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편업무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Postal Code (우편번호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Jang, Tae-U;Im, Jun-Muk;Kim, Ho-Yeon;Bae, S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05-1011
    • /
    • 2005
  • 우편번호는 우편물 구분작업의 자동화와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1970년 도입된 후 2차 개정을 거친 우리나라 우편번호 체계는 행정구역의 변화, 우편환경의 변화, 집중국 물류체제로의 변화 등으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우편번호 체계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우편번호 사용 고객을 정의하고 요구사항 및 특성을 분석한 후, 품질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우편업무에 대한 전문가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및 제안된 우편번호 체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개선안에 대한 우편환경 영향평가도 간략히 실시하였다.

  • PDF

Postal Automated Sorting Technology based on New Postcode Scheme (새우편번호 기반의 소형통상 우편물 구분처리 기술동향)

  • Kim, D.H.;Yoon, D.S.;Kim, J.W.;Park, J.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5
    • /
    • pp.89-98
    • /
    • 2015
  • 우편번호는 우편업무에서 활용되는 배달지역에 대한 특화된 기호체계로서, 일련의 주소목록에 대한 색인 역할을 한다. 전국을 3만 4천여 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한 새우편번호를 2015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우편물의 접수에서 배달에 이르는 업무 영역의 전반에 걸쳐 새우편번호를 토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서장으로 불리는 소형통상우편물은 우리나라 우편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효율적인 자동구분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소형통상우편물은 우체국에서 접수된 후, 전국의 우편집중국으로 운송되어 소형통상구분기에서 발송/도착 구분작업이 진행된다. 본고에서는 새우편번호에 대해 소개하고, 소형통상우편물을 중심으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구분처리 기술의 현황을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Post Office (인터넷 우체국의 관리국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weon, Oh-Hyung;Pak, Kwan-Min;Ock, Jae-Ho;Hwang, Seong-Oun;Yun, Gi-Song;Ju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247-1250
    • /
    • 2000
  • 인터넷 우편 시스템은 크게 3 부분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우편을 보내는 전처리국과 메일을 받아서 인쇄하고 자동 봉합하는 우체국으로서의 후처리국, 그리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우편흐름을 관리하고 결제업무를 담당하는 관리국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우편 시스템에서 관리자의 원활한 관리업무와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와 구현을 중심으로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 PDF

A Study on Korea Postal Addressing Standards (한국 우편주소 표기 표준에 관한 연구)

  • Wang, Seung-Jin;Chang, Tai-Woo;Kim, Ho-Yon;Nam, Yun-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3
    • /
    • pp.703-708
    • /
    • 2004
  • Currently the amount of general letter mail in Korea is on an increasing trend; especially it shows the seasonality that is concentrated in the end of the month or the year. However, the situation is not treated appropriately Moreover. manpower insufficiency if the carriers causes the poor service and the heavy burden of work. Under the existing conditions, the various efforts such as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sequence sorting system and construction of the address database are given in order to quicken mall process and lighten the carriers' burden But the inconsistent addressing and the various expressions of address drop the systems and the carriers off in efficiency.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Korean postal addressing standards to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ddress recognition and help postmen to sort the mail;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substance. After analyzing the domestic system,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 problems of postal address, we propose four fundamentals and the standards including synonyms and acronyms. In addition, we suggest several considerations for mail format.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support the postal service in Korea as a basic stand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ost-Office for Internet Mail System (전자 우편 시스템의 우체국 설계 및 구현)

  • 황욱철;최원호;김도우;조증보;유홍식;정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42-346
    • /
    • 2001
  • 인터넷 우편 시스템은 기존의 우편시스템을 인터넷이라는 공용 망을 이용해서 재구성함으로서 우체국 업무의 효율성은 물론, 사용자의 편이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인터넷 우편 시스템은 크게 3가지로 Front Agent(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End Agent(우체국), Management Agent(관리부) 나뉘어 지는데 본 논문에서는 EndAgent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 PDF

Status of Automation Technologies for the Acceptance and Delivery of Postal (우편물 접수·배달 자동화기기 기술현황)

  • Park, M.S.;Na, D.G.;Jung, 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5
    • /
    • pp.114-124
    • /
    • 2014
  •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개인 중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매년 통상우편에 대한 접수 물량은 지속적 감소되고 있고, 비정형 우편물과 소포(택배) 접수 물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우편서비스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각국의 우편물류 사업자들은 우편물 접수 및 배달업무에 정보통신기술과 자동화기술을 활용하여 고객편익 증진과 우편사업의 경영개선을 목적으로 우편용 접수 및 배달 자동화기기 기술을 개발 및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편용 접수 자동화기기와 무인 택배시스템에 대한 국외 기술동향과 최근 무인우체국 구축에 사용된 국내 우편 접수 및 배달 자동화기기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ostal Route Optimization System Model (우편 경로 최적화 시스템 모델 설계 및 구현)

  • Nam, Sang-U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6
    • /
    • pp.1483-1492
    • /
    • 1996
  • In this paper, related on the postal business with the GIS(Geographics Information System), it discuss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S(Postal Route Optimization System) model and its main module, the shortest path generation algorithm, for supporting to postal route managements. It explains examples requirements of postal route system, and suggests the efficient PROS model using our developed shortest path generation algorithm. Because the shortest path algorithm adopts not only consider the Dijkstra algorithm of graph theory, but also the method with the direction property, PROS can be implemented with fast and efficient route search. PROS is mainly constituted of the Shortest Generator, the Isochronal Area Generator, and the Path Rearrangement Generator. It also exploits the GIS engine and the spatial DBMS (Data Base Management System) for processing coordinates in the map and geographical features. PROS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postal delivery business and delivery area and route, and in the rearrangement of route. In the near future, it can be also applied to commercial delivery businesses, guides of routs and traffic informations, and auto navigation system with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PDF

A Study on Managerial Strategies of Electronic Mail(E-Mail) Messages as Records (전자우편문서의 기록관리적 접근전략에 관한 연구)

  • Seo, Eun-G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4 no.1
    • /
    • pp.1-21
    • /
    • 2004
  • Records may furnish proof of a particular action, contain information that protects the rights of individuals or government, and document decisions made during the course of government business. As business in and between government agencies will increasingly be conducted through electronic messaging service, the need to manage e-mail messages and systems is the same as for other record management systems concerning the creation of, retention of, and access to public records. Therefore government agencies that use electronic mail(e-mail) have an obligation to make employee aware that e-mail messages, like paper records, must be managed according to established record management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guidelines and/or strategies on managing e-mail messages as records for agencies which must take steps in order to make, capture, maintain, dispose, store, protect, and provide access to e-mail messages. This paper discusses on the definition of e-mail messages, principles on managing e-mail message, and how to manage e-mail messages as records.

Classification and Allocation method of e-mail using possibility distribution and prediction (확률 분포와 추론에 의한 이메일 분류 및 정리 방법)

  • Go, Nam-Hyeon;Kim, Ji-Yun;Choi, Ma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95-9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디리클레 분포와 베이즈 추론 모델을 활용하여 전자우편을 분류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과거 원치 않는 광고성 이메일인 스팸 탐지에서 시작한 전자우편 분류는 지속적인 송수신 량의 증가와 내용의 다양화로 인해 광고성과 정보성의 판단 기준이 모호해진 상태이다. 스팸 탐지와 같은 이분법적 분류 방식이 아닌 내용의 주제 별로 자동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제안 기법은 전자우편의 내용에서 다뤄질 수 있는 주제의 종류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발신하거나 수신된 전자우편이 속한 주제를 자동으로 정할 수 있다. 본 제안 기법의 활용을 통해 전자우편의 분류만이 아닌 업무 및 시장 동향 분석과 정보보안 분야에서는 악성코드 분류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H university professors' Perceptions Analysis on Managing Electronic mail as Records in University Groupware (대학 그룹웨어 전자우편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연구 - H대 교수를 중심으로 -)

  • KIM, Ae-Young;SEO, E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109-112
    • /
    • 2018
  • 대학의 그룹웨어에서 생산 및 유통되는 전자우편 중 대학의 업무 및 학과행정과 관련된 공문과 회의내용은 대학의 주요 행정기록물이며 중요한 증거자료이지만, 현재 대학 구성원간의 유통되는 전자우편기록에 관련된 법령 또는 규정, 지침 등이 수립되지 않아 체계적으로 관리가 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그룹웨어 전자우편을 행정기록으로서 관리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 대학 교수의 그룹웨어 전자우편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전자우편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