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접 잔류 응력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131초

원자로 압력용기 상부헤드 CRDM 노즐 용접부의 용접잔류응력 및 운전응력 평가 (Evaluation for Weld Residual Stress and Operating Stress around Weld Region of the CRDM Nozzle in Reactor Vessel Upper Head)

  • 이경수;이성호;배홍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0호
    • /
    • pp.1235-1239
    • /
    • 2012
  •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압력용기 상부헤드에는 출력제어 및 정지용 제어봉이 통과하는 노즐이 있으며 이 노즐은 상부헤드 노즐과 J 형태의 홈으로서 용접 되어 있다. 최근 외국의 원자력발전소에서 이 용접영역 주변의 노즐 및 용접부에서 일차수응력부식 균열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용접부의 용접잔류응력과 운전 중에서의 응력상태를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평가함으로써 고응력 위치를 확인하고 응력관점에서 균열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해석결과 용접에 의해서 형성된 잔류응력이 수압시험과 운전조건에 의해 다소 변동되기는 하나 응력분포형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노즐내면에서는 용접이 시작되는 지점 주변에서 최대 인장응력이 형성되고 노즐외면에서는 용접이 끝나는 지점 주변에서 최대인장응력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박판 맞대기 용접부 잔류응력 및 균열 해석 (Welding Residual Stress Determination and Crack Analysis in Butt-Welded Thin-Walled Plate by Finite-Element Method)

  • 심광보;배홍열;전준영;송태광;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5호
    • /
    • pp.589-596
    • /
    • 2010
  • 본 논문은 박판 맞대기 용접부 잔류응력을 3 차원 유한 요소법을 이용해서 모사하였다. 경계조건이 잔류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경계조건이 고려되었으며, 예측된 용접 잔류응력은 기존 문헌의 내용과 비교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박판 용접부 균열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의 영향을 해석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원통의 용접변형 및 잔류응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ding Deformations and Residual Stresses for Circumferential Welded Cylinders)

  • 류기열;엄동석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55-6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구멍뚫기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입열량과 두께대 직경을 가진 원통에서 원주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잔류응력과 용접변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입열량과 원통 두께대 직경이 커짐에 따라 축 및 원주 잔류응력은 커지게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Fujita 등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원통 원주용접 시의 지배 파라메터인 입열량과 두께 대 직경비는 축 및 원주방향의 잔류응력과 용접변형의 분포 및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법을 적용하여 실험결과의 범위내에 있는 원주용접된 원통에 대한 잔류응력과 용접변형을 예측할 수 있는 근사식을 도출하였다.

  • PDF

용접 후 응력제거열처리 조건에 따른 티타늄 합금 용접부 평가 (The effect of post welding heat treatment conditions on Ti-3Al-2.5V weldment)

  • 최진강;이희준;양해진;조성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8-302
    • /
    • 2011
  • 티타늄 용접부는 수소취성과 잔류응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용접 후 잔류응력 제거 열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항공 분야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규격에 따라 열처리 온도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어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규격 별로 대표하고 있는 열처리 조건을 선정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용접부에 대한 잔류응력, 잔류수소량을 확인하였고, 용접부에 대한 강도와 충격 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

원전 정상가동조건 적용 방식이 원자로 압력용기 상부헤드 관통 노즐의 용접 잔류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rmal Operating Condition Analysis Method for Weld Residual Stress of CRDM Nozzle in Reactor Pressure Vessel)

  • 남현석;배홍열;오창영;김지수;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9호
    • /
    • pp.1159-1168
    • /
    • 2013
  • 가압형 경수로 원자로의 압력용기 상부헤드 관통노즐 J-groove 용접부 주변에서 일차수응력부식균열(PWSCC)로 인한 냉각수 누설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WSCC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용접 잔류응력을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해 평가하고 원자력 발전소의 정상가동 조건을 해석에 반영하는 방법이 용접잔류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반복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 주기가 용접잔류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정상가동조건에서의 정확한 용접 잔류응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SA508 탄소강 및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잔류응력에 미치는 기계가공효과 (Effects on Machining on Surface Residual Stress of SA 508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 이경수;이성호;박치용;양준석;이정근;박재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5호
    • /
    • pp.543-547
    • /
    • 2011
  • 원자력발전소의 이종용접부에서 일차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하고 있으며 용접부의 잔류응력이 균열발생 및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용접부의 잔류응력은 기본적으로 용접에 의해 형성되지만 기계가공에 의해 표면잔류 응력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가공이 원전재료인 SA508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표면잔류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A508, TP304, F316L 재료를 연마, 연삭, 방전가공으로 가공한 후 표면에 형성되는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구멍뚫기법과 엑스선회절법을 사용하였다. 기계가공방법에 따라 각 재료에 미치는 잔류응력의 크기 및 방향, 잔류응력이 형성되는 깊이 등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기계적인 잔류응력 이완방법의 원리와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김용완;김희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5권2호
    • /
    • pp.1-8
    • /
    • 1987
  • MSR 처리를 실제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잔류응력과 기계적성질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MSR 처리는 소성변형을 유발시켜 높은 인장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하며, 잔류응력이 낮은 부위에 대해서는 잔류응력 재배치에 따른 응력치의 변화가 수반된다. (2) 잔류응력 감소량은 MSR 하중에 비례하여 증가 한다. (3) 모재의 항복응력보다 낮은 하중으로 MSR 처리를 하면 충격치의 감소는 무시할 정도이지만 모재의 항복응력보다 높은 하중으로 행하면 응착금속에서 충격치의 감소가 현저하다. (4) MSR 처리를 하게되면 항복응력이 높아지고, 잔류응력이 감소해서 선형의 응력-스트레인의 관계를 가지는 범위가 넓어져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상태가 된다.

  • PDF

강교 도장용 블라스트 표면처리에 의한 용접이음의 피로강도 향상 (Improving Fatigue Strength of Weld Joints by Blast Cleaning used in Painting Steel Bridge)

  • 김인태;정영수;이동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37-146
    • /
    • 2011
  • 강교 제작에는 녹, 흑피 등의 이물질 제거 및 도료의 부착성 증대를 위하여 도장 전 블라스트 표면처리가 실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강교 도장용 블라스트 처리가 용접이음의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교 제작시 사용되는 블라스트 처리조건에 의한 압축잔류응력 도입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압축잔류응력에 의한 용접이음의 피로강도 향상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 7개 강구조물 제작사의 블라스트 처리조건을 조사하였다. 이를 근거로 도출한 10가지의 블라스트 처리조건별 알멘스트립의 아크하이트와 강재시편의 표면조도, 경도 및 잔류응력을 측정하여, 이들 측정값과 블라스트 처리조건들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아크하이트 측정으로 압축잔류응력을 근사적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블라스트 처리 전 후의 맞대기 용접이음의 압축잔류 응력 측정과 피로시험을 실시하여,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맞대기 용접이음부의 용접지단부에는 약 170MPa이상의 압축잔류응력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맞대기 용접이음의 피로강도는 용접부가 없는 원판 강재 이상으로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비드의 용용상태를 고려한 가스메탈 아크용접의 3차원 열탄소성 변형 해석 (Three Dimensional Thermal-Elastic Plastic Analysis of GMAW Considering the Melting of Weld Bead)

  • 이장현;신종계;김지훈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49-60
    • /
    • 2002
  • 용접법은 선박 생산 공정에 있어서 금속 접합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접은 금속 접합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지만 국부적 가열, 용융, 냉각으로 이어지는 열하중에 의하여 잔류응력과 잔류변형을 발생시킨다. 잔류응력은 구조물의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잔류변형은 조립 작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러므로 역학적 방법에 의한 잔류응력과 잔류변형의 예측은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작업 전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선체 강도 확보와 선박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용접 현상을 가장 잘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인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3차원 열탄소성 해석을 이용하였다. 열탄소성 해석을 위하여 온도분포를 계산한 후 계산된 온도분포를 이용하여 용접변형 및 응력을 순차적으로 계산하였다. 온도분포 계산을 위하여 용융과정을 엔탈피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용접비드의 용입은 요소생성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과정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실험결과와 정성적으로 일치하는 결과를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한 배관 용접부 잔류응력 평가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 on Pipe Welded Joints Using Laser Interferometry)

  • 장호섭;나만균;김경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2
    • /
    • 2014
  • 용접 잔류응력은 용접공정에서 발생하는 하는데, 용접 구조물의 결함 유발 및 파괴의 주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 처리 레이저 스페클 간섭법을 이용하여 원전 배관의 용접부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용접된 배관에 압축 하중을 가하였으며, 면내 변형 측정 간섭계를 이용하여 용접부와 모재부의 변형을 측정하였고, 제안된 수식에 의하여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용접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변형이 일정하게 증가하며, 용접 배관의 모재부와 용접부에 발생한 변형을 비교하였을 때, 모재부의 변형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접 배관 모재부의 탄성계수는 202.46 GPa, 용접부의 탄성 계수는 212.14 GPa, 잔류응력은 6.29 MPa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