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eomorphology and Activity of Jinbu Fault i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강원도 평창군 진부 단층의 지형 및 활동성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Dong (Shinnyeong Middle School) ;
  • Kim, Dae-Si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광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조영동 (신녕중학교) ;
  • 김대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shows possibility of active fault, throughout analyzing distributional features of tectonic and fluvial geomorphology and mineral composition of fault fracture clay, at Jinbu fault-line system i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Fault-line valley was formed remarkably in the upper reaches of Odae River and upper reaches of Yeongok River according along Jinbu fault-line. Landforms show rectilineal distribution at right shore slopes of Odae River in Ganpyeong-ri, southern zone of Jinbu fault-line system, related to the tectonic processes, such as triangular facet, kernbut, kerncol and alluvial fan. Fault fracture clay zones were developed at 5 outcrops($jbf1{\sim}5$), located in kerncol. Particularly, jbf1 fault outcrop, developed at granite saprolite, has obvious fault plane and fault clay composed of illite and laumontite. The Jinbu Fault-line along jbf4-2-3-5 may be formed by regional compressive stress, and jbf1 fault may be suggested a tributary fault of the Jinbu fault-line formed before the late Pleistocene.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east and west blocks of the Jinbu Fault-line is estimated in $0.024{\sim}0.027m/ka$.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의 진부 단층선을 대상으로, 단층 및 하천 지형의 분포 특성과 단층 파쇄 점토의 광물 조성을 분석하여, 활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진부 단층선을 따라 오대천의 상류와 연곡천 상류는 뚜렷한 단층선곡을 형성하고 있다. 진부 단층선의 남단인 간평리의 오대천 우안의 사면에서는 삼각말단면, 단층잔구, 단층와지, 선상지 등 단층 작용과 관계된 지형들이 선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단층와지에 위치한 5개의 노두($jbf1{\sim}5$)에서는 단층 파쇄 점토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한 단층 노두인 jbf1은 뚜렷한 단층면을 가지며, 일라이트와 로몬타이트를 함유한 단층점토가 확인되고 있다. jbf4-2-3-5를 잇는 진부 단층선은 매우 오래전부터 작용했던 광역적 인 압축 응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고, jbf1 단층은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 이전의 시기에 발생한 진부 단층선의 지류 단층일 것으로 판단된다. 진부 단층선 동 서측 지괴의 수직적 변위 속도는 $0.024{\sim}0.027m/ka$로 계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재복, 1993, '남한의 지진출현과 지형 및 선구조의 대비,' 한국지구과학회지, 14(4), 482-491
  2. 경재복, 1997, '트렌치 조사에 의한 울산 단층 중북부의 고지진학적 연구,' 지질공학, 7(1), 81-90
  3. 경재복.이기화.오까다 아쯔마사, 1999, '양산단층대의 고지진학적 연구 -변위지형 분석 및 트렌치 조사,' 지구물리, 2(3), 155-168
  4. 경재복.장태우, 2001,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리일대의 신기 단층운동,' 지질학회지, 37(4), 563-577
  5. 경재복.허서윤.도지영.조덕래, 2007, '2007년 1월 20일 오대산 지진(ML=4.8)의 진도, 단층면해 및 단층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8(2), 202-213 https://doi.org/10.5467/JKESS.2007.28.2.202
  6. 권혁재, 2006, 지형학, 법문사, 파주
  7. 김건영.고용권.배대석.김천수, 2004,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를 위한 유성지역 화강암내 심부 시추공 단열충전광물의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17(1), 99-114
  8. 김기영.허 식, 1999,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풍암분지 북동부의 퇴적구조 및 퇴적환경 연구,' 지구물리, 2(2), 91-99
  9. 김성균.백장선, 2000, '한반도 지진발생의 무작위성에 대한 통계적 검증과 집중도 추정,'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59-167
  10. 김인수.손 문.정현정.이준동.김정진.백인성, 1997, '경주-울산일원에 대한 지역지질 특성연구: 울산 단층주변 화강암류의 잔류자기와 대자율,' 자원환경지질, 31(1), 31-43
  11. 류충렬.이봉주.손 문.이융희.최성자.최위찬, 2002,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의 제4기 단층,' 지질학회지, 38(3), 309-323
  12. 박성민.강 한.장윤득.임창복.김정진, 2007, '제4기 입실 단층 파쇄대에서 나타나는 단층점토의 산출상태에 따른 광물조성 연구: 고해상도분말회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물학회지, 20(2), 83-89
  13. 박창업.신진수.지헌철.강익범.류용규, 1998,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진원단층면 방향,' 지구물리, 1(1), 23-30
  14. 양승영, 2001, 지질학 사전, 교학연구사, 서울
  15. 윤순옥.황상일, 1999, '한국 남동부 경주시 불국사단층선 북부의 활단층지형,' 대한지리학회지, 34(3), 231-246
  16. 이기화.권병두.박창업.장태우, 1988, '한반도의 지진 활동: 4. 옥천대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4(4), 464-488
  17. 이기화.권병두.장태우, 1987, '한반도의 지진활동: 3. 경기육괴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3(3), 257-276
  18. 이기화.권병두.장태우, 1989, '한반도의 지진활동: 5. 영남육괴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5(4), 474-494
  19. 이기화.나성호, 1983, '양산단층의 미진활동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9(3), 127-135
  20. 이기화.정봉일.김광호, 1986, '한반도의 지진활동(1): 홍성일대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2(2), 164-175
  21. 이민부.이광률.윤순옥.한주엽, 2001,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 운동과 지형 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22. 이봉주.류충렬.최위찬, 1999, '경주시 양남면 일대의 제 4기 단층,' 지질학회지, 35(1), 1-14
  23. 이윤수.민경덕.황재하, 2001, '고지자기학적 관점에서 본 추가령단층곡의 생성과 진화,' 자원환경지질, 34(6), 555-571
  24. 이희권.양주석, 2005, '일광단층의 ESR 연대측정,' 지질학회지, 41(3), 369-384
  25. 이희권.홍덕균, 2007, '충남 연기군의 한 트렌치 노두에서 ESR 및 OSL 수치연대측정을 이용한 단층의 활동시기 제한,' 지질학회지, 43(3), 335-344
  26. 장태우, 2001, '울산단층 동쪽지괴의 제4기 지구조 운동,' 지질학회지, 37(3), 431-444
  27. 장태우.채연준.추창오, 2005, '울산단층 동부지역 제4기 단층 비지대내 변질광물의 형성,' 한국광물학회지, 18(3), 205-214
  28. 장태우.추창오, 1999, '양산단층대의 단층작용 과정과 단층비지의 K-Ar 연령,' 한국지구과학회지, 20(1), 25-37
  29. 전명순, 1995, '지진의 원인과 그 대책,' 계간 과학사상, 가을호, 79-104
  30. 정창희.원종관.차문성.강기우.이윤종, 1975, 1:50,000 지질도폭 설명서 - 오대산, 국립지질광물연구소
  31. 조화룡, 1997, '양산단층 주변의 지형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2(1), 1-14
  32. 조화룡, 2001, 활단층과 지형, 박용안.공우석 외, 한국의 제4기 환경, 서울대학교 출판부
  33. 최범영.류충렬.권석기.최위찬.황재하.이승렬.이병주, 2002, '포항-울산 지역의 단층 구조 분석: 활구조 운동에 대한 접근,' 지질학회지, 38(1), 33-50
  34. 황상일.윤순옥, 2001,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선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6(3), 217-232
  35. Aguirre, L. and Atherton, M. P., 1987, Low-grade metamorphism and geotectonic setting of the Macuchi Formation, Western Cordillera of Ecuador, Journal of Metamorphic Geology, 5(4), 473-494 https://doi.org/10.1111/j.1525-1314.1987.tb00397.x
  36. Aoyagi, K. and Kazama, T., 1980, Transformation changes of clay minerals, zeolites and silica minerals during diagenesis, Sedimentology, 27(2), 179-188 https://doi.org/10.1111/j.1365-3091.1980.tb01168.x
  37. Burbank, D. W. and Anderson, R. S., 2001, Tectonic Geomorphology, Blackwell Science, Oxford
  38. Coombs, D. S., 1993, Dehydration veins in diagenetic and very-low-grade metamorphic rocks: features of the crustal seismogenic zone and their significance ti mineral facies, Journal of Metamorphic Geology, 11(3), 389-399 https://doi.org/10.1111/j.1525-1314.1993.tb00156.x
  39. Keller, E. A. and Pinter, N., 1999, Active Tectonics: Earthquakes, Uplift, and Landscape, Prentice Hall, New Jersey
  40. Matsuda, T., Omura, K., Ikeda, R., Arai, T., Kobayashi, K., Shimada, K., Tanaka, H., Tomita, T., and Hirano, S., 2004, Fracture-zone conditions on a recently active fault: insights from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of the Hirabayashi NIED drill core on the Nojima fault, southwest Japan, which ruptured in the 1995 Kobe earthquake, Tectonophysics, 378, 143-163 https://doi.org/10.1016/j.tecto.2003.09.005
  41. Miller, M. G., 1999, Active breaching of geometric segment boundary in the Sawatch Range normal fault, Colorado, US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21, 769-776 https://doi.org/10.1016/S0191-8141(99)00078-4
  42. Murck, B. W., Skinner, B. J., and Porter S. C., 1999, Environmental Ge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43. Rahn, M., Mullis, J., Erdelbrock, K., and Frey, M., 1994, Very low-grade metamorphism of the Taveyanne greywacke, Glarus Alps, Switzerland, Journal of Metamorphic Geology, 12(5), 625-641 https://doi.org/10.1111/j.1525-1314.1994.tb00047.x
  44. Scholz, C. H., 2002, The Mechanics of Earthquakes and Faul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5. Terabayashi, M. and Maruyama, S., 1998, Large pressure gap between the Coastal and Central Franciscan belts, northern and central California, Tectonophysics, 285, 87-101 https://doi.org/10.1016/S0040-1951(97)00194-7
  46. White, C. L. I., Ruiz-Salvador, A., and Lewis, D. W., 2004, Pressure-induced hydration effects in the zeolite laumontite, Angewandte Chemie, 116, 475-478 https://doi.org/10.1002/ange.200352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