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율 변수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Modelling of Prosodic Phrasing and Pause Duration using CART (CART를 이용한 운율구 추출 및 휴지기간 모델링)

  • 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81-86
    • /
    • 1998
  • 트리 기반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CART 방법을 이용하여, 운율구 추출과 운율구 사이의 휴지 기간을 모델링 하고자 한다. 모델링을 위한 특징 변수들의 유효성을 실험에 앞서 알아본 후, 생성된 트리들을 해석함으로써 제안하는 특징 변수들이 효과적임을 보인다. 음성 정보를 제외한 문서 정보만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운율구 경계 결정 오류율은 14.46% 이었고, 휴지 기간 예측 RMSE 가 132.61 msec 이었다.

  • PDF

Comparison of prosodic characteristics by question type in left- and right-hemisphere-injured stroke patients (좌반구 손상과 우반구 손상 뇌졸중 환자의 의문문 유형에 따른 운율 특성 비교)

  • Yu, Youngmi;Seong, Cheolja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3
    • /
    • pp.1-13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prosody in terms of cerebral lateralization in three groups of 9 healthy speakers and 14 speakers with a history of stroke (7 with left hemisphere damage (LHD), 7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RHD)). Specifically, prosod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speech rate, duration, pitch, and intensity were examined in three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wh-questions, yes-no questions, alternative questions) with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As a resul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 variables showed flaws in production of the linguistic prosody in the speakers with LH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more insufficiently produced for wh-questions than for yes-no and alternative questions. This trend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variables related to pitch and speech rate. This result suggests that when Korean speakers process linguistic prosody, such as that of lexico-semantic and syntactic information in interrogative sentences, the left hemisphere seems to be superior to the right hemisphere.

Generation of Korean Intonation using Vector Quantization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한국어 억양 곡선 생성)

  • An, Hye-Sun;Kim, Hyung-S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09-21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text-to-speech 시스템에서 사용할 억양 모델을 위해 벡터 양자화(vector quantization) 방식을 이용한다. 어절 경계강도(break index)는 세단계로 분류하였고,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를 사용하여 어절 경계강도의 예측 규칙을 생성하였다. 예측된 어절 경계강도를 바탕으로 운율구를 예측하였으며 운율구는 다섯 개의 억양 패턴으로 분류하였다. 하나의 운율구는 정점(peak)의 시간축, 주파수축 값과 이를 기준으로 한 앞, 뒤 기울기를 추출하여 네 개의 파라미터로 단순화하였다. 운율구에 대해서 먼저 운율구가 문장의 끝일 경우와 아닐 경우로 분류하고, 억양 패턴 다섯 개로 분류하여. 모두 10개의 운율구 set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네 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는 운율구의 억양 패턴을 벡터 양자화 방식을 이용하여 분류(clusteing)하였다 운율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조사와 어미는 12 point의 기본주파수 값을 추출하고 벡터 양자화하였다. 운율구와 조사 어미의 codebook index는 문장에 대한 특징 변수 값을 추출하고 CART를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합성할 때에는 입력 tort에 대해서 운율구의 억양 파라미터를 추정한 다음, 조사와 어미의 12 point 기본주파수 값을 추정하여 전체 억양 곡선을 생성하였고 본 연구실에서 제작한 음성합성기를 통해 합성하였다.

  • PDF

Prosody Boundary Index Prediction Model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and Speech Synthesis (연속음성 인식 및 합성을 위한 운율 경계강도 예측 모델)

  • 강평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99-1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연속음 인식과 합성을 위한 경계강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운율 경계 강도는 음성 합성에서는 운율구 사이의 휴지기의 길이 조절로 합성음의 자연도에 기여를 하고 연속음 인식에서는 인식과정에서 나타나는 후보문장의 선별 과정에 특징변수가 되어 인식률 향상에 큰 역할을 한다. 음성학적으로 발화된 문장은 큰 경계 단위로 볼 때 운율구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구의 경계는 문장의 문법적인 특징과 관련을 지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운율 경계 강도 수준을 4로 하고 문법적인 특징으로는 트리구조 방법으로 결정된 오른쪽 가지의 수식의 깊이(rd)와 link grammar방법으로 결정된 음절수(syl), 연결거리(torig)를 bigram 모형과 결합하여 운율적 경계 강도를 예측한다. 예측 모형으로는 다중 회귀 모형과 Marcov 모형을 제안한다. 이들 모형으로 낭독체 200 문장에 대해 실험한 결과 76%로 경계 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lipsync algorithm based on A/V corpus (코퍼스 기반의 립싱크 알고리즘 개발)

  • 하영민;김진영;정수경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145-148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2차원 얼굴 좌표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음성과 영상 동기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영상변수의 획득을 위해 화자의 얼굴에 부착된 표시를 추적함으로써 영상변수를 획득하였고, 음소정보뿐만 아니라 운율정보들과의 영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합성단위로 시각소에 기반한 코퍼스를 선택하고, 주변의 음운환경도 함께 고려하여 연음현상을 모델링하였다. 입력된 코퍼스에 해당되는 패턴들을 lookup table에서 선택하여 주변음소에 대해 기준패턴과의 음운거리를 계산하고 음성파일에서 운율정보들을 추출해 운율거리를 계산한 후 가중치를 주어 패턴과의 거리를 얻는다. 이중가장 근접한 다섯개의 패턴들의 연결부분에 대해 Viterbi Search를 수행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주성분분석된 영상정보를 복구하고 시간정보를 조절한다.

  • PDF

A PZros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ead Sentences in Discourse Context (한국어 낭독체 담화문의 운율적 특징)

  • 성철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09-213
    • /
    • 1998
  • 50개의 담화단독 문장과 연속발성 문장을 대상으로 무장의 첫 어절과 마지막 어절에서의 첫 음절과 마지막 음절의 운율특징을 조사하였다. 이를 체계적으로 살펴 보기 위하여 각 어절에서의 마지막 음절의 음향변수에 대한 첫 음절의 음향변수의 비율을 얻은 뒤 이를 대상으로 하여 평균값과 분포를 구하였다. 지속시간의 경우 두 스타일 간에 주목할 만한 큰 차이점은 없었으나 담화 연속 문장의 문두에서 화자의 조음시간 프로그래밍이 약간 조화롭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Fo는 마지막 어절 부분의 비율값이 두 스타일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율자질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에너지는 Fo와 유사한 분포경향을 보인다. 문미 어절의 마지막 음절이 첫 음절의 약 85% 정도의 힘으로 발성됨을 알 수 있고, 담화 연속 발화의 마지막 어절에서 단독 발화문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조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egmental and prosodic environments and vowel devoicing in Korean (분절음적, 운율적 환경과 무성모음의 실현)

  • Shin Ji-Young;Chae Eun-A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09-312
    • /
    • 2002
  • 무성모음화 현상이 어떠한 분절음적, 운율적 환경에서 주로 실현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자음의 분절음적 환경, 후행자음의 분절음적 환경, 해당 강세구의 음절수, 운율 구조상의 위치 등 모두 네 가지를 변수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두 10명의 화자(남5, 여5)가 발화한 1140개의 자료에 나타난 행당 모음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선행자음은 [+기식성]과 [+지속성]을 가진 환경이, 후행 자음은 [-지속정]과 [기식성]을 가진 환경이 무성모음화가 잘 일어나는 환경인 것으로 밝혀졌다. 음절수의 증가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였고, 대체로 두 번째 강세구의 단어초에 위치하는 경우에 모음의 길이가 짧거나 무성모음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PDF

Perceptive evalua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on the polysemic sentence final ending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KFL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동형다의 종결어미 발화문에 대한 원어민화자의 지각 평가 양상)

  • Yune, Youngsook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2 no.4
    • /
    • pp.27-36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ve aspects of the polysemic sentence final ending "-(eu)lgeol"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Eu)lgeol" has two different meanings, that is, a guess and a regret, and these different meanings are expressed by the different prosodic features of the last syllable of "-(eu)lgeol". To examine how Korean native speakers perceive "-(eu)lgeol" sentence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he most saliant prosodic variable for the semantic discrimination of "-(eu)lgeol" at the perceptive level, we performed a perceptual experiment. The analysed material constituted four Korean sentences containing "-(eu)lgeol" in which two sentences expressed guesses and the other two expressed regret. Twenty-five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ual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rk whether "-(eu)lgeol" sentences they listened to were (1) definitely regrets, (2) probably regrets, (3) ambiguous, (4) probably guesses, or (5) definitely guesses based on the prosodic features of the last syllable of "-(eu)lgeol". The analysed prosodic variables were sentence boundary tones, slopes of boundary tones, pitch difference between sentence-final and penultimate syllables, and pitch levels of boundary tone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analysed prosodic variabl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mantic discrimination of "-(eu)lgeol" and among these prosodic variables, the most salient role in the semantic discrimination of "-(eu)lgeol" is pitch difference between sentence-final syllable and penultimate syllable.

How to Express Emotion: Role of Prosody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감정 표현 방법: 운율과 음질의 역할)

  • Lee, Sang-Min;Lee, Ho-J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1
    • /
    • pp.159-166
    • /
    • 2014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acoustic cues including both prosody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for the modification of a word sense. For the extraction of prosody parameters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we used 60 pieces of speech data spoken by six speakers with five different emotional states. We analyzed eight different emotional acoustic cues, and used a discriminant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find the dominant sequence of acoustic cues. As a result, we found that anger has a close relation with intensity level and 2nd formant bandwidth range; joy has a relative relation with the position of 2nd and 3rd formant values and intensity level; sadness has a strong relation only with prosody cues such as intensity level and pitch level; and fear has a relation with pitch level and 2nd formant value with its bandwidth rang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the guideline for find-tuning an emotional spoken language generation system, because these distinct sequences of acoustic cues reveal the subtle characteristics of each emotional state.

Korean prosodic properties between read and spontaneous speech (한국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운율적 특성)

  • Yu, Seungmi;Rhee, Seok-Cha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2
    • /
    • pp.39-5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rosodic differences in speech types by examining the Korean read speech and spontaneous speech in the Korean part of the L2 Korean Speech Corpus (speech corpus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the articulation length, articulation speed, pause length and frequency, and the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values of sentences were set as variables and analyzed via statistical methodologi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read speech and spontaneous speech were structurally different in the form of prosodic phrases constituting each sentence and that the prosodic elements differentiating each speech type were articulation length, pause length, and pause frequency.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speed and articulation length was highest in read speech, explaining that the longer a given sentence is, the faster the speaker speaks. In spontaneous speec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culation length and the pause frequency in a sentence was high. Overall, spontaneous speech produces more pauses because short intonation phrases are continuously built to make a sentence, and as a result, the sentence gets length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