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주비행

Search Result 1,5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산업 - 수리온, 초도비행 통해 개발성공 자신!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s.107
    • /
    • pp.32-33
    • /
    • 2010
  • 한국형기동헬기(Korean Utility Helicopter) 수리온이 비행 모습을 일반에 최초 공개했다. 뿐만 아니라 시험 개발기라는 사실이 무색할 정도로 뛰어난 비행성능을 과시했다. 지난 6월 22일, 경남 사천에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서 진행된 '수리온 초도비행성공 기념행사'를 통해 현재까지의 수리온 개발 경과와 향후 발전방향을 전망해 본다.

  • PDF

우주발사체 추적용 비행종단지령장비 기술동향

  • Lee, Seong-Hui;Bae, Yeong-Jo;O, Chang-Yeol;Lee, Hyo-Geu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2
    • /
    • pp.77-86
    • /
    • 2007
  • 우주발사체 추적용 지상국비행종단지령장비는 위성발사체 발사 후 비행 중 일어날 수 있는 비상사태(비행안전영역을 벗어나거나 지상에서 더 이상 추적이 불가능할 경우)에 대하여 지상통제장치에서 비행종단을 명령하여 비행을 강제로 종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발사체에 비행종단을 명령하는 방식은 발사체의 종류 및 운용개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가청주파수 대역의 톤 신호를 조합하는 IRIG 표준 톤 방식과 Secure 방식, 또한 잡음 및 보안특성에 강한 암호화 코드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비행종단명령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송방식 및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세계 각국 및 국내 나로우주센터(고흥)에서 설치 운용 중인 지상국비행종단지령장비에 대한 운용개념 및 주요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SPENVIS를 이용한 우주환경 영향 시뮬레이션

  • 이주희;최기혁;김종우;서석배;임현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93-93
    • /
    • 2003
  • 우주환경은 궤도상의 우주비행체 임무에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우주환경 인자로는 방사선대,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 우주선(cosmic rays), 플라즈마(plasmas), 미세 우주 파편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비행체의 설계 시 우주환경에 대한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우주비행체 개발에 반영하고 있다. European Spare Research & Technology Center(ESTEC)는 1998년 European Space Agency(ESA)의 지원을 받아 Spac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SPENVIS)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SPENVIS는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비행체의 우주환경에 대한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서 각종 우주환경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파라메타(parameter) 값을 입력하고 그래픽과 텍스트로 결과를 알아볼 수 있다. SPENVIS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사용자 등록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및 확장을 통해 신뢰도를 높여가고 있다. 본 시뮬레이션 연구수행을 통하여 SPENVIS의 우주환경 영향 연구에 향후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AIR DRAG IN OPTIMAL POWER-LIMITED RENDEZVOUS BETWEEN COPLANAR LOW-EARTH ORBITS (유한 전력 추력기를 사용하는 우주비행체의 동일 평면상에서의 랑데뷰시 공기저항의 영향)

  • 맹길영;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5 no.1
    • /
    • pp.221-228
    • /
    • 1998
  • The effect of air drag was researched when a low-earth orbit spacecraft using power-limited thruster rendezvoused another low-earth orbit spacecraft. The air density was assumed to decrease exponentially. The radius of parking orbit was 6655.935km and that of target orbit was 7321.529km. From the trajectories of active vehicles, the fuelconsumption and the magnitude of thrust acceleration, we could conclude that the effect of air drag had to be considered in fuel optimal rendezvous problem between low-earth orbit spacecrafts. In multiple-revolution rendezvous case, the air drag was more effective.

  • PDF

또 하나의 동력비행, 화이트헤드

  • Song, Byeong Gyu
    • Aerospace Industry
    • /
    • v.63
    • /
    • pp.40-43
    • /
    • 1998
  • 지난 호에서는 인류 최초의 무인동력비행에 성공했고 라이트형제보다 먼저 유인동력비행에도 성공할 뻔했던 랭글리 교수의 이야기를 알아보았다. 이번호에서도 역시 최초의 유인 동력비행에 얽힌 이야기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 PDF

Current Status of Ceramic Composites Technology for Space Vehicle (우주비행체용 세라믹 복합재료 해외기술 동향)

  • Lee, Ho-Su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7 no.2
    • /
    • pp.76-84
    • /
    • 2009
  • In this review an attempt is made to give the background to the current trends in foreign developments in the ceramic matrix composites for space vehicles. The lightweight and high temperature specific modulus properties of ceramic composites have continued to develop for designing advanced propulsion structures and for increasing space vehicle performances. Those applications require advanced materials with good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s, to oxidation environments and to mechanical stresses. The advantages of ceramic matrix composites are the low specific weight, the high specific strength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s, and their good damage tolerance compared to tungsten, pyrographites and polycrystalline graphites. Due to these advantages ceramic matrix composites are currently used in rocket engine chamber, nozzle, solar array, radar antenna, mirror support structures, hypersonic leading edge articles, heat shields, reentry vehicle nose tips, and radiators for spacecraft. Various processes are discussed together with examples of current application so that some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can be possibly applied to Korean space technology.

  • PDF

Trend of European Spacecraft Simulator Development (유럽 우주비행체 시뮬레이터 연구개발 동향)

  • Lee, Hoon-Hee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6 no.2
    • /
    • pp.69-79
    • /
    • 2008
  • As the cost of the operational spacecraft simulator is a large portion of the spacecraft cost and its requirements increase, it is given the pressures to reduce the cost and the development period. For that reason, the space industry with the coordination of ESA has made a study of the reuse in a wide scope across space projects. Its scope includes not only simulation software itself but also software requirements, design, work experience and developing process/methodology. The standard for simulator model portability and the efficiency enhancement of the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several projects. This paper describes the recent trend of the spacecraft simulator in Europe and the present status of its the study and the development.

  • PDF

Technological Trends in Space Solar Sails (우주태양광 비행선의 기술 동향)

  • Yoon, Yong-Sik;Choi, Jung-Su;Kim, Hyung-Wa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2
    • /
    • pp.24-30
    • /
    • 2010
  • Space solar sails are a form of spacecraft propulsion using the radiation pressure of light from a star or laser to push enormous ultra-thin mirrors to high speeds. With respect to it, U.S.A, Japan, E.U. and Russia, etc. have performed a substantial research and the space flight test. On May 2010, JAXA succeeded in launching the world's first interplanetary solar sail spacecraft "IKAROS" to Venus. Currently, solar sail propulsion is aimed chiefly at accomplishing a number of non-crewed missions in any part of the solar system and beyond. This paper presents the technology trend of advanced countr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solar sails as a new propulsion method for the space investigation and travel.

  • PDF

항공기 운항의 마스터 플래너 - 운항관리사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85
    • /
    • pp.41-43
    • /
    • 2004
  • 아무 계획도 짜지 않은 것은 실패할 계획을 짜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항공기가 이륙하여, 비행중에 있을지도 모르는 여러가지 돌발상황에도 불구하고 추락하지 않고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정성으로 비행계획을 짜고 비상시에는 탁월한 순발력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능력과 마음가짐을 갖추고 항공기의 이륙부터 비행, 착륙까지의 전 과정을 꼼꼼히 계획하고 보살피는 사람들 - 운항관리사가 이번 기사의 주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