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편주소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효율적인 순로코드 발생을 위한 고속 한글 주소검색 시스템 개발 (High-Speed Korean Address Searching System for Efficient Delivery Point Code Generation)

  • 김경환;이석구;신미영;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3호
    • /
    • pp.273-284
    • /
    • 2001
  • 실제로 사용되는 주소의 분석을 통해 한글주소의 해석방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주소해석 방법을 이용한 주소 검색시스템의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주소 상위 및 하위영역의 일치검증을 각각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2단계 과정을 통해 최종 배달점에 대한 순로코드를 발생한다. 우편 번호와 주소 상위영역 일치검증 단계에서는 우편버호를 이용하여 주소사전에서 검색된 주소단어와 인식된 문자 후보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편 번호를 검증하게 되며, 주소 상위영역과 주소 하위영역이 분리된다. 주소 상위영역 일치검증 과정의 성능향상을 위해 혼동행렬을 제안하고, 주소 인식결과에 혼동행렬을 적용하여 검증 성공률의 향상을 통해 혼동행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주소 하위영역 검증은 번지정보와 건물명 정보를 이용하여 순로코드를 발생하였다. 부분적으로 완성된 광주와 부산지역의 DPF(Delivery Point File)와 레이블링된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 가능한 주소에 대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순로코드를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서장 우편물 자동처리를 위한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 (Postal Envelope Image Recognition System for Postal Automation)

  • 김호연;임길택;김두식;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4호
    • /
    • pp.429-4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 자동처리론 위한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을 소개한다.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은 서장 우편물을 집배원이 배달하는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우편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수신인 주소를 출력하는 인식 시스템을 말한다. 이 시스템은 수신인 주소영역 추출, 문자열 분리, 문자분할, 문자인식, 그리고 주소해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주소영역 추출을 위해서는 우편물 주소 기입 위치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문자열 분리와 문자분한을 위해서는 연결요소 분석과 수직런 분석을 이용하였다. 문자인식에는 신경망 기반 인식기를 이용하였으며, 주소해석을 위해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였다.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인식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모듈별 최적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에는 대전 유성우체국의 우편물 구분기를 이용하여 실제 우편물에서 수집한 인쇄 우편영상과 필기 우편영상을 이용하였으며, 비교적 우수한 인식 결과를 얻었다.

우편물 처리원가 절감을 위한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 (Customer Barcode Support System for the Cost Saving of Mail Items)

  • 황재각;박문성;송재관;우동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563-2573
    • /
    • 1999
  • 현재 우편집중국에서는 우편불 자동처리를 위하여 광학문자판독기예 의하여 우편물의 우편번호 인식하고, 인식된 우편번 호에 의하여 형광바코드를 인쇄한다 그리고 이 형광바코드를 판독하여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고 었다. 이 자동구분처리 과정에서 오류우편툴 중에서 대부분은 우편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우편번호와 기재와 특정 글꼴 및 흘립체로 기재된 우편변 호의 인식율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에 따른 판독 불능 등이 주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 바코드 인쇄 제도를 도입하고 정확한 우편주소에 의한 우편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우편물 자동처리 향상을 위한 노력 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 주소를 이용한 우편번호 검출, 우편번호 변경시 우편번호 관리, 고객바코드 인쇄 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이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을 우편 이용자들에게 배포하여 사용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우편물 자동처리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이다.

  • PDF

홍보우편 서비스 및 기술 동향 (Trends of the Unaddress Mail Service and Technology)

  • 나동길;이헌규;정훈;박종흥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5권4호
    • /
    • pp.83-92
    • /
    • 2010
  • 인터넷과 모바일의 활성화로 지속적으로 우편물량이 감소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우편 사업자들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신규 시장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객의 주소를 보유하고 있는 선진 해외 우정사업자들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를 위한 기업의 전통적인 마케팅 방법인 Direct Mail(DM)에 지리정보(GIS) 기반의 고객관리기법(gCRM)을 접목한 홍보우편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홍보우편을 위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 캐나다, 독일의 홍보우편 서비스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우정사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홍보우편 마케팅 기법과 고객주소, GIS, gCRM 등이 결합된 홍보우편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요소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다국어 전자 우편 주소 지원을 위한 IMAP 서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AP Server Supporting E-mail Address Internationalization(EAI) in a Mobile Environment)

  • 이진규;김경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10호
    • /
    • pp.343-348
    • /
    • 2015
  • 다국어 전자 우편 주소의 필요에 의해 IETF의 EAI(E-mail Address Internationalization) 워킹 그룹은 2006년부터 다국어 전자 우편과 관련된 광범위한 표준들을 만들어왔다. 본 논문의 저자는 선행 연구로서 EAI RFC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SMTPUTF8 메일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SMTPUTF8 메일 서버는 EAI RF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새로운 SMTP 서버와 POP3 서버로 구성된다. 하지만 SMTPUTF8 메일 서버는 EAI RF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새로운 IMAP 서버를 포함하지 않았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받은 전자 우편을 확인하고 새로운 전자 우편을 작성하여 보낸다. 모바일 환경에서 IMAP 서버는 POP3 서버보다 더 유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국어 전자 우편 주소를 지원하기 위해 IETF의 EAI 워킹 그룹에서 발표한 새로운 IMAP 표준을 지원하는 IMAP 서버와 IMAP 클라이언트 앱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SMTPUTF8 메일 서버 사용자들이 모바일 환경에서 IMAP 클라이언트 앱을 통해 다국어 전자 우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새로운 IMAP 서버는 SMTPUTF8 메일 서버에 추가된다.

수신자 실명 표시 전자 우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E-mail system for displaying real name of receiver)

  • 김태달;김민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49-55
    • /
    • 2004
  • 전자 우편을 이용함에 있어서 수신자의 전자 우편 주소 입력 시 오타 혹은 오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 우편 발송의 실패에 대해 수신자 실명을 표시하는 전자 우편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수신자 실명을 표시하는 전자 우편 시스템이란 전자 우편 자성 시 발송자가 입력하는 수신자의 전자 우편 주소를 통해 수신자의 실명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한 후 검색된 실명을 발송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전자 우편의 발송확률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전자 우편의 발송 성공률과 데이터의 유출, 부정확한 전자 우편 발송에 따른 서버의 과부하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우편 물류 환경에 새주소 체계 도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Impact and Correspondence for Introduction of New Address System in Postal Logistics Environments)

  • 박정현;김호연;박종흥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216-2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도로명과 건물 번호에 기초한 새주소 체계를 우편 물류 환경에 도입하므로 발생되는 문제점과 영향 요소를 기술하며 각각의 영향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을 모색한다. 새주소 체계는 우편물의 접수 및 구분 및 배달 과정에서 모두 영향을 주며 현재의 정보 시스템이나 우편물 구분 장치에도 직.간접을 영향을 주어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주소 체계를 관리하는 우편 주소 관리 시스템 도입이 요구되고, 아울러 기존의 지번 주소와 새주소의 매칭 테이블 구축 및 집배구 수작업 구분 환경 개선 등이 요구되며, 중.장기적으로는 새주소 DB 구축을 통한 우편물 구분 장치의 새주소 인식 기능 개선 및 새주소 체계에 적하한 우편번호 및 집배구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

  • PDF

CCD스캐너 시스템에서 획득된 표준 택배 라벨 영상의 주소 영역 검출 (Detection of Address Region of Standard Postal Label Images Acquired from CCD Scanner System)

  • 원철호;송병섭;박희준;이수형;임성운;구본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0-37
    • /
    • 2003
  • 최근 들어 인터넷 및 TV 홈쇼핑 등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인하여 소포 및 택배 등의 물류량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의 효율적인 운송을 위하여 우편 물류 시스템의 고도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소포 및 택배의 빠른 처리를 위하여 CCD스캐너 시스템이 필요로 하게 된다. 대량의 우편 물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CCD 스캐너 영상으로부터 택배 라벨의 주소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자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체국 표준 라벨의 주소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는 주소 영역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이용하였으며, 주소 영역의 고속 검출을 위한 판단 기준을 정의하여, 실시간으로 택배 라벨의 주소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온톨로지 기반의 주소체계 의미 불일치 해결방법 (An Ontology-based Method for Solving Semantic Heterogeneity of Address System)

  • 김명희;김장원;이석훈;백두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6-139
    • /
    • 2010
  • 우리나라 주소는 우편번호를 기준으로 한 주소체계, 법정동을 기준으로 한 주소체계, 행정동을 기준으로 한 주소체계, KT 에서 관리하는 KT 주소체계 등 주소관리가 통합되어 있지 않고, 각 기관, 기업별로 주소 관리를 별도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관과 기업들간의 상이한 주소체계 관리문제로 인해 서로간의 주소체계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다양한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소 명칭에 대한 보다 자동화된 맵핑이 가능하도록 KT 주소, 우편번호주소, 행정동/법정동코드를 대상으로 온톨로지를 사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주소정보간의 의미관계성을 유지하여 이기종 주소체계의 의미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다 자동화된 데이터관리와 장기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클러스터 신경망을 이용한 우편번호 인식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Zip Code Recognition System Using Cluster Neural Network)

  • 김종석;홍연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2-140
    • /
    • 2001
  • 최근에는 대부분의 우편물 봉투가 창이나 색깔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창이 있는 봉투와 색깔이 있는 우편 봉투 영상에서 구조적 방법을 분석하여 수취인 주소 영역을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이치화전 에지 검출을 이용하여 문자열 추출 후 검출된 블록에 대해 적응 이치화를 적용함으로써 이치화 후 우편 번호를 검출할 때보다 우편 봉투의 숫자 패턴이 밝기 및 주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점에서 더 효율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