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아미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패션이미지에 따른 패션쇼 모델의 신체연출에 관한연구 - (제1보) 우아미와 중성미를 중심으로 - (Model Postures at Fashion Shows According to Their Clothing Fashion Images: Focusing on Elegance Image and Neutral-gender Image)

  • 허민정;정성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40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model postures at fashion shows with respect to expressing fashion images including elegance and neutral-gender images. Data were gathered from the fashion shows held 2000 S/S through 2009 F/W, when elegance and neutral-gender fashion images were obvious in fashion collections. Three designer brands representing elegance and neutral-gender fashion images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and fashion specialist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The fashion collection photos representing each image were selected from style.com, a website which contains four world's biggest fashion collection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hand positions as a model posture according to fashion images. In the neutral-gender image, 16 photos (47%) showed a hand position at pockets, in the elegance image, 24 photos (82.3%) showed a hand position laying down by the sides. Also, walking pose was shown to be different between two fashion images. In the neutral-gender fashion image, 16 photos (52.9%) revealed a pose of 'natural walk', while 29 photos (100%) showed a pose of 'walk in a straight line' in the elegance imaged fashion. In conclusion, the neutral-gender image photos showed the pocket-positioned hand and the 'natural walk' poses more than elegance image photos, and elegance image photos revealed the hand position laying down by the sides and the 'walk in a straight line' poses than the photos of the neutral-gender image.

  • PDF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폴리메틸펜텐 막의 $CO_2/N_2$ 혼합가스의 투과특성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CO_2/N_2$ Mixture Gases through Plasma Treated Poly (methylpentene) Membrane)

  • 전성우;곽현;배성렬
    • 멤브레인
    • /
    • 제13권2호
    • /
    • pp.73-80
    • /
    • 2003
  • 폴리메틸펜텐 막(polymethylpentene membrane, PMP)을 Ar, NH_3$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고, 처리 전후의 투과 도와 선택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r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때 O/C의 비율이 증가하며 친수성기 (OH, COOH, C=O)의 도입이 확인되었고 $NH_3$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때 아민, 아미노기가 도입되었다.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메틸펜텐막에서 $CO_2$의 투과도와 $N_2$,에 대한 선택도 (Actual Separation Factor)의 최적조건은 Ar 플라즈마 처리 (30 W-6 min)의 경우 각각 182 Barrer [$10^{-10}\;cm^3(STP)cm/cm^2$.s.cmHg]와 6.17이며, $NH_3$, 플라즈마 처리 (30 W-8 min)의 경우 각각 144 Barrer [$10^{-10}/cm^2(STP)cm/cm^2$.s.cmHg] 와 6.13을 얻었다.

19세기 웨딩드레스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edding Dress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Neo-Classicism and Romanticism -)

  • 신경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1호
    • /
    • pp.185-20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ormat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edding dresses that existed during the periods of Neo-Classicism and Romanticism which appeared as a reaction toward Neo-Classicism.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mainly focused on precedent research data and general references. Furthermore the data on wedding dresses was mainly collected from British, French, and American library and museum web sit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The Neo-Classicism art, which appeared along with the enlightenment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pursues beauty based on associations and imitations of ancient Greek and Roman arts. In addition to aforementioned pursuits, the Neo-Classicism art also pursued universal beauty and social usefulness through law and order. This aesthetic value was also applied to the wedding dresses, so classical beauty, natural beauty and universal beauty were expressed as follows: corsets of the previous era were removed from general clothing and Empire style that imitated natural Greek style became predominant. Also, muslin replaced high quality clothes which were used as the main materials of the dressing during the previous era. Empire style's wedding dress became popular and simple colors and styles of the wedding dress expressed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and emphasized civility at the same time. Romanticism art and costumes opposed rationalism and pursued sentimentalism. Moreover, it pursued diversity, exotic tastes and accepted diverse reactionism unlike Neo-Classicism's simpl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These aesthetic characteristic were applied to the wedding dress of this period; wedding dress of romanticism pursued feminine and elegant beauty with "X" silhouettes and various decorations, like general costumes. And they were decorated with a variety of excessive accessories, details and trimmings to express romantic sentimentalism. Exotic tastes which included Chinese, Egyptian, Indian influence and other diverse tastes were expressed through hair style, accessories and patterns of shawl. However, the white color in the wedding dress revealed purity and sanctity which cannot be found from general costumes regardless of whether the dress expressed Neo-classicism or Romanticism. As a formal dress worn during wedding ceremonies, the wedding dresses of the royalty revealed dignity and authorit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later wedding dress designs.

정상 면역 생쥐에 접종된 암세포주의 종괴 형성이 숙주의 지연성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umor Mass Size Inoculated in Immunologically Competent Balb/c Mice on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sponse)

  • 임현자;우아미;정영주;강재승;신동훈;이왕재;황영일
    • IMMUNE NETWORK
    • /
    • 제6권4호
    • /
    • pp.185-191
    • /
    • 2006
  • Background: Based on outstanding progresses in animal experiments, vaccines for some human tumor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clinical effects of these vaccines have been far below than expected. This discrepancy might come from differences between animal models and human patients with respect to immunocompetency. The immune status of mice after tumor inoculation has not been well studied, which make us cautious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results from mice to human. We evaluate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in mice after tumor cell inoculation. Methods: Mice were inoculated with TA3Ha, CT26, or 4T1.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responses were induced 2-4 weeks after inoculation using 2,4-dinitro-1-fluorobenzene as an antig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verity of DTH responses and the duration of tumor inoculation or the size of tumor mass were analyzed. Results: In T A3Ha groups, DTH response was elevated 2 weeks after inoculation, but depressed after 4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n analyzed based on the sizes of tumor masses elicited, DTH responses were inversely related to the mass size, especially in those greater than 10 mm in diameter. In CT26 groups, while the duration after inoculation did not affect the severity of DTH responses, those with large mass showed depressed responses regardless the duration of inoculation. 4T1 cells grew so slowly that the size of tumor mass was small even 4 weeks after inoculation, and this group showed much higher DTH responses compared to that of tumor-free group. Conclusion: At least in an experimental setting where tumor model was induced by inoculating tumor cell lines into immunologically competent mice, the host immune response was elevated in early stage, and then depressed in late stage when the mass grew over a critical size.

성인초기 한국인의 바쁨과 주관적인 삶의 속도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Busyness and Subjective Pace of Life among Koreans in Early Adulthood)

  • 우아미;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529-559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큰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쁨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와 바쁨과 느림의 삶의 속도를 추동하는 사회 심리적 동기들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바쁨과 느림의 개인의 삶의 속도에 따른 현실에서의 적응요소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20·30대 미혼남녀 21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이용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바쁨에 대한 인식 및 경험들은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공존하고 있으며 바쁨과 느림의 삶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동기의 구성 요소들은 '(바쁨/쉼)의 긍정적 가치 내면화', '(미래/현재) 중심적', '바쁨의 일상화/선택과 집중', '성격특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바쁘게 사는 사람과 느리게 사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현실 적응요소는 '자기 선택적', '성공적인 시간관리', '심리적 건강 유지'가 차별적 요소는 '성취감'과 '자기특성 이해 및 수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바쁨에 부여된 가치와 의미를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삶의 속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논의들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여러 팔로업(follow up) 가능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유기인제에 의한 뇌 손상에 있어서 흥분성 아미노산의 역할 (The Roles of Excitatory Amino Acid System in the Organophosphate-induced Brain Damage)

  • 고봉우;박은혜;김동식;방성현;진주연;김대성;주창완;이경갑;조문제;김소미;이봉희;류기중;박민경;이영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48-1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기인제에 의한 뇌 손상유발에 있어서 흥분성 아미노산계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Djisopropylfluorophosphate(DFP)를 투여하여 뇌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있어서, 뇌 해마부위에서의 aspartate 및 glutamate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경련유발에 따른 신경전달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신경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치료약물로 항콜린 약물인 atropine과 NMDA 수용체 길항제인 procyclidine을 각각 단독 또는 병합 투여하여 DFP에 의한 뇌신경독성에 대한 방어효과를 관찰하였다. DFP를 투여한 흰쥐는 경련유발과 더불어 해마부위 에서의 현저한 aspartate와 glutamate의 농도 증가를 보였으며, 병리조직학적으로 해마의 신경세포 감소를 보였다. DFP에 의하여 상승되어진 해마부위의 aspartate와 glutamate의 수준은 procyclidine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 되었으나, atropine에 의하여는 DFP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rocyclidine과 atropine 병합 투여 시에는 procyclidine 단독 투여시와 동일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조직염색소견에서도 DFP에 의하여 현저하게 소실되어진 신경세포는 atropine 단독 투여시보다 procyclidine 단독 투여군 또는 atrpopine과 procyclidine 병합 투여군에서 뚜렷한 신경세포의 손상 및 소실을 방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DFP에 의하여 유발된 경련은 흥분성 아미노산 신경전달계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뇌신경의 손상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procyclidine은 DEP에 의한 경련유발과 뇌 세포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었으며, 이는 흥분성 아미노산계 중 NHDA수용체가 DFP에 의한 뇌 손상기전에 관여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로 DFP에 의하여 유발된 경련은 일차적으로 콜린성 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하여 이에 따른 흥분성 아미노산의 과도한 분비를 유발하고 특히 NMD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뇌의 손상을 가져온다고 사료된다.

  • PDF

물속의 인공방사성핵종(I-131) 제거율 연구 (Study on Removal of Artificial Radionuclide (I-131) in Water)

  • 정관조;이경우;김복순;이수원;이종규;구아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747-752
    • /
    • 2014
  • 인공방사성핵종 I-131은 물속에서 요오드 이온($^{131}I^-$), 요오드산염 이온($^{131}IO_3{^-}$) 등 대부분 이온상태로 존재했으며 접촉시간이 짧을 경우, 정수약품(PACl)과 분말활성탄(PAC)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수 탁도 증가에 따른 I-131의 제거 효과는 없었으나 분말활성탄과 I-131과의 접촉시간 증가에 따른 I-131의 제거율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혼합 주입(PACl + PAC)에 의한 I-131을 40% 이상 제거하기 위해서는 PACl 24 mg/L 이상, PAC 40 mg/L 이상을 주입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래여과에 의한 I-131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상활성탄(GAC)에 의한 제거율은 신탄, 구탄 모두에서 최소검출한계 0.10 Bq/L 미만으로 거의 100%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막에 의한 I-131의 제거율은 정밀여과막에 의해서는 제거되지 않았으며 역삼투막에서는 92%가 제거되었다.

발아에 따른 현미의 아밀로펙틴 중합도와 식감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mylopectin and Texture Analysis Test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 이경하;윤순덕;이정희;원용재;최인덕;박혜영;우관식;오세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벼 품종들 중 일부 품종들에 대하여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아밀로펙틴 중합도와 식감관련 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아밀로펙틴은 단쇄비율이 높고 장쇄비율이 낮은 품종이 밥맛이 우수한 특성을 나태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결과 발아현미가 일반현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하이아미와 진보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단쇄비율이 높고 장쇄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감측정결과 진보의 경우 현미의 경도(hardness)와 탄력성(toughness)이 각각 84.6과 51.8에서 발아과정을 통해서 50.2와 30.2로 감소하였으며 찰기(stickiness)와 부착성(adhesiveness)은 발아현미밥의 60.6와 42.9에 비하여 현미밥에서 27.8과 30.8로 나타나 발아현미밥에서 찰기와 부착성이 각각 2.18, 1.39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감과 아밀로펙틴 중합도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도, 탄력성, 찰기, 부착성과 아밀로펙틴 중합도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발아현미에서 단쇄비율이 많을수록 경도와 탄력성이 감소되고 장쇄 비율이 높을수록 경도와 탄력성, 부착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벼 품종들의 현미에 대하여 발아 전과 후의 아밀로펙틴 중합도와 식감관련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발아과정에서 현미의 조직변화가 나타나고 발아 후 식감이 부드러워지고 찰기가 증대되어 밥맛이 향상된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식감과 아밀로펙틴 중합도 특성과의 관계는 발아현미에서 뚜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본 연구가 아밀로펙틴의 길이와 식감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 정지우;이동일;최성영;아미르 로샨쟈데;김응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기능성 쌀 품종 발아현미의 취반 및 식감특성 (Cooking and textural properties of specialty germinated brown rices)

  • 조동화;박혜영;이석기;박지영;최혜선;우관식;김현주;심은영;안억근;오세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75-58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아에 따른 유색미(흑광), 거대배아미(큰눈, 수원595호), 고아밀로스 쌀(고아미4호) 현미의 이화학적 특성, 취반 및 식감 특성, 전분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현미밥의 수분흡수율, 부피팽창율, 용출고형물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에 따른 수분흡수율 및 용출고형물 함량 증가는 수침시간과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현미의 취반특성을 개선하고 이용성을 증진시킬 것이다. Tensipresser로 측정된 식감특성에서 발아는 현미의 경도와 부착성을 감소시키고 탄력성과 찰기를 증가시켰다. 이는 현미의 거친 식감이 발아함에 따라 부드러운 식감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발아함에 따라 현미의 호화점도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호화개시 온도는 변하지 않았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고아미4호는 발아에 따른 점도 감소가 다른 품종에 비해서 작았다. 발아에 따른 아밀로스 함량 및 아밀로펙틴 분자사슬분포의 일괄된 변화는 관찰하기 힘들었으나 일부 품종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발아에 따른 현미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감 특성의 변화는 발아 동안 활성화되는 효소에 의한 고분자 화합물의 분해, 발아 후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낟알 표면의 균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아가 현미의 식감과 취반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