을 조금 더 실용적이고 편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상이 보이는 화면에 다양한 버튼들을 구현하였으며, 화면상에 보이는 버튼에 따라서 4채널 영상과 4채널 영상을 하나로 정합되어 보여주는 영상 그리고 원본영상과 왜곡영상을 따로 보여주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버튼 식으로 구현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영상을 상황에 맞게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Augmented Driving System (ADS) Technology Development for Useful Driving Information (운전자 정보 극대화를 위한 Augmented Driving System (ADS) 기술에 관한 연구)

  • Yang, Seung-Hun;Kim, Dong-Joong;Kim, Han-Ul;Lee, Su-Min;Hwang, Ji-Hwan;Kim, Byu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36-83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영상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도로 정보를 검출해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버튼을 직접 손으로 눌러야 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대체할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술은 카메라 한대에서 입력 받은 영상 정보를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앞차와의 거리, 차선, 교통 표지판을 검출하고 차량 내부를 주시하는 카메라와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할 마이크를 기반으로 음성인식과 동작 인식이 결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기술을 통해 설제 테스트를 실시해 본 결과 표지판인식, 차선검출, 앞차와의 거리 검출 등의 인식률이 약 90% 이상이었으며, 이러한 기술적 요소들은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 등에서도 적절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교통사고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HMI(Human-Marchine Interface) Assessment System and Derivation of Design Variables for Vehicle Navigation System (자동차 항법장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평가시스템 개발 및 설계 변수 추출에 관한 연구)

  • Cha, Du-Won;Lee, Je-Geun;Park, Beom;Lee,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2
    • /
    • pp.35-48
    • /
    • 1997
  • 항법장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는 운전자의 편안함과 안전, 수행도 및 시스템의 사용성, 도로, 안전의 향상 등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 다. 그러므로 항법장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체계가 운전자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 적인 항법장치의 시장성 확보와 첨단교통체계의 전개와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술 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표준의 연구 및 제정의 노력으로 인해 항법장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설계 및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효율적인 평가 방법의 개발이며, 이들의 데이터베이스화 역시 설계 및 평가 효율향상을 위한 기본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연구과제이다. 본 논문은 기존 항법장치 인간공학적 평가 방법들의 비교 평가를 통해서 적합한 항법장치의 평가방법론과 추출된 항법장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설 계 변수를 제시하며, 이들을 가이드라인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된 Navi HEGS(Navigation HMI Evaluation & Guideline System)에 대하여 기술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된 주관적 평가 방법인 RNASA-TLX(Revision of NASA-Task Load Index)와 운전자의 시각분석의 결과를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 제시하며, 이들을 통해 국내 항법장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연구의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ystem for Human-Vehicle Interface System Development (운전자 정보제공 Human-Vehicle 인터페이스 시스템)

  • Choi, Jongwoo;Kim, K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576-578
    • /
    • 2010
  • 운전자 정보제공 HVI(Human-Vehicle Interface)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보다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요즘에는 다양한 정보기기가 등장하면서 운전 중에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고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기기들이 통합되지 않음으로 인해 조작에 불편을 주고 때로는 유용한 정보가 운전에 방해를 주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에게 정보제공을 위한 HVI 통합 시스템을 설계하여 다양한 정보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운전 중에 운전자의 동작을 최소화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한다.

Design of an Embedded Integrated Model for Human-Vehicle Interaction (인간-차량 상호작용을 위한 임베디드 기반 통합 모델 설계)

  • Park, Seung Hyeon;Yang,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94-1795
    • /
    • 2015
  • 현재의 자동차는 운전자에게 안정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자동차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넘어 인간 중심의 인간-차량 인터페이스로 발전함에 따라서 차량의 전체 시스템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운전자가 운전함에 있어 사용하고 있는 운전자의 음성, 신체 동작, 생체 신호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가 기반이 되는 통합 모델을 통해서 지능화, 복합 체계화된 지능형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간-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 Driving Information Centric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 기반의 운전자 중심 정보처리 기술 개발)

  • Yang, Seung-Hoon;Hong, Gwang-Soo;Kim, Byung-Gyu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6
    • /
    • pp.31-37
    • /
    • 2012
  • Today, the core technology of an automobile is becoming to IT-based convergence system technology. To cope with many kinds of situations and provide the convenience for drivers, various IT technologies are being integrated into automobil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convergence system, which is called Augmented Driving System (ADS), to provide high safety and convenience of drivers based o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From imaging sensor, the image data is acquisited and processed to give distance from the front car, lane, and traffic sign panel by the proposed methods. Also, a converged interface technology with camera for gesture recognition and microphone for speech recognition is provided. Based on this kind of system technology, car accident will be decreased although drivers could not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s, since the system can recognize situation or user context to give attention to the front view. Through the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s achieved over 90% of recognition in terms of traffic sign detection, lane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 from the front car.

이중 과업하의 모의운전에서 표면 뇌전위를 이용한 운전피로의 진단에 관한 연구 : 운전자 행동모형과 뇌파 인터페이스의 응용 가능성

  • 어홍준;윤명환;정민근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2
    • /
    • pp.52-62
    • /
    • 2004
  • 일반적으로 피로한 운전자들은 집중하지 못하거나 조작상의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정보처리 속도와 기억용량이 줄어들며, 작업 수행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고 한다[1]. 기존의 사고 통계 자료나 조사 보고서에서도 운전자 피로가 자동차 사고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2, 3].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Interface of Car Around View Systems (차량용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비교분석)

  • Sung, Gi-Dong;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77-480
    • /
    • 2013
  • 어라운드 뷰 시스템은 승용차의 앞뒤와 좌우 사이드 미러 하단에 1개씩 4개의 카메라를 이용해, 내비게이션 화면에 마치 차를 위에서 찍은 듯한 화면을 만들어 주는 기술이다. 최근 차량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전에 대한 요구와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현재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시스템으로 AVM(Around View Monitoring)기술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어라운드 뷰 시스템들마다 인터페이스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각 시스템들마다 비교분석하여 장점들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각 인터페이스들의 장점들을 종합하여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 PDF

Dialing Interface Design for Safe Driving using Hand Gesture (손동작을 이용한 운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전화 다이얼 인터페이스 설계)

  • Jang, WonAng;Lee, Do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449-452
    • /
    • 2012
  • 운전 중에 주의를 분산시키는 요소는 대부분 인터페이스 조작에 있으며 교통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스마트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전자 안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모색되고 있다. 순간의 시선이동으로 인해 판단력과 조작능력을 상실 할 수 있는 현재의 인터페이스는 안전성이 보장 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요소로 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차량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동작을 인식하여 직관적인 제스처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안전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직관적 동작과 TTS(Text To Speech)를 활용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