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in the Hospice Service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의 만족도

  • Park, Theresia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Ra, Jeong-Ran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Seo, In-Ok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Cho, Young-Yee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Choi, Suk-Kyung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Park, Myung-Hee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Heo, Jeong-Hee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Kim, Eun-Kyung (Hospice Uni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박테레지아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라정란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서인옥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조영이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최숙경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박명희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허정희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 김은경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
  • Published : 1999.12.10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in the hospice services provided for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whose members had been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the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thods : This sample consisted of 33 families of hospice patients during the period of April to lune, 1998 and 30 bereaved families whose patients had died from March, 1993 to March, 1998.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Results : 1) The satisfaction level of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showed the mean value of 3.5 where the highest value is 5.0. 2) According to ag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hospice philosophy, support for the family, medical management and nursing management(P=0.0001).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bereaved famil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 of support for the family, medical management, nursing management, and facilities of the hospice unit(P=0.0001). 3) By family relationship,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hospice philosophy, support for the family, medical management and nursing management (P=0.0001). 4) According to relig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hospice philosophy, support for the family and nursing management (P=0.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bereaved families.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hospice services had positive influence on families with terminal disease such as cancer. To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hospice services for families with hospice patients, we need to provide care by an interdisciplinary hospice team approach, and to assess needs of the families according to their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large samples.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여 돌봄을 받았던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1998년 4월에서 6월까지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 33명과 1993년 3월에서 1998년 3월까지 입원하여 임종한 사별 가족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QI(Quality Improvement)의 조사원이 시행하였으며 입원 환자 가족은 입원 $1{\sim}2$주 가족에게 질문지를 직접 배부하였고 사별 가족은 주소 화인을 통해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결과 : 1) 입원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의 만족도는 평점 최대 5.0에 비하여 평점 3.50 이상이었다. 2)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지지,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사별 가족에서는 가족지지,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병동 시설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3) 가족관계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 간호,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4) 종교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 간호,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사별 가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호스피스 돌봄은 말기 암 환자의 가족에게 몇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가족의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호스피스 팀 접근을 통한 간호가 필요하며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족의 요구를 살펴보아야 하겠다. 또한 추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