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레아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알킬이미다졸린과 지방산 카르바미드를 이용한 내구성 유연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Durable Softners using Alkyl Imidazoline and Fatty Carbamide)

  • 정충호;박홍수;김영근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54-63
    • /
    • 1993
  • Dodecanoic acid와 tetraethylenepentamine을 반응시켜서 1, 2-disubstituted imidazoline을 얻었고, 이것을 양이온화시켜 유화형 1, 2-disubstituted imidazolinium salt를 합성하였다. 또한 docosanoic acid와 hydroxyethylethylenediamine을 반응시켜 중간생성물인 2-docosamido-2'-docosanoyloxydiethylamine을 얻었고, 다시 우레아와 반응시켜서 지방산 카르바미드를 얻었다. 이것을 역시 양이온화시켜 유화형 지방산카르바미드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각종 염들을 블렌딩시켜 유연제를 제조한 후, 아크릴섬유에 유연처리를 하여 유연성, 평활성 및 대전방지성을 측정한 결과, 유연성과 평활성이 양호하였고 약간의 대전방지성도 보유하였다. 또한 강연도시험과 pH변화에 따른 촉감의 내세탁성 시험결과를 통하여 제조된 유연제가 내구성 유연제임을 입증하였으며, SEM으로 유연처리된 아크릴섬유의 표면구조를 관찰하였다.

  • PDF

AHAsomes의 multilamellar vesicles형성과 각질제거 효과 (Formation of the multiamellar vesicles of AHAsomes and effect of removal on the horny layer)

  • 김인영;서봉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
    • /
    • 1995
  • 본 연구는 세포 간지질이 주성분인 세라마이즈,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텔, 스쿠알란, 레시친, 왁스 지방산을 팽윤 반응에 의하여 다중라멜라 소구체를 제조하였다. AHAsomes과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사용하여 MLV 형성에 대한 특성을 조사 하였다. 다중라멜라 소구체는 Polyol과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고,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사용함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실제적으로 이 AHAsomes system의 형성은 방부제가 필요하지 않고, 활성 미용 성분을 침투시켰다. 친수성 활성 성분인 말릭산, 타타릭산, 락틱산, 알란토인, 우레아 그리고 소수성 미용 성분인 비타민-E 아세테이트, 비타민-A 팔미테이트를 캡슐화시켰다. MLV형성 조건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에 3회 통과하였으며, 베지클의 입자크기의 범위는 50-523nm이었다. 응용으로, 일반적인 O/W 에멀젼과 AHAsomes 크림을 사용하여 발바닥의 각질제거 효과를 비교하였다. 3개월동안 사용하여 주름은 15.8%, 피부 탄력은 3배정도 회복되었다. 이것을 Image Analyzer와 Cutometer로 확인하였다.

  • PDF

[4.3.0] 환상 유사 우레아의 이성화 개환중합과 특성평가 (Characteristics of Ring-Opening Isomerization Polymerization of [4.3.0] Cyclic Pseudoureas)

  • 이찬우;정진도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308-313
    • /
    • 2011
  • 5원환의 2,3,5,6-tetrahydroimidazo[2,1-b] [1,3] oxazole(TIO)와 비교하여 6원환인 2,5,6,7-tetrahydro-3H-imidazo[2,1-b] [1,3] oxazine(TII)가 중합반응성이 낮은 결점을 개선하고자 각종의 조건하에서 중합을 실시한 결과, 최적의 중합조건으로 methyl trifluoromethanesulfonate(MeOTf)을 개시제로 사용한, 극성이 높은 니트로벤젠 용매의 $60^{\circ}C$에서 24시간 반응시킴에 의해 고수율의 중합체를 얻었다. 생성된 중합체를 $^1H$ NMR과$^{13}C$ NMR, 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으며, GPC로부터 구한 분자량과 이론분자량이 거의 일치함도 확인하였으며, 융점($T_m$)은 알킬 그룹의 길이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촉매삽입형 Urea-SCR 머플러 다공튜브 형상변화에 따른 NOx 저감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NOx Reduction with Multi-Perforated Tube Geometry in Integrated Urea-SCR Muffler)

  • 문남수;이상규;고상철;이지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2호
    • /
    • pp.1017-1026
    • /
    • 2014
  • Urea-SCR 머플러 시스템 입구와 촉매 전단에 설치된 다공튜브는 우레아 수용액 분무의 균일분포, SCR 촉매 활용도 증대 및 암모니아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다공튜브의 오리피스 면적비 변화가 머플러 챔버 내부유동 특성에 끼치는 영향이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조사되었다. 다공튜브 오리피스 면적비 변화는 촉매 전단에 설치된 챔버 내부의 벌크 선회유동 형성과 촉매 전단 속도분포의 균일도 지수에 큰 영향을 끼침을 보였다.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엔진실험이 ESC 및 ETC 모드에서 수행되었다. 엔진 실험결과 다공튜브 길이방향으로 보다 많은 유량이 흐르는 모델이 가장 높은 NOx 저감 효율을 나타냈으며, 이것은 높은 균일도지수 및 강한 선회유동을 나타내는 해석 결과와 일치됨을 알 수 있었다.

암모늄 디나이트라마이드염의 합성 및 액상연료화 연구 (Preparation of High Purity Ammonium Dinitramide and Its Liquid Mono-propellant)

  • 김우람;박미정;김소희;전종기;조영민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91-596
    • /
    • 2019
  • 친환경 대체연료물질로서 ammonium dinitramide (ADN, $NH_4N(NO_2)_2$)는 상온에서 안전하고, 안정하지만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고순도가 요구된다. 소량의 불순물은 단일계 액상연료용 추력기 내 촉매의 분해반응을 억제하며, 비추력을 저하시키고, 노즐 막힘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복추출, 활성탄에 의한 흡착, 그리고 저온추출방법을 적용하여 합성한 ADN을 정제하였고, FT-IR, UV-Vis 및 IC 분석을 통하여 화학적인 순도를 평가하였으며, 최종 순도로서 IC 분석기준으로 99.82%를 획득하였다. 또한, ADN을 주 산화제로 활용하는 액상연료를 제조하였으며, 최소 $148^{\circ}C$에서 분해되는 단일계 추진제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상안정화를 위하여 우레아를 연료물질로 추가하였을 경우, 분해온도는 $188^{\circ}C$까지 상승하였다.

바이오매스 유래 이소소르비드를 이용한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제조 및 특성 비교 (Preparation and Comparis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Urea Using Biomass Derived Isosorbide)

  • 박지현;박종승;최필준;고재왕;이재년;서석훈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5-176
    • /
    • 2019
  • Polyurethane-ureas(PUUs) were prepared from 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 and various diols including isosorbide. Isosorbide is starch-derived monomer that exhibit a wide range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re therefore able to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PUU was synthesized by a pre-polymer polymerization using a catalyst. Successful synthesis of the PUU was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 Therm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dynamic mechan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by tuning isosorbide content in the resin, thei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slightly decreased. Physical properties were also determined by tensile strength and X-ray diffrac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troleum-derived diol and isosorbide in XRD analysis. Moreover, their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isosorbide-based PUU exhibited enhanced tensile strength, transmittance, transparency and biodegrad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diols. After 11 weeks composting, the biodegradability of blends increased in ISB-PUU. The morphology of the fractured surface of blend film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로부터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ynthesis of N,N'-Dicyclohexylcarbodiimide from N,N'-Dicyclohexylurea)

  • 김재영;정대원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319-322
    • /
    • 2011
  • 탈수제로 폭 넓게 사용되는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는 반응 후에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DCU)로 변환된다. 본 논문에서는 ${\beta}$-시토스테롤의 수용성 치환체의 합성에 사용되고 부산물로 나오는 DCU를 회수하여 정제한 후에, DCC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연구하였다. 토실클로라이드(tosyl chloride, p-tolenesulfonyl chloride, TsCl)와 트리에틸아민(TEA)의 존재 하에서 DCU가 DCC로 변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CU 대비 1.5 당량의 TsCl 및 3.0 당량의 TEA를 사용하였을 때가 최적 반응 조건으로 나타났다. 반응물을 용매를 이용한 정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승화에 의해서 46%의 수율로 순수한 DCC를 회수할 수 있었다. 합성한 DCC의 화학 구조는 GC/MS, FT-IR 및 $^{13}C-NMR$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아민 차수에 따른 고체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Separation for Solid Absorbents According to Amine Order)

  • 장현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19-626
    • /
    • 2023
  • 건식 이산화탄소 분리공정에서 아민 구조체의 운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차 아민과 2차 아민 구조체를 합성하였다. TSA 조건에서 1차 아민과 2차 아민 건식 포집 분리제의 분리 특성을 연구하였다.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을 1차 아민 전구체로 가교제로 이용하여 가교 결합된 2차 아민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2차 아민 전구체를 Tetraethyl orthosilicate를 구조배양제로 사용하여 2차 아민 고체상 이산화탄소 분리제를 합성하였다. 1차 및 2차 아민 구조체의 TSA 공정조건에서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을 비교하였다. 1차 아민에 흡수된 이산화탄소 분리는 170 ℃ 이상에서 완전히 이루어지나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아민이 우레아로 전환되며, 아민기 손실이 발생되었다. 아민 손실이 낮은 130 ℃ 재생시 1차 아민 분리제의 공정 운전성능(working capacity)은 본 구조체의 경우 2% 이하로 나타났다. 2차 아민이 낮은 재생온도에서 높은 이산화탄소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 2% 흡수 분위기와 100% 재생분위기에서 약 6.5%의 공정 운전 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한국 논 생태계에서 수생식물 다양성에 대한 Sulfonylurea계 제초제의 영향평가 (Impact assessment of sulfonylurea herbicides to the diversity of aquatic plants in paddy farming system of Korea)

  • 박태선;김창석;문병철;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5-213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몇몇 수생식물의 반응과, 생물다양성 보존위하여 제초제 특히 sulfonylurea계 제초제가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지표식물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sulfonylurea계 제초제와 부타크르를 각각 다년간 사용하고 있는 전라남도와 강원도의 논 생태계에서 수생식물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강원도에서 훨씬 다양한 수생식물이 확인되었다. 수생식물인 물옥잠, 네가래, 그리고 생이가래는 비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butachlor와 molinate 보다 bensulfuron-methyl과 pyrazosulfuron-ethy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물옥잠, 네가래, 그리고 생이가래의 건물중을 50%억제하는 $GR_{50}$ 값은 bensulfuron-methyl과 pyrazosulfuron-ethyl이 butachlor와 molinate 보다 훨씬 낮았다. 논으로부터 유출된 제초제에 대하여 네가래의 생육은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네가래에 대한 bensulfuron-methyl과 pyrazosulfuron-ethy의 $I_{50}$ 수치는 각각 5.6 및 2.1nM을 보였다.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Occurrence Trends of SU-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in Korea)

  • 이인용;원태진;서영호;김은정;윤여택;조승현;권오도;김상국;정완규;박태선;김창석;이정란;문병철;박재읍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318-321
    • /
    • 2013
  •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도 농업기술원 공동으로 2011년과 2012년에 조사하였다. 8개도 3,200지점에서 논흙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 kg $ha^{-1}$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전국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벼 재배면적 제외)의 22.1%인 176,870 ha에서 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가 발생되었다. 발생비율을 보면, 전라남도가 논 면적의 44.3%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충청남도로 30.5%, 충청북도 27.8%, 강원도 24.5% 순이었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전체 32.2%(57,018 ha)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밭뚝외풀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