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편주소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초

GAP 군집화에 기반한 필기 한글 단어 분리 (Word Segmentation in Handwritten Korean Text Lines based on GAP Clustering)

  • 정선화;김수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6호
    • /
    • pp.660-6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필기 한글 문자열 영상에 대한 단어 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gap 의 크기 정보를 사용하여 단어를 분리하는데, 이때 gap은 문자열 영상을 수직방향으로 투영한 후 흰-런 (white-run)을 찾음으로써 구할 수 있다. 문자열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gap들의 크기를 측정한 후, 각각의 gap을 단어와 단어사이에 존재하는 gap과 문자와 문자사이에 존재하는 gap 중 하나로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는 필기 영문 문자열의 단어 분리를 위해 제안된 기존의 세 가지 거리 척도를 채택하고 군집화에 기반한 세 가지 분류방법을 적용하여 한글 문자열의 단어 분리를 위한 최적의 조합을 선정하였다. 우편봉투 상에 작성된 주소열로부터 수작업으로 추출한 305 개의 문자열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BB(bounding box) 거리를 사용하여 순차적 군집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3 순위까지의 누적 단어 분리 성공률이 88.52% 로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하나의 문자열 영상에 대한 단어 분리 속도는 약 0.05초이다.

  • PDF

한글필기체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효율적 기울기 보정 (An Efficient Slant Correction for Handwritten Hangul Strings using Structural Properties)

  • 유대근;김경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_2호
    • /
    • pp.93-10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구조적 특징이 반영된 획들의 통계적인 분포에 근거한 필기 문자열의 기울기 보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기울기 보정 방법들은 대부분 영문위주의 보정 방법으로, 영문과 달리 2차원적 구조를 갖는 한글에 적용하는데는 많은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보정 방법을 적용할 경우 한글에 내재하는 강한 대각선획의 영향으로 인한 역보정의 문제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기울어진 문자열을 제대로 보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추출된 획들의 기울기 분포를 K-평균 군집법을 적용하여 수직획과 대각선획의 두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가우시안 분포로의 모델링을 통해 대각선획을 제외하고 수직획만을 이용하여 기울기 보정을 수행하였다. 임의의 필기자에 의해 필기된 우편봉투 주소 문자열 1,300개에 대해 제안하는 방법과 기존의 방법들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방법들에 비해 역보정률을 크게 낮추고, 기울어진 문자열에 대해 완벽한 보정 성능을 보여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인터넷에 기초한 웹조사 방법 사례연구 : 호주관광객 (The exploration of the Internet-based web survey as a case study: Australian holiday travellers)

  • Yong-Ho Hyun;Yoon-Sook Kim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55-466
    • /
    • 2003
  • 호주에 있는 사례연구로 캔버라관광 웹사이트를 채택함으로써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에 적용된 인터넷 기능들에 대한 온라인 관광객들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자의적 선택 웹 조사방법이 사용되었다 모집단으로서 이미 알려진 집주소와 전화번호들을 갖고 있는 우편조사와 전화조사와 같은 다른 전통적인 조사방법에 비해 웹에 기초한 조사방법을 사용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이다. 이 연구에서 채택된 웹 조사 방법은 심각한 조사오류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려진 모집단이 없는 비확률표본추출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들은 자의적 선택 웹 조사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공식적으로 발행된 통계 자료들과 비교될 필요가 있다. 금번 연구조사는 자의적 선택 웹 조사방법이 어느 정도까지 타당화 될 수 있는 지를 논의한다.

  • PDF

Hough 변환을 이용한 오프라인 필기 한글 문자열의 기울기 추정 및 교정 (Slant Estimation and Correction for the Off-Line Handwritten Hangul String Using Hough transform)

  • 이성환;이동준
    • 인지과학
    • /
    • 제4권1호
    • /
    • pp.243-260
    • /
    • 1993
  • 일반적으로 필기자의 습관이나 필기방향 등의 원인으로 종종 필기 문자열에서 기울어짐이 발생한다.이러한 문자열의 기울어짐은 문자 단위 분할시 분할 알고리즘을 복잡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문자인식 성능에도 큰영향을 미친다. 본연구에서는 선 성분의 검출 및 기울기 측정에 유용한 Hough 변환을 이용하여 단어내 수직획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입력 필기 문자열 영상의 윤곽선을 Hough 변환에 적용하여 신 성분을 검출하고 기술어진 가도를 추정한다.실제로는 수직획이 아닌 점들이 모여 선 성분으로 검출된 경우을 제거하기 위해 임계치 이하의 길이를 갖는 선 성분은 기울기 추정 대상에서 제외한다.기울기 교정은 x좌표 값만 변환시키는 밀림 변환을 사용한다.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우편봉투에서 얻은 주소 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오프라인 필기 한글 문자열의 기울기 추정 및 교정에 있어서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함을 알수 있었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의 만족도 (The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in the Hospice Service)

  • 박테레지아;라정란;서인옥;조영이;최숙경;박명희;허정희;김은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권2호
    • /
    • pp.91-100
    • /
    • 1999
  •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여 돌봄을 받았던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1998년 4월에서 6월까지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 33명과 1993년 3월에서 1998년 3월까지 입원하여 임종한 사별 가족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QI(Quality Improvement)의 조사원이 시행하였으며 입원 환자 가족은 입원 $1{\sim}2$주 가족에게 질문지를 직접 배부하였고 사별 가족은 주소 화인을 통해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결과 : 1) 입원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의 만족도는 평점 최대 5.0에 비하여 평점 3.50 이상이었다. 2)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지지,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사별 가족에서는 가족지지,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병동 시설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3) 가족관계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 간호,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4) 종교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 간호,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사별 가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호스피스 돌봄은 말기 암 환자의 가족에게 몇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가족의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호스피스 팀 접근을 통한 간호가 필요하며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족의 요구를 살펴보아야 하겠다. 또한 추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