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접입열량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Realtime Measurement of Power and Dynamic Resistance in Resistance Spot Welding (저항 점용접에서의 입열량과 동저항의 실시간 측정에 관한 연구)

  • 장희석;조승범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3-145
    • /
    • 2003
  •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measure power and dynamic resistance value through RMS module. Specially designed RMS-DC hardware module was tested. Its output which is obtained every half cycle was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weld checker.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and the relative error in the measurement was found to be around 5%.

  • PDF

A Study on the Optimum Welding Conditions of Thick Plate by SEG Arc Welding process (SEG 아아크 熔接法 에 依한 厚板 의 最適 熔接條件 에 關한 硏究)

  • 신민태;김종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 no.1
    • /
    • pp.13-20
    • /
    • 1983
  • 본 연구는 후판 SEG아아크 용접 조건의 변수가 충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최적 용접 시공조건을 선정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본연구를 통하여 얻은 바로는 32mm 후판을 SE G아아크 용접법을 적용하여 용접할 때 최적 용접 시공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뒷면 받침재는 가볍고 취급하기 편리한 것이어야 한다. 2) 바람직한 저입열 용접은 입열량 160KJ/cm, 흠 각도 03$^{\circ}$, 루우트 간격 8mm, 와이어 돌출 길이 45mm, 전류 320~350AmP, 전압 36V, oscillation 폭 13mm의 용접 시공 조건하에서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선정된 용접 시공 조건을 사용하면 32mm 후판 SEG 아아크 용접에서는 용접 결함이 없고, ABS선급규정의 2A, 2YA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만한 성능의 용접부를 얻을 수 있다.

  • PDF

Effects of Heat Input and Preheat/interpass Temperature on Strength and Impact Toughness of Multipass Welded Low Alloy Steel Weld Metal (다층용접한 저합금 용접금속의 강도와 인성에 미치는 입열량 및 예열/패스간 온도의 영향)

  • Bang, Kook-soo;Jung, Ho-shin;Park, Cha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9 no.6
    • /
    • pp.481-487
    • /
    • 2015
  • The effects of the heat input and preheat/interpass temperatures on the tensile strength and impact toughness of multipass welded weld metal were investigat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the recovery of the alloying elements and microstructure. Increases in both the heat input and preheat/interpass temperatures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eld metal. A lower recovery of alloying elements, especially Mn and Si, and smaller area fraction of acicular ferrite in the weld metal were observed in higher heat input welding, resulting in a lower tensile strength. In contrast, only a microstructure difference was observed at a higher preheat/interpass temperature. The impact toughness of the weld metal gradual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heat input because of the lower tensile strength. However, it decreased again when the heat input was larger than 45 kJ/cm because of the much smaller area fraction of acicular ferrite. No effect of the preheat/interpass temperature on the impact toughness was observed. The formation of a weld metal heat-affect zone showed little effect on the impact toughness of the weld metal in this experiment.

A study on laser welding characteristics of 1500MPa grade ultra high strength steel for automotive application (자동차용 1500MPa급 초고강도강의 레이저 용접 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Jin-Kang;Kim, Cheol-Hee;Rhee, Se-H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3-113
    • /
    • 2009
  •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연료 효율 향상과 매연을 줄이기 위해 차량 경량화 요구가 증가하는 동시에 안전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높은 강도를 가지는 소재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충돌 시 차량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범퍼나 B-필러와 같은 부품에 1500MPa급의 초고강도강이 적용되고 있으며 레이저 용접이 가지는 장점이 많이 알려지면서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레이저 용접에 의한 초고강도강의 용접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500MPa급 초고강도강의 레이저 맞대기 용접을 실시하여 단면, 경도 측정, 인장시험을 통해 용접부 특성을 파악하였다. 파이버 레이저와 디스크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각의 레이저빔 직경 변화에 따른 입열량 변화에 따라 용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Crack Arrest Toughness of Thick Steel Plate Welds for Ship Building (선급 극후물 강재 용접부 취성균열 정지특성)

  • Park, Joon-Sik;Jung, Bo-Young;An, Gyu-Baek;Lee, Jong-Bong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25 no.4
    • /
    • pp.9-14
    • /
    • 2007
  • 선박의 고강도화 및 극후물화가 진행됨에 따라 선체 구조물의 파괴 특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균열정지의 관점에서 취성균열 정지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65mmt 이상의 극후물 용접부에 대해서 취성균열 정지특성의 저하가 발생할 가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취성균열 정지특성이 우수한 강재의 개발 이외에 용접부 보강재의 부착, 보수 용접 실시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극후물 용접부 취성균열 전파기구에 관한 규명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며, 강재 두께의 영향 이외에 용접 입열량 용접부 잔류응력 등의 효과가 복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아울러 극후물 용접부 균열정지 파괴인성의 평가, 대형파괴시험을 대체할 소형시험법의 개발 및 검증 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고탄소계 Cr-Ti 합금강 레일재의 용접성에 관한 기초연구

  • 강계명;송진태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8 no.1
    • /
    • pp.54-61
    • /
    • 1990
  • A pilot production is made to the high carbon Cr-Ti alloy rail steels with slight quantity of Cr & Ti added to the eutectoid carbon steel. As a part of weldability of these alloy steels, SH-CCT diagram for welding is first applied to the high carbon Cr-ti alloy rail steel with 0.1wt% Ti. The microstructure, which will be appeared at the HAZ of Enclosed-arc welding of this alloy rail seel, is a single phase of pearlite. As a result of this, it shows that the welding condition of Enclosed-arc welding applied to this alloy rail steel is a good condition.

  • PDF

열 cycle 재현법을 이용한 원자로압력용기(RPV)강 용접열영향부(HAZ) 해석

  • 김주학;문종걸;변택상;이창희;홍준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7-22
    • /
    • 1997
  • ASME SA508 Class 3 원자로압력용기강을 대상으로, 용접열영향부(heat affected zone, HAZ)의 최고온도(peak temperature) 등온분포도(isothermal diagram)를 작성 및 해석하였고, 재현(simulated) 열영향부 시험편을 제작하여 미세조직검사 및 기계적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고온도 등온분포도를 이용하여, 미소열영향부(subzone of HAZ)의 미세조직(microstructure)에 미치는 예열(preheat)온도와 용접입열량(weld heat input)의 크기 효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재현 HAZ 의 기계적특성 시험결과, 용접용융선(fusion line) + 1 mm 이내의 위치로 대표되는 열 cycle 조건에서는 모재보다 양호한 강도와 인성을 보였고, 용접용융선 + 2~3mm부근에서 가장 미세한 조직(fine tempered lower bainite)과 우수한 충격인성을 나타냈다. 한편, 용접용융선 + 약 5mm 위치에서의 열 cycle 을 재현한 시험편에서는 미세조직의 변화(spheroidization of carbides)와 함께 인성 및 기계적 특성이 저하하여 모재보다 낮은 값을 보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Weld heat input energy to mechanical properties of Titanium alloys (용접 입열량에 따른 티타늄 합금의 기계적 성질 평가에 대한 연구)

  • Yi, Hui-Jun;Lee, Jung-Soo;Yang, Hae-Jin;Oh,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4a
    • /
    • pp.476-479
    • /
    • 2011
  • 티타늄 합금은 높은 내부식성, 우수한 피로 수명과 무게비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진다는 우수성으로 인해 항공기 부품과 화학 공업 분야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Ti-3Al-2.5V 합금 TIG 용접부에 대하여 용접부 인성과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 용접 입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입열조건에 대한 용접부에 대한 강도, 충격 인성과 노치 인성을 평가하였으며 적정 입열 조건에서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friction welding of 2024 aluminium (2024 알루미늄의 마찰용접에 관한 연구)

  • 송오성;강춘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8 no.3
    • /
    • pp.24-30
    • /
    • 1990
  • 2024 Aluminium was welded by domestic manufactured continuous type friction welder. The problems and optimum condition were studied in 2024 Al-2024 Al cases. Mechanical tests and microstructure analysis were studeid. Interfacial temperature of welding was predicted by FDM.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Al-Al, the optimum condition range was wide. 2) At the boundary zone, fine recrystallized zone was not harmful to the mechanical property and no growth of precipitation was observed. 3) In case of Al-Al, temperature gradient can be predictedby FDM and heat input can be taken as weld parameter.

  • PDF

Cr-Mo鋼 熔接熱影響部의 破壞靭性과 熔接入熱量에 관한 硏究 II

  • 임재규;정세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5 no.2
    • /
    • pp.9-16
    • /
    • 1987
  • 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i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fracture toughness in heat affected zone(HAZ) and remove the residual stress. There occur some problems such as toughness decreement and stress relief cracking(SRC) in the coarse grained HAZ subjected to the effect of tempering treatment. Especially, embitterment of structure directly relates to the mode of fracture and is appeared as the difference of fracture surface, that is, grain boundary failure. Therefore, in this paper, PWHT was carried out under the stress of 0, 10, 20 and $30kg/cm^2$ to simulate residual stress in HAZ welded by heat input of 10, 30 and 40KJ/cm. Applied stress in weld HAZ during PWHT assisted precipitin of over saturated alloying element in the structure, and grain boundary failure according to welding heat input didn't almost appear at the heat input of 10 KJ/cm, but it appeared from being the applied stress of $30kg/cm^2$ at $30KJ/cm and 20kg/mm^2$ at 40KJ/c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