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안사면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haracteristics of Abutment Slopes of Four Dams in Korea (우리나라 주요 댐 좌우안 사면의 특징)

  • 신동훈;이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b
    • /
    • pp.183-195
    • /
    • 2000
  • Slopes near a dam body can be categorized into 4 groups, such as right and left abutment slopes, reservoir slopes, slopes along the access road and slopes along the relocated road. For each of the geological investigation, the design standards, the evaluation methods of safety and the maintenance methods, both abutment slopes in the four dam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conventional cut slopes in that they can severely affect the dam saf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geological investigation methods, the status of design and construction, evaluation method of safety, and monitoring & maintaining methods for four major dams in Korea, such as Soyanggang dam, 'Andong dam, Chungju dam and Boryong dam.

  • PDF

A study on the change and cause of the channel in the midstream of singwang river and naeng river in pohang - Comparing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yphoon hinnamnor with the past - (포항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 - 과거 및 태풍 힌남노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 Seonggi An;Chanjoo Lee;Woo-Chul Kang;Jongmin Kim;Gyeonghyeon Min;Byungsu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1-61
    • /
    • 2023
  •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호우 시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중소하천의 확폭(Widening) 및 하안침식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홍수 피해 관점으로만 분석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수리학적, 지형학적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82-2022년의 지도 및 항공사진, 정사영상 등을 분석하여 포항시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를 살펴보고,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의 내습 시 발생한 홍수로 인해 초래된 하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광천 항사리 지점의 경우, 하천 우안에 제방이 축조되지 않았던 1982년에는 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었으나, 1992년 제방 축조 이후 우안 충적지가 하도에서 분리되며 하폭이 감소하였다. 2011년의 하도는 대부분의 면적이 식생으로 덮여 하천의 흐름이 잘 관찰되지 않으나, 2021년에 식생 제거로 하도가 식별되지만 하폭은 과거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태풍 힌남노 내습 시 포항시의 6시간 누적 강우량은 315.3 mm 로 1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확폭이 발생하였다. 단면에서 보면 좌안 활주사면은 5 m 가량의 퇴적고를 보였고, 우안 공격사면은 평균 23.3 m 측방으로 침식되었다. 그 결과 1982년 하폭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문덕리 지점(공장지대)과 냉천 용산리(아파트)의 경우에도 각각 평균 14 m, 18 m 의 하안침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30여 년 전 축조된 기존 제방이 유실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홍수로 인해 과거의 하폭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22년 홍수에 의한 하도 변화와 같은 지형학적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안정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설계 시 과거 지도상의 하도 범위 및 기왕홍수로 인한 하안선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Geomorphology and Activity of Jinbu Fault i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강원도 평창군 진부 단층의 지형 및 활동성)

  • Lee, Gwang-Ryul;Cho, Young-Dong;Kim, Dae-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6
    • /
    • pp.775-790
    • /
    • 2008
  • This study shows possibility of active fault, throughout analyzing distributional features of tectonic and fluvial geomorphology and mineral composition of fault fracture clay, at Jinbu fault-line system i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Fault-line valley was formed remarkably in the upper reaches of Odae River and upper reaches of Yeongok River according along Jinbu fault-line. Landforms show rectilineal distribution at right shore slopes of Odae River in Ganpyeong-ri, southern zone of Jinbu fault-line system, related to the tectonic processes, such as triangular facet, kernbut, kerncol and alluvial fan. Fault fracture clay zones were developed at 5 outcrops($jbf1{\sim}5$), located in kerncol. Particularly, jbf1 fault outcrop, developed at granite saprolite, has obvious fault plane and fault clay composed of illite and laumontite. The Jinbu Fault-line along jbf4-2-3-5 may be formed by regional compressive stress, and jbf1 fault may be suggested a tributary fault of the Jinbu fault-line formed before the late Pleistocene.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east and west blocks of the Jinbu Fault-line is estimated in $0.024{\sim}0.027m/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