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동시차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Role of Binocular Disparity at Color-Motion Binding (색채-운동 속성 결합에서의 양안시차의 역할)

  • Li, Hyung-Chul 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8 no.1
    • /
    • pp.69-90
    • /
    • 200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the visual system importantly use binocular disparity information in color-motion binding. Wu, Kanai and Shimojo (2004) reported an illusory color-motion binding which was observed in the peripheral visual area when observers fixated on the central area of visual stimulus. We have found that illusory rotor-motion binding was not observed at the situation where binocular disparity was available but was where it was not availabl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visual system uses binocular disparity information when it binds rotor and motion and that the binding process occurs after binocular disparity information is processed.

  • PDF

Motion Control of Stereo Camera Using Cepstral Filter (Cepstral 필터를 이용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운동제어)

  • 문용선;정남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1B
    • /
    • pp.1920-1927
    • /
    • 2000
  • 본 논문은 cepstral 필터를 이용하여 지적인 비주얼 센싱을 위한 카메라의 운동 제어법을 제안한다. 화상은 pursuit 운동을 위하여 물체의 옵티컬 플로우가 필요하고, vergence 운동을 위하여 양안시차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화상정보에는 올바른 정보와 잘못된 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의 올바른 시차를 선택해야 하는데, 옵티컬 플로우의 계산에서와 마찬가지로 템플리트 매칭을 이용하여 올바른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화상 중의 하나를 3 조각으로 분할한 후 각각 cepstral 필터링에 의하여 양안시차를 검출한다. 본 논문은 saccade 운동, pursuit 운동, vergence 운동에 관한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에 의하여 알고리즘을 비교 및 분석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Stereoscopic Image Converter Using Detection Method of Moving Object (운동 객체 검출 방식의 실시간 입체 영상 변환 장치 구현)

  • Jung, Jae-Sung;Cho, Hwa-Hyun;Yoon, Jong-Ho;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51-85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내 객체들의 운동시차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2차원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입체 영상 변환 알고리즘은 영상 내 객체 분할, 운동시차를 이용한 운동 객체 검출, 시차 처리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으로 변환한다. 입체 영상 변환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좌안과 우안 영상의 절대 차이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MTD 방식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영상의 운동 방향 및 속도에 상관없이 다양한 영상원에 대해 실시간 입체 영상 변환이 가능하다. 입체 영상 변환 장치는 VHDL로 설계하였으며, FPGA 테스트 보드 구현을 통해 성능 및 기능을 검증하였다.

  • PDF

Design and Verification of Omnidirectional 6DoF supported 360VR Image Format (Omnidirectional 6DoF지원 360VR 영상 포맷 설계 및 검증)

  • Yun, Kugjin;Jung, Jun Young;Cheong, Won-sik;Seo, J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38-239
    • /
    • 2019
  • 현재 MPEG은 최대 6DoF(Degrees of Freedom) 사용자 운동시차를 지원함과 동시에 고해상도의 360V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 포맷, 부호화 등 요소기술에 대한 MPEG-I(Immersive)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6DoF는 가상 공간 내 임의의 위치에서 운동시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획득 및 재현하기 위한 360VR 영상 표현 및 포맷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제한된 공간 내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6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한 360VR 영상 포맷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운동시차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실사 환경에서도 획득 및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Real-Time 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Method Using Motion Parallax (운동 시차를 이용한 실시간 입체 영상 변환 방법)

  • Choi, Chul-Ho;Kwon, Byong-Heon;Choi, Myung-Ryul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4
    • /
    • pp.359-366
    • /
    • 2003
  • We propose a real-time 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method that can generate stereoscopic image with different perspective depth using motion parallax from 2-D image and offer realistic 3-D effec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in the 2-D image. The stereoscopic image is generated by computing the motion parallax between adjacent two 2-D images using the proposed method for motion detection, region segmentation and depth map generation.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e for real-time stereoscopic conversion processing on various image formats. It has been verified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between the stereoscopic image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at of MTD.

The effect of depth discontinuity on spreading of motion aftereffect to non-adapted area (비순응 영역으로의 운동 잔여효과의 번짐에 미치는 삼차원 깊이 불연속의 효과)

  • Kham, Kee-Tae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1 no.1
    • /
    • pp.1-24
    • /
    • 2010
  • The stationary image appears to move after we view a moving stimulus for a long time. The motion aftereffect(MAE) can spread to an adjacent region if there is no contrast discontinuity between two regions.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whether a phenomenon of MAE spreading to an adjacent non adapting area is affected by the depth discontinuity defined by binocular disparity. In the first experiment a disparity defined slanted pattern was presented in an unadapted region, and in the second experiment, a disparity defined pattern with a different depth was presented on the fronto-parallel plane. Although MAE duration in the condition with slanted pattern was not different from that in the non-slanted pattern condition, MAE durations in the pattern presented on pronto-parallel plane was vividly reduced, but not completely disappea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henomenon of MAE spreading might be affected by depth discontinuity, and could be occurred after binocular information converges.

  • PDF

Position Estimation of Object Based on Vergence Movement of Cameras (카메라의 vergence 운동에 근거한 물체의 위치 추정)

  • 정남채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 no.4
    • /
    • pp.59-64
    • /
    • 2001
  • In this paper it was proposed method that solve problems of method to segment region of zero disparity and algorithm that extract binocular disparity to estimate position of object by vergence movement of moving stereo cameras experimented to compare those. There was not change of density value almost in region that change of critcal value was not found almost in image, because a high critical value was set so that critical value may be kipt changelessly about all small regions in studied treatise so far. The corresponding points were extracted wrongly by the result. B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region was evaluated by autocorrelation and the critical value was established that may be proportional to the autocorrelation value, it was confirmed that corresponding points are not extracted almost by mistake and binocular disparity could by extracted with high speed.

  • PDF

Development of real time virtual reality simulating a flying ball using binocular disparity (양안시차를 이용한 외야수 뜬 공 잡기 가상 현실 실시간 시뮬레이터 개발)

  • Son, Hae-Rim;Li, Hyung-Chul 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810-814
    • /
    • 2006
  • 그 동안 개발된 시뮬레이터들은 주로 단안 정보에 기초한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양안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양안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시뮬레이터는 게임으로써는 재미에 한계가 있고, 훈련 도구로써 실제 수행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양안 정보를 제공하는 외야수 뜬 공 잡기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양안 정보 제공의 중요성과 개발된 시뮬레이터의 타당성 및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공의 위치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양안 시차가 주어진 조건과 주어지지 않은 조건 각각에 두 집단 구성원들을 무선적으로 배치하여 정답률과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숙련자들은 양안시차가 주어진 조건에서 더 좋은 수행을 보인 반면, 일반인들은 양안시차가 주어지지 않은 조건에서 더 좋은 수행을 보였다. 이는 뜬 공 잡기 상황에서 양안정보가 숙련자들에게는 유용하지만 비숙련자들에게는 그렇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숙련자들이 정답률과 반응 시간 모두에서 일반인들보다 더 좋은 수행을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와 같은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는 양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전의 시뮬레이터들보다 게임이나 훈련 도구로 사용함에 있어 더 효과적이다. 또한 인간의 운동 수행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주가시계열에 대한 확률미분방정식(確率微分方程式)의 모수(母數) 추정(推定)과 자본시장의 운동법칙(運動法則)

  • 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79-337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주가가 확률과정, 즉 확률미분방정식에 의하여 생성되는가를 검정하고 주가의 운동법칙을 규명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가 양수의 완전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으며, 더욱이 3년 정도의 시차까지 의미있는 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수익률과 가격변화의 시계열상관도 존재하고 시계열은 정상성(定常性)을 갖고 있다. 마팅게일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고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계산하고 있는 일별 종합주가지수를 포함한 41개 산업별 지수를 사용하여 자본시장의 운동법칙을 규명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세개의 확률미분방정식을 검정하였다. 각 주가지수들이 온스타인 울렌벡 브라운 운동과정과 평균회귀과정을 따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주가가 편류를 갖는 일반 기하 브라운 운동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이 검정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평균회귀과정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발견은 의외라 할 수 있다. 주가가 온스타인 울렌벡 과정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주가가 제 1계 정상적 자기회귀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에 의하여 생성된다. 가격변화와 수익률의 생성함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이다. 종합주가지수의 제 1계 시계열상관계수는 1이다. 상당히 큰 시차를 갖을 때까지 시계열상관이 대략적으로 1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수가 마팅게일을 따르고 있지 않다. 이 점은 가격변화와 수익률에 있어서도 유사하다. 가격변화, 수익률, 대수수익률의 제 1계 시계열상관이 0.1로 유의적이다. 따라서 수익도 마팅게일 과정을 따르고 있지 않다. 증권가격은 세 번에 걸쳐 구조의 번화가 발생하였다.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평균가격이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장기적 기대가격이 미지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단기적 기대 주가가 알려진 반면 장기적 기대 주가가 미지라면 평균회귀과정은 장기적 기대주가로 회귀하고 있는 과정이므로 장기기대 주가의 미지성이 평균회귀 과정의 기각을 유도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투자자들은 무위험자산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하여 투자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선형의 효용함수를 갖는 위험중립적 태도의 투자자가 아니다. 위험기피형 효용함수 아래에서 투자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합리적 투자자들이라 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자신의 평생에 걸친 소비를 소비가 이루어지는 각 기마다 가급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3D surface configuration on color-motion misbinding (색채- 운동 오결합에서 삼차원 표면배열의 효과)

  • Kham, Kee-Tae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1 no.1
    • /
    • pp.25-45
    • /
    • 2010
  • If color and motion direction of random dots in the central region was combined in opposite fashions with those of random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the color of dots with a particular direction in the peripheral region is perceived as that of dots in the central region, known as color-motion mis-binding phenomenon. In the present study, it is investigated whether mis-binding would happen even if the central and peripheral region do not have a common three-dimensional surfac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dots in the peripheral were presented in a different depth plane with use of binocular disparity, and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disparity of dots in the peripheral region was randomly selected from a given r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mis-binding was weakened, but not completely disappeared even when two regions did not have a common 3D surfa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rface information from motion and stereodepth may influence in the process of color-motion mis-bin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