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영소요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urn-back Time and Assignment of Trainsets (철도 차량의 반복시간과 소요량 사이의 관계 고찰)

  • Ki, Hyung-seo;Oh, Suk-mun;Park, D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9 no.6
    • /
    • pp.802-814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turnaround time and the rolling stock requirements.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turnaround time of rolling stock is divided into physical turnback time and waiting time. This paper presents a variety of models and estimation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on operational turnaround time. The proposed estimation model of the operational turnaround time in this study is designed to minimize the operational turnaround time in terminus stations, while the rolling stock requirement is reduced. The developed estimation model was applied in a real-world example, and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al turnaround time and the required rolling stocks were lessened compared with the current condition.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train operational planning and rolling stock routing plans, thereby minimizing the rolling stock requirements of existing railway operating authorities.

환경기술코너-방류수 수징 원격감시체계(TMS) 시범운영

  • Lee, Gyeong-Jin;Jo, Jae-Won;Hyeon, Mun-Sik;Gwon, Bong-Gyeong;Choe, Jun-Cha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9 s.367
    • /
    • pp.42-46
    • /
    • 2007
  •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 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될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 PDF

선박 입출항 소요시간 분석을 통한 항만 VTS의 효율적인 운영

  • 김태균;우정훈;박영숙;김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22
    • /
    • 2023
  • 입항 수역이 좁은 제주항만은 단일 방향 통항이 가능한 one-way 방식을 사용 중 이다. 이러한 항만 특성으로 인해 제주항을 입출항 하는 선박들은 해상교통관제사(Vessel Traffic Service, VTS)의 지시에 의거하여 순서대로 입출항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VTS 관제사가 객관적이고 정확한 예측을 위해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선박항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주항에 입출항 하는 선박의 이동시간 통계를 산출하여 선박입출항 소요시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박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에 더하여 기상 상태와 항만 예선 사용에 따른 입출항 소요 시간을 취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결과를 실제 관제에 적용 시켜 보다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항만을 운영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PDF

Conjoint Analysis를 이용한 대학 급식소 선택속성 규명 및 급식소 신설 전략 도출

  • 김창준;양일선;박문경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84-1085
    • /
    • 2003
  • 최근 대학생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혹은 중학교 때부터 급식을 받아온 세대로 급식체계에 싫증을 내고 학교 밖의 외부식당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세대이다. 또한, 위탁급식전문업체의 대학 내 급식사업 참여와 많은 선행 연구 등을 토대로 여러 면에서 대학 내 구내식당이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식당과의 경쟁으로 현재 급식인원수가 매년 감소하여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S 대학 학생식당 고객의 급식소 선택속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현재 운영중인 급식소 이외에 추가 설립하고자 하는 식당 신설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SPSS통계 package (ver. 11.0)를 활용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컨조인트 분석 (conjoi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현재 학생식당 이용빈도 감소원인은 ‘음식이 맛이 없어서’가 44.8%, ‘거리가 멀기 때문’이 19.9%로 조사되어, 학생식당의 이용빈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음식 맛'과 '거리'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생식당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37.8%, ‘불만족 한다’가 36%, ‘매우 불만족한다’가 18.4%, ‘만족한다’가 7.8%로 조사되어 응답자의 대부분이 식당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었다. 거리에 의해 식당의 이용빈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현 학생식당의 위치가 강의 동과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강의 동이 밀집해 있는 건물과 근거리에 식당이 개설된다면 이용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64.7%가 이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26.1%는 이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적정 거리의 식당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식당으로 이용하는 소요시간에 대해서 조사대상자가 멀다고 인식하는 시간과 가까운 거리라고 인식하는 시간에 대한 조사 결과 가까운 거리로 인지하는 평균 이동소요시간(분)은 5분이었으며 먼 거리로 인지하는 평균이동소요시간은 10.9분으로 적당한 식당의 위치는 S~10분내의 거리로 9분 30초의 거리에 식당이 위치하면 학생들의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사전 대면면접을 통해 가격, 소요시간, 음식의 맛으로 선정된 속성과 각 속성별 수준을 활용한 컨조인트 분석 실시하여 도출된 학생들의 급식소 선택 시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은 가격대, 소요 시간, 음식 맛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중요도는 가격이 65.42%, 소요시간인 24.76%, 음식의 맛이 9.82%였다. 즉, 학생들은 학생식당의 서비스 품질 속성 중에서 상대적으로 식사 가격을 가장 중요하기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식사를 하기 위해 식당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음식의 맛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조사대상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학 식당으로는 이동하는데 6-10분이 소요되는 거리에 위치한 식당으로 2,100-2,500원 정도의 가격대로 맛있고 깔끔한 식당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 운영중인 학생식당이 모두 1,800원의 단일 식단가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학생식당을 신설할 경우에는 이동하는데 10분 이상 소요되지 않는 장소에 가격대는 현재보다 더 높은 2,000-2,500원의 가격대에서 맛있고 깔끔한 현재와는 차별화 된 일품메뉴 위주의 식단의 학생식당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Study on analysis methodology of optimal performance and quantity for Mission-Based drones (임무 기반 드론의 최적성능 및 소요량 분석 방법론 연구)

  • Ha, Young-Se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1 no.1
    • /
    • pp.231-236
    • /
    • 2020
  • This paper addresses the analysis method about optimal performance and required quantity for Mission-Based drones. In the case of drones, although scientific verification of operational performance and quantity of demanded, such as total flight time, total operation time, and appropriate required quantity,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concept, there is no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m systematically. That is the reaso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uggestion and study about Mission-Based six step analysis method and, this study can present the optimal ROC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and the required quantity based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drones, and technical and economic effects were suggested.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

  • Lee, Gyeong-Jin;Jo, Jae-Won;Gwon, Bong-Gyeong;Choe, Jun-Chang
    • Environmental engineer
    • /
    • v.23 s.244
    • /
    • pp.56-60
    • /
    • 2006
  •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 · 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 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 · 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의 적용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eb Based Infrastructure Capacity Calculator (웹 기반의 기반시설 소요용량 계산기 개발)

  • Sung, Jin-Woo;Koh, Dong-Gun;Kang,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2-4
    • /
    • 2014
  • 단일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과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고성능컴퓨터 제조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의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고성능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변수는 전원, 냉각, 공간이다. 이러한 환경변수는 데이터센터 기반시설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용량산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KISTI 슈퍼컴퓨팅서비스센터에서는 1969년부터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여 왔으며, 특히, 슈퍼컴퓨터 시스템은 1988년의 슈퍼컴 1호기를 시작으로 현재는 슈퍼컴 4호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많은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웹 기반의 기반시설 소요용량 계산기를 개발하였다.

The Study on Software Maintenance Project Efforts Estimation Using Function Point (기능점수기법에 의한 소프트웨어유지보수 프로젝트의 소요인력 규모추정)

  • Ahn, Yun-Sik;Kim, Hyu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286-292
    • /
    • 2002
  • 국내기업에서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이 정보시스템 수명주기로 불 때 운영단계로 진입하고 조직의 정보시스템의존도 및 시스템규모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서 정보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에 투입되는 비용도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유지보수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투입인력 규모예측에 관련된 연구는 소프트웨어개발부문에 비해 적은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보수프로젝트를 대상 소프트웨어의 규모는 IFPUG에서 개발된 기능점수기법(function point model)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특정 소프트웨어유지보수 프로젝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보수환경, 프로덕트, 투입인력 등 3개 영역에서 도출된 총 10개 특성을 보정요소로 설정한 후, 유지보수프로젝트의 소요인력 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비선형회귀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 수행된 26개 유지보수프로젝트로부터 수집한 실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모형을 실증 분석한 결과 유의한 모형임이 밝혀졌다.

  • PDF

지방자치단체의 댐용수 수요함수

  • 이석원
    • Water for future
    • /
    • v.37 no.2
    • /
    • pp.66-73
    • /
    • 2004
  •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공급되는 댐용수는 댐건설 투자비와 댐운영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회수하기 위하여 댐용수의 수요자로부터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 댐용수의 가격은 $\mathbb{\ulcorner}$댐용수 요금산정규칙$\mathbb{\lrcorner}$에 의거하여 댐용수를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총괄원가를 보상하는 수준에서 결정되며, 1987년 이후부터는 지역간 부담의 형평성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동일한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 2002).(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