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동학적변인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5초

발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른 시공간 보행 변인과 하지의 기능 및 통증 차이 (Differences i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Pain in Accordance with Foo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Jeon, Hyung Gyu;Lee, Inje;Lee, Sae Yong;Ha, Sunghe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5-103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patiotemporal gait performance, function, and pain of lower-extremity according to foo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ethod: This case-control study recruited 42 adult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foot morphology using navicular-drop test: pronated (≥ 10 mm), normal (5~9 mm), and supinated (≤ 4 mm) feet. Spatiotemporal gait analysis and questionnaires including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 Sports, Western Ontario and McMasters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Lower Extremity Functional Scal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Tegner activity score were conduc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pronated feet group showed longer loading response and double limb support in both feet and increased pre-swing phase in non-dominant feet. The supinated feet group demonstrated a longer swing phase in non-dominant feet and single limb support in dominant fee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function and pain of knee joint and lower-extremity between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abnormal spatiotemporal gait performance according to foot morpholog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wer extremity dysfun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foot morphology, they have the possibility of symptom occurs as a result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ports. Therefore, individuals with pronated or supinated foot should be supplemented by utilizing an orthosis or training to restore normal gait performance.

20대의 혈류제한 저항운동이 위팔두갈래근 활성도, 피로도 및 혈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ood Flow Restriction Resistance Exercise in Twenties on Biceps Activity, Fatigue and Hemodynamic Variables )

  • 정대근;강정일;박준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w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combined with blood flow restriction on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to determine if such a combination may be an alternative to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in maintaining the muscle mass and strength and preventing degenerative loss of skeletal muscl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senting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METHODS: Th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for five weeks, four sessions a week, once a day, 60 minutes a session to Experimental group I (n = 13), in which low-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was applied by combining blood flow restriction with the biceps curl and experimental group II (n = 12), in which only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was applied. As a pre-test, the biceps brachii muscle activity and fatigue were measur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the hemodynamic variables, such a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The post-test was performed identically to the pre-test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pre-test.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group was observed in the biceps brachii muscle activity and fatigue in experimental group I and only in biceps brachii activity in experimental group II.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ince the low-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combined with blood flow restriction has similar effects to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it is considered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in groups unable to perform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Force Platform을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의 자세조절 및 중추 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on Postural Control and Central Somatosensory Pathway in Adults with C. N. S. Disorders)

  • 김유섭;강효영;김태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3호
    • /
    • pp.71-79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들의 자세 조절 및 중추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중추신경계 손상자로써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 등 총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군은 본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12주간 force platform을 이용하여 균형훈련을 실시토록하였다. 자세조절 변인의 측정은 운동처치 전, 처치 후 8주 및 12주 후에 대상자들의 동적 및 정적 자세에서의 흔들림을 Dynamic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Neurotec을 이용하여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적 자세 조절 요인의 경우,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고,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2. 전후 이동면과 전후 기울기면에서 동적 자세 조절의 변화는 전후 이동면에서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 (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3.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잠복기 변화는 실험군과 통제군에 있어서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와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 있어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의 균형 훈련은 자세 조절에 있어서 전후와 좌우의 흔들림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적인 상태나 동적인 상태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자세 조절에 필요한 항중력근의 긴장성 수축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 긴장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신경근 조절 기능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의 증가는 중추신경계의 감각기능의 신경학적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감각 운동통합에도 영향을 미쳐 운동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이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여자중학생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s Analysis of the Badminton High Clear Motion in Woman Middle School Student)

  • 김창범;유재광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107
    • /
    • 2002
  • 이 연구는 배드민턴 경기기술 중 클리어에 대한 연구 대부분 경기분석 및 타법사용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어 여자중학생 배드민턴 선수를 대상으로 하이클리어 동작을 운동학적 변인으로 측정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C여자중학교 배드민턴 선수 4명이었으며, 동작의 분석 범위는 준비자세에서 동작의 시작순간, 라켓이 최대로 백 스윙 된 순간, 라켓과 셔틀콕이 임팩트 되는 순간, 임팩트 이후의 마무리 스윙동작까지로 단계별 동작을 설정하였다. 여자중학생 하이클리어 동작을 운동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피험자 대부분 백 스윙 단계에서 어깨 및 팔꿈치 관절을 충분히 회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정 관절 부분에만 좋은 동작을 나타내 관절의 협용동작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였다. 피험자 S1과 S2가 임팩트 단계에서 어깨 및 팔꿈치 관절은 크게 천천히 스윙하다가 오른 손목관절 및 라켓헤드의 속도는 빠르게 나타나 다른 피험자 보다 관절의 협웅동작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 모두 성장기에 있는 학생으로서 관절의 유연성에 기인하여 오른 어깨각도 변화는 큰 각도를 보였고 각속도는 피험자 S3이 다른 피험자 보다 기술적 차이를 보여 개선될 점으로 나타났다. 피험자 모두 오른 팔꿈치 각도 변화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각속도에서 피험자 S2는 백 스윙단계부터 임팩트 시 심한 굴곡의 형태를 보여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 모두 오른 손목각도의 변화는 백 스윙 직후 큰 각도를 이루지 못하고 임팩트 직후 손목의 빠른 굴곡이 형성되지 못하여 셔틀콕의 속도가 감속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속도는 피험자 S1과 S4는 임팩트 시 음(-)의 각속도 값을 보여 강한 스냅을 이용하고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피험자 모두 임팩트 시 무릎각도의 크기는 큰 각도를 이룬 반면 고관절 각도는 작은 각도를 보여 무릎관절과 고관절과의 합성동작인 강한 허리힘을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에어로빅스 Straddle Jump to Push up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al Analysis of Straddle Jump to Push up Motion on Sports Aerobics)

  • 김차남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90
    • /
    • 2002
  • 본 연구는 4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스포츠 에어로빅스 대표선수 4명을 대상으로 Straddle jump to push up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 점프와 착지 동작에 대한 정확한 동작을 이해하고 나아가 지도자의 효율적인 지도에 필요한 정확한 동작의 진단과 평가에 도움을 주며,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비디오 카메라 2대를 사용하여 촬영하였고, 카메라의 속도는 60frame/sec.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운동학적 변인들은 신체중심 높이의 변위, 좌 우 어깨관절 각 변위, 좌 우 주관절 각 변위, 좌 우 고관절 각 변위, 좌 우 슬관절 각 변위, 좌 우 발끝의 속도이며, 각각 개인별 3회씩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국면별 신체중심 높이의 변위는 event 1, 4, 5($79.05{\pm}9.07,\;46.41{\pm}3.65,\;18.66{\pm}0.54cm$)에서 낮은 신체중심의 높이를 나타냈으며, event 2, 3($120.80{\pm}6.13,\;148.12{\pm}9.19cm$)에서는 높은 신체중심 높이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Straddle Jump to Push up 동작, 즉 점프동작은 파워를 나타내는 중요한 동작이므로 충분한 유연성과 순발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단순한 근육의 강화가 아닌 특정 파워와 힘의 발달, 각각의 신체분절들의 효율적인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노르딕 워킹이 퇴행성 무릎 관절염 노인여성의 근력과 유연성,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rdic Walking Exercise on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Balance and Pain in Older Woman with Knee Osteoarthritis)

  • 오유성;김지선;장우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12-1326
    • /
    • 2019
  • 본 연구는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을 통해 신체 기능과 관절염 통증 정도의 개선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퇴행성관절염으로 진단받은 노인여성 16명(나이: 73.00±3.70year, 신장: 154.30±4.07cm)을 대상으로 무선배정 된 노르딕 워킹 운동그룹(n=9)과 통제그룹(n=7)으로 나누었다. 운동 그룹은 노르딕 스틱을 이용하여 12주간 주 3회, 1회 30분 노르딕 워킹 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 강도는 HRR의 40-60%로 설정하였다. 통제그룹은 동일한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근골격량)과 근력 과 유연성(상·하지 근력, 상·하지 유연성), 균형능력(정적균형, 동적균형) 및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의 측정은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2번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 version 25.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계집단간의 생리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노르딕 워킹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그룹 간, 시기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2 반복측정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을 통해 신체조성 기능에서 체지방률은 운동 처치 후에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04), 집단 간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3). 골격근량은 운동처치 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18), 집단 간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5). 둘째, 근력과 유연성은 상지근력과 하지유연성에서 집단 간과 시기 간 상호작용에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09)(p=036), 하지근력에서는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간 개선효과가 나타났다(p=.006). 또한, 상지유연성은 운동처치 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20). 셋째, 균형능력 요인은 정적균형에서 운동처치 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16), 동적균형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넷째, 통증정도는 운동처치 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22),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개선 효과도 나타났다(p=.013). 결론적으로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의 신체조성과 근력과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르딕 워킹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에게 신체조성과 안정성, 균형성을 높여 주였으며, 무릎 관절의 통증을 낮춰주어 재활 운동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저항성 운동이 골격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Beadarray 분석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Skeletal Muscle Gene Expression in Rats: a Beadarray Analysis)

  • 오승렬;오상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6-12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항성 운동 후 골격근에서 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32두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분양 받은 후 4주차 통제군(4 wks CON, n=8), 8주차 통제군(8 wks CON, n=8), 4주차 운동군(4 wks REG, n=8), 8주차 운동군(8 wks REG, n=8)으로 집단을 분류하였다. 저항성 운동군은 꼬리에 무게를 달고 동물용 사다리(1-m vertical, 85 degree incline)를 오르는 저항성 사다리 운동을 1회 10번, 주당 3일, 4주와 8주간 점증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골격근 조직은 저항성 운동 후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FHL)을 적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적출한 골격근에서 total RNA를 분류한 후, 대규모 유전자 발현분석을 위하여 Illumina RatRef-12 Expression BeadChip을 이용한 Beadarray를 시행하였으며, Beadarray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qPCR (real-time quantitative PCR)를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증은 Beadstudio softwar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Beadarray 데이터 중 Detection p-value to <0.01, M-value {M= $log_2$ (condition)-$log_2$ (reference)} to >1.0, DiffScore to >20인 유전자만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유전자로 선택하였다. 4주차 저항성 운동 후 통제집단에 비해 2배 이상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는 30개였으며, 6개의 유전자가 감소하였다. 8주차 저항성 운동 후에는 5개의 유전자가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12개의 유전자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유전자를 포함한 저항성 운동과 근비대와 관련 후보 유전자를 도출하였다; 1) 세포 성장 조절(IGFBP1, PLA2G2A, OKL38); 2) 근육발생(CSRP3); 3) 조직 재생과 근육 발달(MUSTN1, MYBPH); and 4) 비대 모델(CYR61, ATF3, NR4A3); and 5) 당대사(G6PC, PCK1). 이러한 연구결과는 차후 저항성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학적 변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도 단계별 측방낙법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분석[ I ] (A Kinematic Comparative Analysis of Yoko Ukemi(side breakfall) by Each Stage in Judo[ I ])

  • 김의환;김성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1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arisons of the kinematical variables when performing Yoko Ukemi(side breakfall) by three Stage in Judo. The subjects were four male judokas who were trainees Y. I. University Squad members and the Yoko Ukemi were filmed by two S-VHS 16mm video cameras(60fields/sec.). The selected times were subject to KWON 3D analysis program and kinematical analysis to compare variables of three Yoko Ukemi. Temporal variables(total time-required : TK, TR by each phase), the body part touched order on the mat and COG variables were computed through video analysis while performing right Yoko Ukemi by three stage. From the data analysis and discus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Temporal variables : total time-required(TR) when performing Yoko Ukemi(side breakfall) by each stage, the first stage(full squat posture: FP : 1.11sec.) showed the shortest time, the next was 3rd(Shizenhontai, straight natural posture: NP : 1.41sec.), and 2nd(Jigohontai, straight defensive posture, DP : 1.42sec.), respectively- 2. TR when performing Yoko Ukemi(side breakfall) by each stage, and phase : the first phase(take of phase, average 0.68sec.) showed the longest time, next was the third phase(ukemi phase, 0.39sec.), and the second phase(air phase, 0.23sec.), respectively. 3. When performing yore Ukemi the body part touched order and TR on the mat : hip(0.94sec.) showed the shortest time, the next was elbow hand(0.97sec.), back(0.98sec.), and shoulder(1.04sec.) order. The hip part touched on the mat the first, but slap the mat in order to alleviate the shock try hand palm and forearm before receiving impact (difference 0.03sec,) 4. Vertical COG variables in each event by each stage : e1(ready position, average 78.33cm) moved the highest, the next was e2(jumping position, 70.14cm), e3(transition position, average 64.00cm), e4(landing position, average 35.99cm), and e5(ukemi position, average 18.32cm) order, gradual decrease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of COG were showed in initial by each stage, because position fo Yoko Ukemi was difference by each stage in preparation position, but in accordance with executing of Ukemi phase that difference of COG was by decreasing, almost equal displacement in e4(landing) and e5(Ukemi)position finally.

퍼팅 시 프로와 아마추어, 초보 골퍼사이의 운동학적 변인과 그립 악력 비교 (Kinematics and Grip Forces of Professionals, Amateurs and Novices during Golf Putting)

  • 최진승;김형식;강동원;김한수;오호상;서정우;이정한;임영태;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5-41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kinematic variables and grip forces among professionals(PG), amateurs(AG), and novice group(NG) during golf putting.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 groups based on their playing ability: 8 professional golfers (handicap<5), 8 amateurs (handicap<18) and 8 novice. Each subject attempted 2.1m putts from the hole. 3D motion analysis system(Motion analysis Corp., USA) with 6 high speed cameras and grip force measurement system(Kim et al., 2007) were used to acquired kinematic and force data, respectively. To compare differences among groups, joint angles of upper limbs, trajectory and smoothness by jerk cost function(JC) of putter head and grip forces we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most of variables such as joint angles, trajectory & smoothness of putter head, and distribution of grip force in both hands. In brief, we confirmed that putting stroke in PG was more accurate and smooth than that in other groups, especially NG, due to their well-controlled upper limbs and keeping grip forces constant in both hands. It can be concluded that due to skilled levels, fundamental differences of putting movement could be identified and these differences might be helpful for improving one's putting skills.

스쿼시 백핸드 드라이브 동작시 상지 분절의 운동학적 변인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Upper Extremity during Backhand Stroke in Squash)

  • 안용환;류지선;류호영;소재무;임영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5-156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kinematic parameters of racket head and upper extremities during squash back hand stroke and to provide quantitative data to the players. Five Korean elite male players were us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swing motion of the players, the land-markers were attached to the segments of upper limb and 3-D motion analysis was performed. Orientation angles were also computed for angular movement of each seg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time of the back hand swing (downswing + follow-through) was 0.39s (0.24 s + 0.15 s). 2) for each event, the average racket velocity at impact was 11.17m/s and the velocity at the end of swing was 8.03m/s, which was the fastest swing speed after impact. Also, for each phase, 5.10m/s was found in down swing but 7.68m/s was found in follow-through. Racket swing speed was fastest after the impact but the swing speed was reduced in the follow-through phase. 3) in records of average of joints angle, shoulder angle was defined as the relative angle to the body. 1.04rad was found at end of back swing, 1.75rad at impact and it changes to 2.35 rad at the end of swing. Elbow angle was defined as the relative angle of forearm to upper arm. 1.73rad was found at top of backswing, 2.79rad at impact, and the angle was changed to 2.55rad at end of swing. Wrist angle was defined as the relative angle of hand to forearm. 2.48rad was found at top of backswing, 2.86rad at impact, and the angle changes to 1.96rad at end of swing. As a result, if the ball is to fly in the fastest speed, the body has to move in the order of trunk, shoulder, elbow and wrist (from proximal segment to distal segment). Thus, the flexibility of the wrist can be very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ball speed as the last action of strong impact. In conclusion, the movement in order of the shoulder, elbow and the wrist decided the racket head speed and the standard deviations were increased as the motion was transferred from proximal to the distal segment due to the personal difference of swing arc. In particular, the use of wrist (snap) may change the output dramatically.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flexible wrist movement in squash was very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spin of the b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