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요건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munication System Design Issues for Reactor Protection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원전 원자로보호계통 통신망 설계 방안)

  • 김창회;박주현;한재복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589-592
    • /
    • 2003
  • 원자로보호계통은 비정상운전으로부터 원자로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센서 신호를 감시하고, 그 값이 트립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원자로 트립 또는/및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 신호를 개시한다. 따라서, 원자로 보호계통은 4개의 채널로 구성되며, 각 채널간 및 채널내에서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원자로 트립신호와 운전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망은 실시간 및 결정론적 프로토콜을 만족해야 한다. 특히, 원자로 트립신호를 전송하는 안전등급 통신망은 채널간 격리 및 브로드 캐스팅(Broadcasting)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로보호계통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망 설계기준과 프로토콜 설계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 PDF

신형안전로 소개

  • 최영상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1
    • /
    • pp.40-47
    • /
    • 1989
  • 신형안전로 개발의 필요성을 설비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요약하면 첫 째는 설계개념이다. 즉 어떠한 설계개념을 채택하여야만 설비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중소형이 면서도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인가 하는 점이며, 둘째는 이러한 새로운 개념은 과연 원전의 안전성이 혁신적으로 개선된 것이며, 어디에나 용이하게 건설이 가능토록 부지요건이 완화된 것이며,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용이하게 운전가능토록 준 무인운전 수준의 편의성 확보가 가능 한가 하는 점이다. 셋째는 극히 소용량인 지역난방 원자로에서부터 대용량 발전 설비에 이르 기까지의 연계 개발 계획으로서 수요처별 수요 적응 특성 반영과 Modular Type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문제이다.

  • PDF

월성 원자력 2호기 건설사업 -추진 경위와 전망

  • 오재식
    • Nuclear industry
    • /
    • v.17 no.3 s.169
    • /
    • pp.4-9
    • /
    • 1997
  • 70만kW급 가압 중수로형 원전(CANDU-PHWR)으로 건설되고 있는 월성 원자력 2호기가 오는 6월의 상업 운전을 목전에 두고 있다. 월성 2호기가 준공되면, 우리 나라의 원전 설비 용량은 1천만kW를 돌파하게 된다. 한국전력공사의 종합사업 관리하에 건설 추진되어 온 월성 2호기는 충분한 운전 경험을 통해 그 안전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CANDU-600과 동일한 노형으로, 월성 1호기 건설 이후의 설비 개선과 최신 기술 기준 및 강화된 인허가 요건을 적용하여 발전소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고하였으며, 선행 호기의 건설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공정 계획을 수립$\cdot$추진하여 왔다. 그간의 건설 경위 등을 특징별로 살펴 본다.

  • PDF

Equipment Qualification of Class 1E Safety-Related Form Wound Electric Motor for Harsh Zone of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 가혹환경용 안전관련 고압유도전동기의 기기검증)

  • Kim, J.;Lee, I.W.;Oh, Y.J.;Choi, W.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c
    • /
    • pp.13-16
    • /
    • 2005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 관련된 기기는 원전의 정상상태 운전조건뿐만 아니라 원전의 설계기준사고 조건에서도 기기의 안전관련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음이 입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기기의 설치 환경은 원전의 설계기준사고조건(DBE))으로서 지진만이 고려되는 온화한 환경(mild zone)과 냉각재상실사고(LOCA) 주증기관파단사고(MSLB) 등과 같이 고온, 고압 등의 환경요건이 급격히 변화하는 가혹한 환경(harsh zone)으로 구별되므로 안전관련 기기의 검증 또한 이러한 환경요건에 따라 수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당사가 개발한 가혹환경용 안전관련 고압전동기의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가혹환경요건에 대한 기기의 검증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Reactor Control Method for Load Follow Operation of KNGR (KNGR의 부하추종 운전 제어)

  • Kim, Yong-Hee;Cha, Kun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c
    • /
    • pp.600-602
    • /
    • 1999
  • 원자력발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원자력발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의 부하추종운전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G7과제의 하나로 개발되고 있는 차세대원자로(KNGR, Korean Next Generation Reactor)는 경쟁력 있는 원전의 설계를 위하여 "일일부하추종운전 능력의 확보"를 기본 성능요건의 하나로 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으로 원자로출력분포를 제어하는 기존 원전의 제어방식으로는 상기목표를 충족시키기 어려워 원자로의 출력분포와 출력을 동시에 제어하는 새로운 자동 제어방식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 기술된 제어방법은 원자로 출력분포 상태에 따른 비선형 제어방법이 적용되며 목표출력 부근에서의 Oscillatory Behavior 방지를 위해 설정된 Deadband 내에서의 다른 상태변수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도 포함된다. 개발된 제어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원자로 증기공급계통 전체를 모델링한 성능분석 Simulator를 이용한 Numerical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일일부하추종운전은 100-50-100%P[$(10{\sim}16)-2-(10{\sim}4)-2$ hr] power cycle over a 24-hour period, 주파수제어는 일반적인 Grid Follow에 대해 Simulation하였다.

  • PDF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pherical Storage Tanks Supported by Inelastic Members and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Based on Reliability (비선형지지구조 저장탱크의 지진거동 특성과 신뢰도 기반의 성능기반 내진설계)

  • Jang jeong min;Sun chang ho;Kim ick hyun;Choi jeong 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7 no.4
    • /
    • pp.27-33
    • /
    • 2023
  • In a petrochemical plant, various mechanical equipments and structures are interconnected to ensure operability. Since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petrochemical plants have a grea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not only structural safety but also the operability of the facilities. However, the current seismic design standards present the design requirements of facilities mainly aimed at preventing collapse, and do not provide the requirements for securing operability of facilities. Depending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operability of the facility can be secured by seismic performance levels other than the collapse prevention level,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seismic design methods that can apply various seismic performance levels. Spherical (ball) storage tanks are supported by columns and braces and exhibit complex nonlinear behavior because of buckling and yielding of support members. In this study, nonlinear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a new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method was proposed based on them.

발전소의 사고 또는 비정상 조건으로 원자로용기내의 증기 또는 수소기체가 발생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설계 분석

  • 민경성;이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141-147
    • /
    • 1996
  • 1979년 3월 Three Mile Island 2 (TMI-2) 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자로용기내에 생성된 수소기체로 인하여 운전원은 원자로용기의 수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사고상태를 신속히 파악하지 못하였다. TMI 사고이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NRC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국내 모든 원전에서 사고 또는 비정상 조건이 발생할 경우에 원자로 용기 수위에 대하여 운전원이 신뢰성을 갖을 수 있는 후속조치를 수행토록 요구하였다. 또한 미국의 대표적인 전력연구소인 EFRI에서는 개량형 경수로 (Advanced Light Water Reactor : ALWR) 설계 요건으로 이러한 설계가 반영되도록 요건화 하였다.[1]. 본 논문에서는 2,825 MWt급 한국형 표준원전을 대상으로 EPRI에서 요구한 설계요건에 따라 TMI 2 발전소에서와 같은 사고로 인하여 수소기체가 발생했을 경우와 발전소가 비정상 상태로 인하여 증기가 발생했을 경우에, 이를 신속히 제거하여 운전원이 원자로용기의 수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방안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설계방안으로 원자로용기에 모인 증기 또는 수소기체를 계통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으며, 계통구성 기기중 유일하게 2상을 유지하고 있는 가압기로 배출시키고자 두 기기간에 연결관을 설치하는 방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원자로용기 상부해드와 가압기를 연결하는 방안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검토한 결과 한국형 표준원전에서는 연결관을 가압기 상부해드보다 4m 높게하여 원자로용기 상부해드와 연결하는 방안이 EPRI의 설계요건을 만족하면서 기존설계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적합한 설계방안으로 분석되었다.크다는 단점이 있다.TEX>$_2$O$_3$ 흡착제 제조시 TiO$_2$ 함량에 따른 Co$^{2+}$ 흡착량과 25$0^{\circ}C$의 고온에서 ZrO$_2$$Al_2$O$_3$의 표면에 생성된 코발트 화합물을 XPS와 EPMA로 부터 확인하였다.인을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오류의 시발점을 정확히 포착하여 동기가 분명한 수정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셋째, 음운 과 정의 분석 모델은 새로운 언어 학습시에 관련된 언어 상호간의 구조적 마찰을 설명해 줄 수 있다. 넷째, 불규칙적이며 종잡기 힘들고 단편적인 것으로만 보이던 중간언어도 일정한 체계 속에서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종전의 오류 분석에서는 지나치게 모국어의 영향만 강조하고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분히 추상적인 언급으로 끝났지만 이 분석을 통 해서 배경어, 목표어, 특히 중간규칙의 역할이 괄목할 만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오류분석 방법은 학습자의 모국어 및 관련 외국어의 음운규칙만 알면 어느 학습대상 외국어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다. 그렇다면 겹의문사를 [-wh]의리를 지 닌 의문사의 병렬로 분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누구누구를 [주구-이-ν가] [누구누구-이- ν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 PDF

수치해석을 이용한 화학제주입탱크의 주입시간 특성분석

  • 박병호;김은기;김유환;고용상;장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55-60
    • /
    • 1996
  • 원자력발전소 운전시 원자로냉각재는 부식 방지를 위해 적절한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야한다. 이러한 원자로냉각재의 수질화학 조절은 유량조절 기능과 화학제주입 기능을 가진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의 화학제주입탱크 및 체적제어탱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영광5,6호기에서 화학제주입계통의 연결위치를 충전펌프 후단에서 전단으로 변경하고, 원자로보충수펌프에 의하여 화학제주입을 수행할 경우 요구되는 주입운전시간 특성에 대해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설계요건에서 요구되는 화학제주입탱크의 용량 및 주입유량을 고정하고 탱크의 구조적형상 변경, disk block 설치 및 주입속도를 변경(입구배관 크기 변경)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시간변화에 대한 탱크 내에서의 유속분포, 농도분포, 평균농도 등 을 구하였다. 분석결과 발전소의 빠른 화학제주입운전을 위해서는 탱크 내에 혼합효과를 중대 시킬 수 있는 disk block의 설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Charging/Discharging Balance Simulator (충방전 Balance Simulator 개발)

  • Park, Dong-Kyun;Cho, Sang-Boc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4 no.1
    • /
    • pp.67-73
    • /
    • 2007
  • Prototype of an electric charge/discharge balance simulator was developed for evaluation of matching charging/discharging balance between real system and simulation results for specific vehicle in this research. Battery modeling and other electric modeling were done and real ca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n, We developed a balance simulator on the basis of proposed model and experiment results. Also, we can analyze charging/discharging balance for specific new car as real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