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동오차보정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Palaeomgnetic Study on the Cretaceous Rocks in the Konchonri Area of the Northern Milyang Subbasin, Korea (밀양소분지 건천리 일원의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자기 연구)

  • Kang, Hee-Cheol;Kim, In-Soo;Yun, Sung-Hyo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3 no.1
    • /
    • pp.1-12
    • /
    • 2000
  • A palaeomagnetic study was carried out on Early through Late Cretaceous sandstones and volcanic sequences (the Songnaedong Formation, Chaeyaksan Volcanics, Konchonri Formation, and Jusasan Andesite it ascending order) from Konchonri area in the northern Milyang subbasin of the Kyongsang Basin, Korea. A high-temperature stable remanence with direction of $d=22.9^{\circ},\;i=59.1^{\circ}\;({\alpha}_{95}=3.0^{\circ})$ has been isolated and a corresponding pole was $71.6^{\circ}N,\;199.6^{\circ}E\;(A_{95}=4.2^{\circ})$. The characteristic high-temperature component resides in both hematite and magnetite. The primary nature of this remanence is confirmed from positive fold and reversals tests, The palaeopole is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Hayang Group in other parts of the Kyongsang Basin. A comparison of the palaeomagnetic pole position from the studied area with the contemporary pole from China west of the Tan-Lu fault presents that Konchonri area has experienced little latitudinal displacement nor vertical-axis block rotation relative to the Chinese blocks since the Cretaceous. Based on the formations indicating dual polarity, radiometric and paleontologic data, the magnetostratigraphic age of the studied sequence from the Songnedong Formation to the Jusasan Andesite ranges from upper Albian to lower Campanian reverse polarity chronozone. On the other hand, volcanic samples of the Chaeyaksan Volcanics and the Jusasan Andesite showed the scattered directions considered in group, even though individual sample showed a stable remanent magnetization in response to thermal demagnetization. It indicates that they have been reworked after acquisition of the stable remanent magnetization.

  • PDF

A Study on Side Impact from Car-to-Car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차대차 측면충돌에 대한 연구)

  • Han, Yuong-Kyu;Baek, Se-Ryong;Yoon, Jun-Kyu;Lim, Jong-H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3
    • /
    • pp.201-209
    • /
    • 2015
  • The deformed degree of car body varies largely with the collision part from side collision of car-to-car. In case of deformation of car body caused by collision, the movement is different as speed energy changes to strain energy. Generally, i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the movement of car after the collision is analyzed by law of conservation of motion and the error of energy absorption rate along the deformation of car body can be calibrated by inputting coefficient of restitution, but it is current situation that coefficient of restitution applied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forward collision and backward collision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of side collision is rare. Vehicle model of finite element method applied by structure of car body and materials of each component was analyzed by explicit finite element method, and coefficient of restitution and collision detection time along contact part of side collision was drawn by analyzing the results. Analysis result acquired through the law of conservation momentum by applying finally-computed coefficient of restitution and crash detection time compared to collision result of actual vehicle.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analysis was higher than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were acquired when applying the drawn initial input value that used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model.

Design and Analysis of Square Beam Type Piezo-electric Vibrating Gyroscope (압전세락믹을 이용한 사각보형 진동자이로의 설계, 제작 및 평가)

  • 이정훈;박규연;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82-286
    • /
    • 1995
  • 일반적으로 관성계 내의 물체에 대한 동적특성의 파악을 위해서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 각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며 자이로는 이중에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운동하는 질량에 회전각속도가 인가될 때 발생되는 코리올리힘을 측정하여 회전각속도를 검출하는 개념의 각속도 센서인 진동자이로는 성능이 회전형 자이로에 비해 떨어지나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진동자이로의 효시로는 1950년 영국의 Sperry Gyroscope Company의 "Gyroton"이며, 전자기력을 이용한 가진과 측정이 그 특징으로서 실험실 조건에서 지구의 자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그후 1960년대에 General Electric에서 "VYRO"라는 모델을 개발했는데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가진과 측정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 Watson Ind., Soderkvist등은 센서자체가 압전물질로 만들어진 자이로를 실험하였고 1990년도에 들어서는 진동자이로의 원리를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과 연계시켜서 소형 경량화와 대량생산을 목표로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제품화되어 실제 응용되고 있는 예로는 무라다사의 삼각프리즘 형태의 자이로, 토킨사의 원통형 자이로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자이로는 캠코더 화면의 안정화 장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전소자의 압전, 전왜 방정식으로 출발하여 자이로헤드의 동적 거동을 해석하였다. 진동자이로는 물체의 공진주파수에서의 진동현상을 이용하며, 두 방향의 고유진동수를 일치시켜야 하는 등의 설계조건이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사각보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새로운 형태의 자이로헤드를 고안하였다. 자이로헤드의 구동회로를 설계, 해석하고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출회로를 설계하여 설계된 진동자이로의 동적 특성을 확인하고 보정회로를 이용하여 사용 주파수 영역을 넓혔다.이용하여 사용 주파수 영역을 넓혔다.러한 강이성들이 보장되는 제어이론들 중 H$_{\infty}$ 제어이론이 많이 연구/응용 되고 있다. 특히 공칭 플랜트 모델과 함께 사용되는 플랜트 모델과 함께 사용되는 플랜트 불확실성 모델은 직접적으로 성능 및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 깊게 선정해야 한다. 방법의 실질적인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회귀적 모우드 변수 규명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는 Fassois와 Lee가 ARMAX모델의 계수를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뱉치방법인 Suboptimum Maximum Likelihood 방법[5]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의 장점은 응답 신호에 유색잡음이 존재하여도 모우드 변수들을 항상 정확하게 구할 수 있으며, 또한 알고리즘의 안정성이 보장된 것이다.. 여기서는 실험실 수준의 평 판모델을 제작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제어 구조물에 대 한 동적실험 및 FRS를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따름으로써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error를 실험실내의 차원에서 파악하여 진동원을 있는 구조 물에 대한 진동제어기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이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sults shows a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ld and the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using PTT (PTT를 이용한 수축기 혈압의 측정에 관한 연구)

  • Park E. K.;Lee S. M.;Han Y. H.;Lee J. Y.;Kwon S. Y.;Kim I. Y.;Kim Sun I.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6
    • /
    • pp.605-609
    • /
    • 2004
  • Blood pressure (BP) is one of the important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diagnosing cardiovascula diseases by means of noninvasive method. Existing noninvasive methods for measuring arterial BP have to use cuff and difficult in measuring arterial BP continuously.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pulse transit time (PTT) have a kind of inverse relationship. We acquired PTT data when subjects were in relaxation and also after exercise. We performe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making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each subject and the regression equation for all subjects. We compared the estimated SBP with the measured SBP to check the accuracy of our regression equations. From the result,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each subject wa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of the Association of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 (ANSI/AAMI) which says that BP devices should have ±5mmHg mean of error and 8mmHg standard deviation of error. However, the regression equation for all subjects was not proper to ANSI/AAMI recommendation. The result means that, without cuff, we can continuously estimate each subject's SBP through PTT and indivisual calib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