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동영역

검색결과 1,078건 처리시간 0.015초

흡인영역과 끌개의 해석을 통한 선박의 비선형 횡동요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linear Rolling Motion of Ship Using Basins of Attraction and Attractors)

  • 이희성;권순홍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71-82
    • /
    • 1999
  • 비선형 동역학계의 불규칙한 운동은 그 계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에 의해 생기는 현상으로써 때로는 예측할 수 없는 큰 운동이 발생한다. 해상 운행중인 선박의 경우 이러한 예측치 못한 큰 운동으로 인해 전복이 일어나기도 하므로, 비선형 선박 안전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임의의 구간 안에 있는 모든 초기 조건에 대해 선박 운동의 안정성을 파악하여 안정과 불안정으로 영역 구분을 시켜 주는 흡인 영역(basins of attraction)을 외력변화에 따라 그려 봄으로써 선박 운동에 대한 안정 영역의 정성적인 변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전복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 영역상을 초기 조건으로 한 선박 운동이 최종적으로 어떤 운동이 되는지 알아 보았다. 마지막으로 외력 변화에 따른 비선형 선박 운동 중 혼돈적 현상이 일어나는 운동에 대해서는 이를 상세히 분석하고자 과도상태가 지난 운동의 주기적 변화를 외력 변화에 따라 살펴보는 분기도(bifurcation diagram)를 이용하여 연구해 보았다.

  • PDF

항해사 인지·지각 검사도구 개발

  • 김정호;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253
    • /
    • 2017
  • 동일한 작업환경과 작업조건을 가정하였을 때,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거의 균등하다. 그러나 현실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정하게 사고를 많이 발생시키는 사고 빈발자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항해사 인 적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항해사의 운항적성 중 지각 운동 영역에서의 운항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해사의 지각 운동 영역에서의 운항적성 평가를 위해 CBT(Computer-Based Test)의 형태로 항해사의 지각 운동 영역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지각 운동적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항해의 특성 상 복합적인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검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 PDF

역 위상 깜박임 영역 순응에 의해 유도된 인접 영역의 3차원 운동잔여 효과 (3D motion aftereffect in a static region after adaptation to an adjacent counterphase flickering region)

  • 김정훈;남종호;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10권3호
    • /
    • pp.29-37
    • /
    • 1999
  • Murakami와 Cavanagh (1998a.b. 1999)가 보고한 무선 운동 영역 순응에 따른 정지된 인접 영역의 흔들림(jittering) 착시현상을 새로운 자극구성으로 검증하였다. 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이 연구자들이 제안한 순응에 따른 안구운동 보상기제의 약화를 최소화하는 역 위상 깜박임(counterphase flickering)에의 순응과 코사인 패턴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정지된 인접 영역에서의 착시현상이 경험되었다. 그러나, 이 자극 상황에서 관찰된 착시현상은 평면상의 흔들림이 아니라 정지된 인접 영역이 관찰자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지각되는 3차원상의 운동잔여효과(3D motion aftereffect)이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 새로운 현상이 깜박임 영역의 휘도 대비감소(contrast reduction)가 정지된 인접 영역과의 지각된 깊이 차이를 유발시키고 깜박임 영역이 정지하였을 때 원래의 깊이로 복원하는 과정에서 정지된 인접 영역이 상대적으로 멀어지며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것에 기인했을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깊이 단서를 제거하거나, 휘도 대비감소를 최소화하는 고 공간주파수 코사인 패턴을 사용한 실험의 결과 관찰된 운동잔여효과의 소멸은 이 가능성을 강력히 지지하여 주었다.

  • PDF

다점 계류된 원유 저장선에 대한 저주파수 운동 해석 (Slow Drift Motion Analyses for a FPSO with Spread Mooring Systems)

  • 이호영;박종환;곽영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5-201
    • /
    • 2001
  • 본 논문은 파랑중에 다전 계류된 원유저장선에 대한 저주파수 운동을 수치 모사하였다. 시간영역에서의 운동방정식은 충격응답함수를 포함하여 수평면상의 운동 즉 전후, 좌우 및 선수 운동을 고려하였다. 시간영역의 운동방정식에 나타난 부가질량, 파랑감쇠계수, 1차항 파랑 강제력 그리고 2차항 파랑 강제력을 주파수 영역의 특이점 분포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다점 계류된 계류삭은 체인이 해저면에 닿은 운동 효과를 포함하여 준 정적 현수선 이론으로 산정되었다. 계산 예로서 장파정 불규칙 파랑 중에 놓인 바아지식 원유저장선에 대한 시간 영역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회전 운동 잔여 효과의 확산 현상: 전역적 운동 탐지기의 순응에 대한 증거 (Spreading of motion aftereffect for rotational motion: Evidence of adaptation of global motion detector)

  • 감기택
    • 인지과학
    • /
    • 제16권1호
    • /
    • pp.17-27
    • /
    • 2005
  • 움직이는 패턴을 오랫동안 본 후에 정지된 패턴을 보면. 정지된 패턴이 운동 패턴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운동 잔여 효과(motion aftereffect: MAE)가 발생된다. 이 현상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과는 달리 복잡운동의 MAE는 운동 순응이 발생되지 않은 영역에까지 확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MAE의 확산 현상이 발생되는 신경기제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 하모닉 나선형 패턴을 운동 순응 자극으로 사용하여 고리모양의 창에 제시한 후, 순응이 발생된 고리영역과 순응이 발생되지 않은 안쪽 영역 모두에서 MAE를 측정하였다. 순응자극과 동일한 영상과 거울상을 각각 검사자극으로 사용하여 MAE를 측정하고 두 조건에서 발견된 MAE를 비교하였다. 하모닉 나선형 자극의 특징은 동일 영역에 제시된 원영상과 거울상의 윤곽 방위의 차이가 90도라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거울상의 경우 국소 운동 정보를 추출하는 탐지기 수준에서는 순응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실험 결과 순응된 영역에서의 MAE 지속시간은 동일상 조건이 거울상 조건보다 더 길게 나타났지만, 운동 순응이 없었던 영역(운동 잔여효과의 확산 영역)에서는 두 조건간 유의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잡운동(complex motion)의 MAE 화산은 국소 운동 정보가 추출되는 V1과 같은 초기 단계에 있는 신경세포의 순응이 아니라 복잡 운동이 처리되는 MSTd 에 있는 신경세포들의 순응에 의해서 발생됨을 시사한다.

  • PDF

뇌졸중 환자의 EEG phase synchrony에 따른 움직임 및 운동의지비교: 예비 결과 분석 (A Comparison between Executed and Imagined Movements in Phase Synchrony of EEG in humans with Stroke: A Preliminary Study)

  • 김다혜;박완주;김연희;김성필;김래현;권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61-1664
    • /
    • 2013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 5 명을 대상으로 상지 운동(Affected hand의 주먹 쥐기/펴기운동)시 참가자의 운동의지와 운동 수행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을 가정하고, 운동 수행 및 운동의지가 존재하는 Active movement와 운동 수행을 하지만 운동의지가 없는 Passive movement, 운동 수행은 없지만 운동의지가 있는 Motor Imagery(MI)의 세가지 task에 따른 뇌파의 연결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때 EEG 영역 간의 연결성을 보기 위한 분석 방식 중 하나인 Phase locking value(PLV)를 통해 각 task 간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했다. 운동 수행은 동일하지만 운동의지 유무에 따른 차이는 Passive movement가 전반적으로 뇌 영역간 연결이 감소하고 Active movement가 motor task 시작 후 375ms를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함을 보이는 데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운동 수행 유무에 따른 차이는 687.5ms 이후 Active movement에 비해 MI에서 뇌 영역 간 연결 수가 확연히 감소하는 데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 시의 motor task에 따른 EEG 영역간의 연결성을 토대로 운동의지 검출이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시각과 운동의 뇌기능영상 : 자극에 따른 총활성화의 차이 (fMRI of Visual and Motor Stimuli : Difference of Total Activation Depends on Stimulation Paradigm)

  • 정순철;송인찬;장기현;유병기;문치웅;조장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41-46
    • /
    • 1999
  • 목적 : 뇌기능 영상을 이용하여 자극에 따른 시각영역, 운동영역 및 소뇌에서의 총활성화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5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EP 기법을 이용하여 시각자극과 운동자극에 의한 피질활성화 검사를 시행하였다. 시각피질 활성화를 위해서는 LED 자극과 Checker-Board 자극을 각각 행하였고, 운동피질과 소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엄지손가락 운동과 네 손가락을 엄지 손가락과 순서대로 마주치게 하는 운동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자극은 60초의 휴식기, 120초의 자극기 및 운동기, 다시 60초의 휴식기로서 시행하였다. 데이터 처리는 cros-correlation 방법으로 통게처리 하였고, 적절한 문턱 값 이상을 가지는 화소를 활성화 화소로 정의하였다. 이 활성화 화소의 수와 신호변화율의 곱으로서 총활성화의 시간축 데이타를 완성하였다. 결과 : 시각피질에서의 총활성화는 Checker-Board 자극에 비해 LED 자극을 가했을 때 100% 이상 증가하였다. 엄지 손가락 운동에 비해 손가락 마주치기 운동을 시행했을 때 총활서와는 운동피질에서 100% 이상 증가하였고, 소뇌에서는 150% 이상 증가하였다. 결론 : 시각 및 운동자극의 변화에 따라 시각영역, 운동영역 및 소뇌에서의 총활성화가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의 효과와 신경학적 기전 (The Neurological Effect and Mechanism of Mirror Therapy in Adults With Stroke)

  • 김영조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24-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임상적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간 밝혀진 정보를 종합하여 거울치료를 통해 발생하는 중재효과를 분석하고 거울치료의 신경학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거울치료는 뇌졸중 환자들의 손과 팔의 운동기능을 향상시키고, 일상생활 수행기능회복과 통증경감에 효과가 있다. 하지만 시각 무시에 대해서는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아직 분명치 않다. 거울치료는 전운동영역의 신경학적 회복을 유도한다. 전운동영역은 운동 조절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위로서 거울치료에 의해 활성화되면 손상된 일차운동영역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기능회복을 유발한다. 일차운동영역이 완전히 손상된 경우에는 신경 재조직화를 통해 일차운동영역의 기능을 전운동영역이나 보완운동영역이 대체하여 수행한다.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거울치료의 효과나 이에 대한 신경학적인 원인에 대한 증거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었다. 거울치료의 효과와 신경학적 기전이 명확히 규명된다면 거울치료는 임상에서 보다 효용성 있는 치료로서 구축될 것이라 사료된다.

비순응 영역으로의 운동 잔여효과의 번짐에 미치는 삼차원 깊이 불연속의 효과 (The effect of depth discontinuity on spreading of motion aftereffect to non-adapted area)

  • 감기택
    • 인지과학
    • /
    • 제21권1호
    • /
    • pp.1-24
    • /
    • 2010
  • 운동자극에 오랫동안 노출된 이후 해당 자극이 제시된 망막상의 영역에 제시된 정지 자극은 운동 자극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운동 잔여효과(motion aftereffect: MAE)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순응에 의해 발생된 운동 잔여효과가 인접 비순응 영역에까지 번져나가는 현상이 양안 시차에 의해 깊이가 다른 표면에서도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동심원의 고리부분에만 운동순응을 시킨 후, 실험 1에서는 양안 시차에 의한 경사 표면을 중앙 비순응 영역에 제시했고 실험 2에서는 양안시차에 의해 깊이가 다른 정면평행 표면(fronto parallel plane)을 중앙 비순응 영역에 제시하였다. 경사 표면인 경우 주변 순응영역과 깊이가 동일한 비경사조건에서의 MAE지속시간과 유사한 반면, 깊이가 다른 정면 평행 표면에서는 동일 깊이 조건보다 MAE 지속시간은 줄어들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MAE의 번짐 현상이 깊이 불연속 정보에 의해 영향 받는다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양안정보가 합치된 이후에도 발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원판의 준주기운동의 프랙털 흡인경계 (Fractal basin boundary of quasi-periodic motions of a circular plate)

  • 박해동;이원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96-701
    • /
    • 2005
  • 조화가진력이 작용하는 고정경계를 가진 완전원판의 비선형 진동에 대한 응답특성을 연구하였다. 원판의 비대칭모드의 고유진동수 근처에 가진주파수가 작용하는 주공진에서의 응답은 정상파(standing wave)뿐만 아니라 진행파(traveling wave)가 존재 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공진 근처의 정상상태 응답곡선에서 최대한 5개의 안정한 응답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1개의 정상파와 4개의 진행파로 나타난다. 이 진행파 중 2개는 가진진동수가 변화함에 따라 Hope분기에 의해 안정성을 잃은 후 주기배가운동을 거쳐 흔돈운동에 이르게 된다. 초기조건에 의해 각각의 끌개(attractor)에 흡인되는 흡인영역의 경계를 주평면의 개념을 통하여 구하였으며, 가진진동수가 변화함에 따라 안정한 해가 혼돈운동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흡인영역의 경계가 변화되는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흡인영역 경계에 대한 프랙털 차원(fractal dimension)을 계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