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울증 선별도구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경찰관의 우울증 수준 조사 (Survey of depression level of police officers)

  • 신성원;김성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33-13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우울증이 만연하고 있는 국내 실정에서 경찰관의 우울증 수준을 파악하여 그 심각성의 정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경찰관의 우울증 수준을 분석하여 보기로 한다. 우울증 수준 측정은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를 활용하였다.

  • PDF

우울증에 대한 구강건강 및 관리행태 위험요인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as Risk Factors for Depression)

  • 이경희
    • 감성과학
    • /
    • 제24권3호
    • /
    • pp.17-26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 의사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았거나 우울증 선별도구(PHQ-9)를 바탕으로 우울증 분류된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 건강관리행태를 비교하고 관련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전체 대상자 수는 16,489명이며, 그중 성인(19세 이상)이며 구강검진을 시행한 13,1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흡연과 음주 모두에서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강검진 및 구강 건강상태에서 비우울증군과 비교하여 우울증 군에서 말하기 불편감(OR=2.82), 저작불편감(OR=2.41), 치통경험(OR=1.49), 보철물(OR=1.33)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가공의치 필요 수는 우울증 발생관련 위험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요인에 있어서는 전신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증 발생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OR=9.10), 구강건강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도 증가하여(OR=1.94) 우울증 발생 관련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구강 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일일 칫솔질 횟수가 감소할수록(OR=1.81), 치실을 사용하지 않고(OR=1.42) 구강검진을 받지 않는 사람 일수록(OR=1.31)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 상태 및 구강건강 행태는 성인 우울증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인지되며, 이를 바탕으로 성인 우울증 관리에 있어서 일반적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과 구강관리행태 고려한 성인건강 관련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신건강 간이선별도구를 활용한 자가진단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diagnosis System Using Mental Health Simple Screening Tool)

  • 이영원;송원길;박기태;강양구;강민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02-303
    • /
    • 2012
  • 최근 급증하고 있는 자살률과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강력범죄 등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한 인터넷 중독, 중년의 치매 등도 우리의 정신건강을 해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논문은 정신건강 간이선별도구를 활용하여 생활 스트레스로부터 발생되는 우울증과 인터넷 중독 등 정신건강을 헤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대상자의 위험도를 파악하여 고(高)위험군에 해당되는 대상자의 1차 선별을 가능하게 하며, 정신건강진단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놀이형태의 진단방법을 통하여 전문적인 치료로 유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이다.

  • PDF

한국 여성의 폐경 후 우울증과 식이성 염증지수 간의 관련성 연구: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Dietary Inflammatory Index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the 2016-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진아;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5-99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증과 식이성 염증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20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식이성 염증지수 수준에 따른 식행동, 항염증과 염증유발 항목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 식이성 염증지수와 우울증과의 관계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염증성 식이군은 항염증 식이군에 비해 혼자서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았다. 건강행태 요인으로 염증성 식이군은 흡연율이 높고 신체활동율과 삶의 질이 낮으며, 식행동 요인으로는 아침, 점심, 저녁 식사 결식률과 가족 동반 아침식사 비율, 영양표시 인지율이 낮았다. 식이성 염증지수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상 선별도구인 PHQ-9 점수와 우울증 교차비는 증가하였다. 식이성 염증지수의 항염증 항목 중 MUFA, PUFA, n-3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항목은 식이성 염증지수 점수가 증가할수록 우울증 유병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의 우울증 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식생활과 항염증성 식사 섭취 지침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암 환자에서 우울증의 선별도구로서 단축형 에딘버러 우울증 척도의 한국 표준화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rief Edinburgh Depression Scale as a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 이정현;김태석;고윤호;윤수정;류인균;전태연;이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2호
    • /
    • pp.112-120
    • /
    • 2009
  • Objectives : Depression is a common psychiatric disorder in cancer patients. The Brief Edinburgh Depression Scale(BEDS), which is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Edinburgh Depression Scale, may serve as a useful tool in screening for the depression in patients with the medical illnesses. This report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DS(K-BEDS) for the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Methods : One-hundred cancer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completed the K-BEDS, the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HADS), and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ale(KPSS). Reliability, validity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analysis measures were assessed. Results : The K-BED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0.77) and test-retest reliability(0.94, p<0.001). All item-total correlations were above 0.3. Also, it revealed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depression subscale of the HADS(r=0.617), but no correlation with the K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duced only one factor, accounting for 47.1% of the total variance. The most valid cutoff value to screen for depression was a total score of 5 on the K-BEDS, which showed sensitivity of 62.5% and specificity of 86.4% with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4.60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0.43.

  • PDF

국내 우울증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의 체계적 고찰-진단적 타당성을 중점으로 : 한국형 우울 선별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Systematic Review of Validation Studies on Depression Rating Scales in Korea, with a Focus on Diagnostic Validity Information :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 정수연;김신향;박기호;제갈은주;이원혜;최윤영;이승환;최기홍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3-59
    • /
    • 2017
  • Reliable and valid diagnostic screening tool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enable accurate estimation of depression in individuals at risk or in need of treatment, and provide patients with an opportunity to receive optimal treatments. Although there have been extensive studies on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used in domestic mental health settings,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and lack of a thorough review of the diagnostic validity of screening tools. In the current review, we selected 13 representative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which were evaluated in a total of 19 validation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 summarized DSM-5 target domains, diagnostic indices, sensitivity, specificity, cut-off scores, and diagnostic validity information for each tool. Finally, the depression measurement expert group was constitut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and their recommendations for a new screening tool were summar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Mental Health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o develop the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K-DEP).

암과 우울증상 네트워크 구조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Cancer and Network Structure of Depressive Symptoms)

  • 황휘진;이경규;이석범;이정재;김경민;김도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21-127
    • /
    • 2021
  • 연구목적 우울증은 감정, 생장증상, 자살 사고 등 다양한 증상들이 혼재되어 있으나 암 환자에서개별 우울증상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암 진단군과 대조군에서의 우울증상 네트워크 구조의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방 법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599명의 암 진단군과 연령 성별을 맞춘 599명의 대조군을 선정하였다.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을 활용하여 우울증상을 평가하였고, 각 증상에 대해 Ising fit 모델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였다. 결 과 두 군에서 개별 PHQ-9의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두 군 모두에서 집중력저하-정신운동성 변화, 흥미의감소-우울한 기분, 우울한기분-자살사고 간에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그러나 무가치함의 중심연결성은 암 진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암 진단군에서 무가치함과 다른 우울증상들 간의 연결성이 강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암 환자의 우울증상에서 무가치함이 치료목표가 되는 중요한 증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기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이 젊은 성인 남성의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treated Depression in Adolescence on the Suicide Risk and Attempt in Male Young Adults)

  • 양찬모;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20
  • 연구목적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자살위험성을 높인다는 여러 선행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에 발병한 기분 장애가 치료받지 못한 경우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어서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단면연구로, unipolar 혹은 bipolar depression으로 진단된 260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가보고형 검사도구를 이용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우울 및 자살 관련 특성을 평가하였다. 과거력 상 우울 삽화 치료 여부에 따라 untreated군과 treated 혹은 1st episode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을 비교했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 및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의 예측 인자를 분석했다. 결 과 총 260명의 환자 중 untreated군 189명, treated 혹은 1st episode 군은 71명 이었으며 untreated군에서 자살 시도한 비율, 우울 점수, 자살 위험성 및 자살시도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시도를 예측하는 인자로는 과거력 상 치료받지 못한 경우[Adjusted Odds Ratio (AOR)=4.19, 95% Confidence Interval (CI)=2.25~7.81, p<0.001]와 양극성 우울증의 진단(AOR=2.60, 95% CI=1.52~4.46, p<0.001)이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우울증의 86.7%에서 치료를 받지 못했음이 확인되었고,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높은 자살위험성과 연관되었다. 향후 청소년기 우울증의 조기 선별 뿐 아니라 적극적인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 지도록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후속 장기 추적관찰 연구가 기대된다.

고등학생들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for Life Care of High School Students)

  • 손성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09-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50명이다.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은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감소시키고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 이산;오승택;류소연;전진용;이건석;이은;박진영;이상욱;최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83-93
    • /
    • 2016
  • 연구목적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은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성이 입증된 척도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IV)'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우울장애의 주요한 우울 증상들을 포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을 제작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와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DSM-IV의 진단기준에 근거한 MINI를 사용하여 주요우울증, 기분부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48명의 환자군과 48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척도, 우울증 선별척도, 단축형 우울증상 평가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포함한 척도검사를 시행하여 교차 검증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 Pearson 상관계수, 주성분 분석,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곡선, 최적 절단점 산출을 위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0.98이었으며,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총점은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던 다른 우울 및 불안척도의 점수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두 요인이 전체 분산의 76.29%를 설명하였으며, ROC 곡선을 이용하였을 때,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최적 절단점은 13점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표준화를 위한 첫 번째 연구로,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는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고, 타당한 척도임을 밝혔다. 또한 이 척도가 진료 및 역학 연구에서 유용한 선별검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