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편주소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7초

새우편번호 기반의 소형통상 우편물 구분처리 기술동향 (Postal Automated Sorting Technology based on New Postcode Scheme)

  • 김동호;윤대섭;김주완;박진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5호
    • /
    • pp.89-98
    • /
    • 2015
  • 우편번호는 우편업무에서 활용되는 배달지역에 대한 특화된 기호체계로서, 일련의 주소목록에 대한 색인 역할을 한다. 전국을 3만 4천여 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한 새우편번호를 2015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우편물의 접수에서 배달에 이르는 업무 영역의 전반에 걸쳐 새우편번호를 토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서장으로 불리는 소형통상우편물은 우리나라 우편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효율적인 자동구분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소형통상우편물은 우체국에서 접수된 후, 전국의 우편집중국으로 운송되어 소형통상구분기에서 발송/도착 구분작업이 진행된다. 본고에서는 새우편번호에 대해 소개하고, 소형통상우편물을 중심으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구분처리 기술의 현황을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제품 및 서비스의 단계적 전개방안 및 운용 프로세스 표준화: 주소정보를 중심으로 (Deployment Plan and Standardized Ope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s and Services)

  • 장태우;정한일;박찬권;김호연;공재현;나홍범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406-412
    • /
    • 2005
  •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 있는 현재의 우편환경에서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운용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품/서비스의 국내외 현황 및 상호연관관계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필요 제품/서비스의 단계적 전개 방안을 도출하고, 관리 및 제공을 위한 운용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였다. 특히 선진 사례와 주소정보 관련 업무 분석을 위해서 IDEF0 방법론을 확장하여 그 결과를 도식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주소정보 제품 및 서비스의 도입 및 운용 시 활용될 것이다.

  • PDF

만료된 도메인의 전자우편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vacy Violation Vulnerability Through E-Mail Sent to Expired Domains)

  • 김동현;홍윤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6-149
    • /
    • 2022
  •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메일로 문서를 주고 받거나 온라인 서비스에 가입하는 등 전자우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용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도메인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이나 교육기관의 자체 도메인을 사용하는 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하던 전자우편의 도메인이 만료될 경우 다른 개인이나 기관이 해당 도메인을 사용 할 수 있고, 새로운 도메인 소유자는 도메인으로 전송되는 모든 전자우편을 수발신 할 수 있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크다. 기존 이메일 주소로 전송되는 모든 전자우편을 확인할 수 있기에 비밀번호 재설정 안내, 신용카드 명세서, 전자상거래 주문 내역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전자우편 역시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사이트 등 의존성이 유지된 채 전자우편로 사용되던 도메인이 만료될 때 야기되는 개인정보 피해를 기술하고 해결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법에 기초한 북마크 분류 에이전트 (Bookmark Classification Agent Based on Naive Bayesian Learning Method)

  • 최정민;김인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05-408
    • /
    • 2000
  • 최근 인터넷의 발전으로 많은 정보와 지식을 우리는 인터넷에서 제공받을 수 있게되었다.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는 수많은 웹서버에 산재되어 있으며, 정보의 위치는 주소(URL)를 가지고 존재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있는 정보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하여 웹브라우저 북마크(Bookmark)기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북마크 기능은 웹문서의 주소 저장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후 북마크의 개수가 증가하면, 사용자는 북마크관리가 어렵게되므로 사용자 북마크 파일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관리할수 있는 에이전트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분류에이전트 시스템으로는 전자우편 분류 에이전트인 Maxims, 뉴스기사 분류 에이전트인 NewT,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선별 에이전트인 Ringo 등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분류할 대상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습의 에이전트 기능을 보이고 있으며, 본 논문은 기계학습 이론중 교사학습 알고리즘인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방법(Naive Bayesian Learning method)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분류하지 못한 북마크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단일 에이전트 기반 북마크 분류기를 설계, 구현하고자한다.

  • PDF

데이터베이스 효율성 강화를 위하여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다단계 주소 정제 방안 (Enhancing Database Efficiency using Knowledge Base Dependent Multistage Address Cleansing Technique)

  • 조재익;이태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5-418
    • /
    • 2005
  • 데이터베이스는 인터넷 사이버 공간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와 활용 정보 등을 저장, 관리 하고 있다. 저장된 불필요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삭제 하거나 혹은 올바른 정보로 수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한다면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감소 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의 오류로 발생할 수 있는 우편 발송이나 기타 사용자 관리 등에서의 부차적인 손실 또한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주소를 올바른 주소로 정제해 줄 수 있도록 지식기반을 이용한 다단계 정제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 PDF

정크메일 차단을 위한 FQDN 확인 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QDN Check System to Filter Junk Mail)

  • 김성찬;이상훈;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361-368
    • /
    • 2005
  • 인터넷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전자우편은 모든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인 통신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전자우편의 사용 급증으로 사용자들의 전자우편 주소가 인터넷상에 노출되고 그 부작용으로 정크 메일, 스팸 메일이라 불리는 수신을 원하지 않는 메일의 수신빈도와 그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높아져 그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더구나 근래의 스팸, 정크 메일은 단순히 광고성 메시지를 전달하기 보다는 시스템을 공격하기 위한 바이러스나 해킹 도구를 전파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컴퓨터 침해 사고의 심각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팸, 정크 메일을 FQDN 확인을 통해 차단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해서 사용해 보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량 우편물의 자동 구분처리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고객 바코드 검증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ustomer Bar Code Verification System for Improvement of Automatic Sorting Process in the Bulk Mail)

  • 박문성;정윤수;진병운;이용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331-333
    • /
    • 2001
  • 문자인식 기술에 의해 우편번호와 주소를 인식하고 4-state 바코드를 인쇄하여 배달순서로 자동구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4-state 바코드를 사전에 인쇄하여 접수될 경우에는 바코드의 인쇄규격 및 수록된 정보의 검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 의하여 4-state 바코드를 인쇄규격 검증을 위하여 심볼의 두께 및 공간 값이 정확한 값이 획득, 심볼의 훼손상태, 기울기 값, 수록된 정보인 우편번호와 배달순서 코드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시험결과에 의하면 소형통상 우편물 1통에 대하여 인쇄규격 검증을 위한 소요시간을 30~60msec 이내에 가능하게 되었다.

  • PDF

연결요소 분석에 기반한 인쇄체 한글 주소와 필기체 한글 주소의 구분 (Classification of Handwritten and Machine-printed Korean Address Image based on Connected Component Analysis)

  • 장승익;정선화;임길택;남윤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0호
    • /
    • pp.904-91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우편봉투 상에 기입된 인쇄체 한글 주소와 필기체 한글 주소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문자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각종 응용 시스템에서 입력 영상이 인쇄체인지 필기체인지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인쇄체 영상과 필기체 영상이 갖는 특징이 상이하여, 각 영상에서의 문자 및 문자열 분리 방법, 문자 인식 방법 둥이 매우 상이하게 개발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분 방법은 연결요소 추출 및 병합, 특징 추출, 영상 구분 순으로 수행된다. 연결요소 추출 및 병합 단계에서는 입력영상으로부터 연결요소를 추출한 후 일부 연결요소들에 대하여 병합을 시도하며, 특징 추출 단계에서는 병합결과 얻어진 연결요소들의 그룹들로부터 폭과 위치에 관련된 특징을 추출하고, 영상 구분 단계에서는 추출한 특징을 입력으로 제공받는 다충퍼셉트론을 사용하여 구분을 시도한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제 우편물로부터 추출된 3,147개의 한글 주소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98.85%의 구분률을 보여주었다.

한글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필기 문자열의 기울기 보정 (Slant Correction of Handwritten Strings using Properties of Korean Characters)

  • 유대근;김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322-32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글 문자열의 기울기 보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이 대부분 영문위주의 보정 방법으로 한글에 적용하는데는 많은 문제가 있다. 특히, 한글에 존재하는 대각선 획으로 인한 역 보정으로 문자열을 심하게 손상시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제안하는 방법은 한글 문자열에 존재하는 대각선 획들을 기울기 보정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제외시킴으로써 기존 방법에서 나타나는 역보정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임의의 필기 자들에 의해 필기된 우편봉투 주소문자열 500개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역보정을 크게 줄여 기존의 방법보다 좋은 보정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돋보기 / "개인정보보호 밑빠진 독에 물 붓기"

  • 임태훈
    • 디지털콘텐츠
    • /
    • 12호통권91호
    • /
    • pp.64-67
    • /
    • 2000
  • K사에 근무하는 이모씨는 인터넷을 써핑하다가 우연히 모회사의 신입사원 합격자 명단을 보게되었다. 이명단에는 신입사원들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나와 있었다. 이씨는 명단에 나와있는 이름중에서 김모씨를 골라 무료로 E-mail계정을 제공하는 W사에 접속한후 인명검색을 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W사에는 이씨의 예상대로 합격자 명단에서 골랐던 김씨가 가입되어 있었다. 인명검색으로 이씨는 김씨의 아이디를 쉽게 알아낼수 있었다. 문제는 비밀번호 이씨는 주민등록번호를 몇번 조합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한뒤 로그인을 시도했지만 에러 메세지가 계속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는 곳 해결되었다. 이씨는 로그인 아래 버튼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를 클릭했다. 그러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를 받을 E-mail 주소를 입력하는 란이 나왔다. 이씨는 김씨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이씨 자신의 E-amil 주소를 입력하였다. 약 5분뒤 이씨는 명단에서 골랐던 김씨의 비밀번호를 자신의 E-mail로 받아 볼수 있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아낸 이씨는 김씨의 전자우편을 낱낱이 볼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