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자 보조 시스템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차량의 자동주행을 위한 목표물 추적 알고리듬: AIMM-UKF

  • 김용식;홍금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6-166
    • /
    • 2004
  • 운전자 보조시스템에는 적응순항제어 (adaptive cruise control), 차선변경 (lane change), 충돌경고 (collision warning), 충돌회피 (collision avoidance), 및 자동주차 (automatic parking) 등이 있다. 이런 운전자 보조시스템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고 안전을 위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이나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간의 안전거리론 유지하고 자동차가 일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운전자 보조시스템의 효율은 센서들로부터 얻어진 정보의 해석에 달려있다.(중략)

  • PDF

안전 운전 보조시스템의 제작과 기초측정 실험

  • Kim, In-Kyung;Ryu, Jeo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0-195
    • /
    • 2009
  • 자동차 이용자 수가 증가 할수록 자동차 사고로 인한 피해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상태 및 현재 차량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를 미리 방지함으로서 운전자의 안전을 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운전을 보조하기 위하여 졸음운전 여부 감지 시스템, 후진시 후방 안전거리를 감지하는 시스템, 쾌적한 운전 환경을 위한 실내 환경 측정 시스템, 주차 시 생길 수 있는 사고에 대한 감시시스템을 센서와 MCU등을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 PDF

Advanced Navigation System using Soft-Computing (소프트 컴퓨팅을 이용한 진보된 네비게이션 시스템)

  • Ju, Yeong-Jin;Choe, U-Gyeong;Kim, Seong-Hyeon;Jun,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87-90
    • /
    • 2006
  • 생활의 일부라 할 수 있는 교통시스템은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내비게이션, 텔레메틱스 와 같은 다양한 보조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개별화된 특성을 반영하지 않으며,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치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화되고 사용자 중심적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제안하며, 어떠한 정보가 이에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또한 이런 정보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 컴퓨팅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ntelligent Driver Assistance System Using Soft-Computing (소프트 컴퓨팅을 적용한 지능화된 운전자 보조 시스템)

  • Joo, Young-Jin;Choi, Woo-Kyung;Kim, Seong-Ju;Ha, Sang-Hyung;Jeon, Hong-Tae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761-762
    • /
    • 2006
  • 생활의 일부라 할 수 있는 교통시스템은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내비게이션, 텔레메틱스와 같은 다양한 보조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개별화된 특성을 반영하지 않으며,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치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화되고 사용자 중심적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제안하며, 어떠한 정보가 이에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또한 이런 정보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 컴퓨팅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of the Around View system for Drivers' Convenience (운전자의 편의성을 위한 어라운드 뷰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 Cheon, Sang-Gyu;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92-495
    • /
    • 2013
  • 최근 자동차의 수요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전에 대한 요구와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현재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시스템으로 AVM(Around View Monitoring) 기술이 개발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외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AVM(Around View Monitoring) 기술을 조금 더 실용적이고 편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상이 보이는 화면에 다양한 버튼들을 구현하였으며, 화면상에 보이는 버튼에 따라서 4채널 영상과 4채널 영상을 하나로 정합되어 보여주는 영상 그리고 원본영상과 왜곡영상을 따로 보여주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버튼 식으로 구현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영상을 상황에 맞게 제공한다.

  • PDF

Driving Condition based Dynamic Frame Skip Method for Processing Real-time Image Recognition Methods in Smart Driver Assistance Systems (스마트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서 영상인식기법의 실시간 처리를 위한 운전 상태 기반의 동적 프레임 제외 기법)

  • Son, Sanghyun;Jeon, Yongsu;Baek, Yunj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1
    • /
    • pp.54-62
    • /
    • 2018
  • According to evolution of technologies, many devices related to various applications were researched.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is a famous technique effected from the evolution. The technique of driver assistance uses image recognition methods to collect exactly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The computing power of driver assistance device has become more improved than in the past. However, it's difficult that processed various recognition methods at real-time. We propose new frame skip method to process various recognition methods at real-time in the limited hardware. In the previous researches, frame skip rate was set up static values, thus the number of processed frames through recognition methods was smaller. We set up the frame skip rate dynamically using a driving condition of vehicle through speed and acceleration value, in addition, the number of processed frames was maximized. The performance is improved more 32.5% than static frame skip method.

Detection Method of Straight Lines and Intersection Points through Combination of NMS and Hough Transform (NMS(Non-Maximum Suppression)와 허프변환을 결합한 직선 및 교점 검출 방법)

  • Cheon, Sweung-hwan;Seo, Sang-hyu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85-488
    • /
    • 2013
  • 최근 자동차 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교통사고 급증이 사회 문제화 되면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사고 원인의 70% 이상이 운전자 과실에 의해서 발생되고 전체 추돌사고의 75%가 시속 29km 이하의 속도에서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운전자의 인지 판단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자동 주차 시스템, AVM(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VM 시스템 중 원근 왜곡을 보정하는 단계에서 직선 및 교점을 검출할 때, NMS(Non-Maximum Suppression)를 적용한 허프 변환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Sub-Pixel을 이용한 직선 및 교점 검출 방법과 NMS을 적용한 허프 변환 방법을 사용한 직선 및 교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제안하는 NMS를 적용한 허프변환을 이용한 직선 및 교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AVM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검증한다.

  • PDF

Intelligent Driver Assistance Systems based on All-Around Sensing (전방향 환경인식에 기반한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

  • Kim Sam-Yong;Kang Geong-Kwan;Ryu Young-Woo;Oh Se-Young;Kim Kwang-Soo;Park Sang-Cheol;Kim Jin-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3 no.9 s.351
    • /
    • pp.49-59
    • /
    • 2006
  • DAS(Driver Assistance Systems) support the driver's decision making to increase safety and comfort by issuing the naming signals or even exert the active control in case of dangerous conditions. Most previous research and products intend to offer only a single warning service like the lane departure warning, collision warning, lane change assistance, etc. Although these functions elevate the driving safety and convenience to a certain degree, New type of DAS will be developed to integrate all the important functions with an efficient HMI (Human-Machine Interface) framework for various driving conditions. We propose an all-around sensing based on the integrated DAS that can also remove the blind spots using 2 cameras and 8 sonars, recognize the driving environment by lane and vehicle detection, construct a novel birds-eye HMI for easy comprehension. it can give proper warning in case of imminent danger.

A Study of Aggressive Driver Detection Combining Machine Learning Model and Questionnaire Approaches (기계학습 모델과 설문결과를 융합한 공격적 성향 운전자 탐색 연구)

  • Park, Kwi Woo;Park, Chansik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3
    • /
    • pp.361-370
    • /
    • 2017
  • In this paper,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questionnaire and machine learning based aggressive tendency measurements. this study is part of a aggressive driver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and questionnaire. To collect two types tendency from questionnaire and measurements system, we constructed experiments environments and acquired the data from 30 drivers. In experiment, the machine learning based aggressive tendency measurements system was designed using a driver behavior detection model. And the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ccelerate and brake position data and hidden markov model method through supervised learning. We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wo types tendency using Pearson method. The result was represented to high correlation. The results will be utilize for fusing questionnaire and machine learning. Furthermore, It is verified that the machine learning based aggressive tendency is unique to each driver. The aggressive tendency of driver will be utilized as measurements f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such as attention assist, driver identification and anti-theft system.

Development of a Vision-based Lane Change Assistance System for Safe Driving (안전주행을 위한 비전 기반의 차선변경보조시스템 개발)

  • Sung, Jun-Yong;Han, Min-Hong;Ro, Kw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5 s.43
    • /
    • pp.329-336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a lane change assistance system for the help of safe lane change, which detects vehicles approaching from the rear side by using a computer vision algorithm and notifies the possibility of safe lane change to a driver. In case a driver tries to lane change, the proposed system can detect vehicles and keep track of them. After detecting side lane lines, region of interest for vehicle detection is decided. For detection a vehicle, optical flow technique is applied.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system showed that the vehicle detection rate was 91% and the embedded system would have application to a lane change assistance system being commercialized in the near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