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접입열량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4초

용접 속도에 따른 AZ61 마그네슘 합금 마찰교반용접부 기계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AZ61 Magnesium Alloy Joints at various Welding Speeds)

  • 선승주;김정석;이우근;임재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78-2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회전 속도에서 용접 속도를 제어하여 AZ61 마그네슘 합금에 적합한 입열량 조건을 도출하였다. 또한 산업적 측면에서는 더 빠른 용접 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용접 속도에 따른 효과를 연구하였다. 회전 속도 변수는 800rpm으로 일정하게 적용하였고, 용접 속도는 100 - 500mm/min 으로 변화시켜 용접부의 거동을 관찰 및 평가하였다. 기계적 물성 평가를 위하여 인장 및 경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미세구조 관찰과 용접부의 건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였다. 용접 속도가 400mm/min 이상 적용되었을 때 용접부 내부에서 결함이 관찰되었다. 용접 속도가 증가할수록 교반부의 결정립 크기는 작아졌으며, 경도 또한 비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전속도 800rpm, 용접 속도 200mm/min과 300mm/min 일 때, 용접부 내 외부 적으로 결함이 없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이 기록되었다. 이때, 접합 효율은 각각 100.5%, 101.2%이었고, 최대인장강도가 모재의 강도와 유사하였다. 인장 시편의 파괴는 시편의 전진측과 교반부 사이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는 횡단면부 경도 분포에서 경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위치와 일치하였다.

마찰교반용접에 의한 5456-H116 합금의 용접 형상과 기계적 특성 (The Welding Surfac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Friction Stir Welding for 5456-H116 Alloy)

  • 김성종;한민수;장석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278
    • /
    • 2012
  • 선박 구조재료 FRP 재료의 대체 재료로 빠른 선속과 선적량 증가는 물론 재활용이 용이한 Al 선박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장실험을 통해 레저선박에 사용되는 5456-H116 합금에 대한 최적의 마찰교반용접 조건에서 프루브 직경의 효과를 기술하였다. 마찰교반용접에서 이송속도, 회전속도를 변수로 5 mm의 프루브 직경을 사용하여, 이송속도가 61 mm/min의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프루브 직경 6 mm, 회전속도 170-210 rpm, 이송속도 15 mm/min 에서는 낮은 회전속도로 인하여 불충분한 용접열이 발생하여 거친 표면과 기공이 형성 되었다. 회전속도 500-800 rpm인 경우, 용접부에 칩이 관찰되었으며, 기공은 생기지 않았고, 용접표면은 우수하였으나 1100-2500 rpm에서는 지나친 용접열의 발생으로 많은 칩이 발생하였다. 열에 의한 영향은 용접 배면에서 관찰되었다. 이송속도가 15 mm/min에서 회전속도의 증가하게 되면 마찰이 증가함에 따라 용접열이 발생한다. 기계적 특성은 용접 입열량이 증가할수록 재질의 연화가 가속화되어 저하하였다.

니켈도금된 S45C강의 연속파 Nd:YAG 레이저 맞대기 용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Butt Welding Nd:YAG Laser with a Continuous Wave of Nickel Coated S45C Steel)

  • 모양우;신호준;신병헌;유영태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12
    • /
    • 2007
  • S45C steel has been wide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crank shafts, gears, main spindles of machine tools, connecting rods, etc., because of its distinguished mechanical property. In the convention arc welding of S45C plates without heat treatments, it is possible for welding defects to take place, such as a void or a hot-crack, due to a high carbon composition of S45C. Laser welding process is wide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due to its numerous advantages: a small heat affected zone(HAZ), deep penetration, high welding speed, single-pass thick section capability, and small distortion after weldi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ork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power of laser and welding spe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aser welding for the case of nickel coated and nickel uncoated S45C steel.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n case of butt welding, nickel coated S45C steel has a uniform formation of welding zone and it was judged that the welding nature was better as inner defects and the quantity of spatter were formed relatively fewer than nickel uncoated S45C steel.

TMCP강의 용접 공정별 입열량에 따른 용접부 물성 평가 및 비교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Weldabilities with Various Welding Processes on TMCP Steels)

  • 최철영;지창욱;김형찬;남대근;김정돈;김순국;박영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2권1호
    • /
    • pp.6-14
    • /
    • 2014
  • This paper has an aim to evaluate microstructure and fracture toughness of TMCP steel weldment applied for off-shore wind tower with the focus on the effect of heat input on the weldment with various welding processes; FCAW(13kJ/cm and 30kJ/cm), SAW(62kJ/cm), and EGW(177kJ/cm).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developed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toughness of top side for TMCP steel weldments with heat input up to 62 kJ/cm satisfied the required minimum value except the EGW(177kJ/cm). The heat input and microstructure are the main factors of impact toughness. The heat input of 13kJ/cm on back side with low heat input increased the amount of grain boundary ferrite which has low impact toughness, and heat input of 177kJ/cm on top side is significant enough to produce the austenite grain growth. The compositions and sizes of inclusions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for the formation of acicular ferrite were analyzed by OM and EDS. As the heat input increased, the inclusions also grew and a nucleation site decreased. The size of nonmetallic inclusions and the crack width was nearly similar, therefore the inclusions were related with the crack propagation.

용접구조용 고강도강재의 피로균열성장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atigue Crack Growth Characteristics of Welded High-Strength Steels)

  • 홍성욱;경갑수;남왕현;정영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773-78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사용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SM570, POSTEN60 및 POSTEN80 강재를 대상으로 용접선 방향이 피로균열성장속도에 미치는 영향, 용접방법 및 강도등급에 따른 피로균열성장특성, 그리고 각 재질별(모재부, 열영향부, 용접금속부) 피로균열 성장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CT시험편을 제작해서 일련의 피로시험을 실시하였다. 피로시험결과 노치가 용접선과 평행한 시험체의 경우 노치선단에 존재하는 압축잔류응력의 영향으로 노치가 용접선과 직각인 시험체의 경우보다 피로균열성장속도의 지연현상이 현저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용접 방법에 따른 피로균열성장특성은 강재의 강도등급에 관계없이 FCAW가 SAW에 비해서 피로균열성장속도의 분산이 적게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높은 응력확대계수범위 영역에서 피로균열성장속도의 수렴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피로시험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를 비교하면 피로균열성장영역에서의 피로균열성장속도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강재는 피로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찰교반접합된 이상 스테인리스강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riction stir welded duplex stainless steel)

  • 최돈현;안병욱;연윤모;송건;정승부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24-24
    • /
    • 2010
  • 마찰교반접합법은 특정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용접 툴을 이용하여 접합하고자 하는 피접합재의 맞댄면에 삽입시킨 후 툴을 이동시키거나 혹은 시편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장치(backing plate)가 움직여 고상 상태에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비교적 융점이 낮은 저융점 재료의 재료에 처음 적용이 되어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타 용접방법에 비해 우수한 접합특성을 나타내었다. 최근 이러한 마찰교반접합은 이러한 저융점 재료를 넘어서 스틸, 타이타늄, 니켈 등과 같은 고융점 재료 등에 대한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마찰교반접합을 이용하여 이러한 고융점 재료의 접합 경우 내마모성 및 내열성 등의 내구성이 갖추어진 툴과 이러한 툴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장치 등이 필요로 하나 경제적 측면이나 접합부의 우수한 특성 등을 고려 할 때 그 적용 및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2상 스테인레스 강은 금속 조직적으로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 상이 거의 1:1의 동등한 비율로 매우 미세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상 스테인레스 강은 각상의 개개의 특성에 기인하여 염소 분위기에서 응력부식 저항성이 우수하고, 공식과 틈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이상 스테인레스 강은 비교적 고가인 Ni이 일반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의 약 1/2의 수준으로 적게 포함이 되어 경제적인 이점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용접성이 좋아 산업계의 수요는 현재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 스테인리스 강은 용접 후 페라이트 상의 조대화, 그리고 페라이트 상의 분율이 오스테나이트 상의 분율보다 높아지게 되어 용접부에서의 저온 인성 감소 및 내식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용접 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열량의 조절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여 두께 3mm의 대표적인 이상 스테인리스 강인 SAF2205 스테인리스 강에 대해 맞대기 마찰교반접합을 실시하였다. 툴 회전속도를 변수로 하여 접합을 실시하였으며 접합 시 툴은 $Si_3N_4$ 툴을 사용하였다. 접합 후 외관상태 점검, 미세조직 관찰, 경도 및 인장강도 측정 등의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 PDF

잔류응력을 고려한 압연강 용접구조물의 X-ray 회절법에 의한 파괴 역학적 고찰 (Fracture Mechanics Approach to X-Ray Diffraction Method for Spot Welded Lap Joint Structure of Rolled Steel Considered Residual Stress)

  • 백승엽;배동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10호
    • /
    • pp.1179-1185
    • /
    • 2011
  • 용접이음부의 신뢰성 확보는 구조물의 건전성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점용접 이음재의 피로설계기준(fatigue design criterion)을 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응력해석과 체계적인 피로강도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전동차량 차체에 많이 적용되는 냉간 및 열간압연강판인 SPCC, SPCE, SPHE을 대상으로 기하학적 인자(geometrical factors)들을 선별해서 TS형과 CT형의 대표적인 점용접 이음재 시험편을 기본모델로 하여 인장전단하중을 가하여 피로강도 및 피로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피로균열의 발생과 성장 기구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위해 용접 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주요인자들 중 입열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용접잔류응력을 X-ray 회절법에 의해 실험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중첩(superposition)함으로 해서 잔류응력을 고려했을 경우 너깃 단 최대주응력으로 피로강도를 재평가하여 합리적인 피로설계기준(fatigue design criterion)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일렉트로 가스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Mn 및 입열량의 영향 (Effects of Mn and Heat-inpu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GW Welds)

  • 김남인;정상훈;이정수;강성원;김명현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5-201
    • /
    • 2009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effects of Mn and heat-inpu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GW welds. Four different kinds of welding consumables were fabricated by varying Mn contents such as 1.3, 1.5, 1.7, 2.0%Mn and each consumable was welded for EGW on four heat-input conditions between 190 and 340 KJ/Cm. Mn contents were decreased as heat-input increases and alloy elements (C, Si, Ti, B, Al) to deoxidize easily also revealed similar tendency to Mn. Their microstructure, Charpy impact property and strength were investigated, and it is found that Charpy impact property and strength exhibit a strong dependence on change of microstructure by Mn contents and heat-input. The increase of Mn contents or the decrease of heat-input made the microstructure fine and increase volume fraction of acicular ferrite, thereby leading to the great improvement of Charpy impact property and strength. In case of single EGW, optimum Mn contents are over 1.7% for the toughness and strength.

용접(鎔接) 강구조(鋼構造) 부재(部材)의 잔류응력(殘留應力)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al Stress Distribution of Steel Structural Members)

  • 장동일;김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93-101
    • /
    • 1987
  • 용접부(鎔接部)에서 잔류응력(殘留應力)은 용접열(鎔接熱)에 의한 국부(局部) 가열(加熱)과 불규칙적(不規則的)이고 비교적(比較的) 급속(急速)한 냉각(冷却)으로 유발(誘發)되는 열응력(熱應力)과 구조물(構造物)의 강성(剛性) 및 재료(材料) 등에 의하여 발생(發生)되며, 잔류응력(殘留應力)의 존재(存在)는 취성파괴강도(脆性破壞强度), 피로강도(疲勞强度), 좌굴강도(挫屈强度), 진동특성(振動特性), 부식저항(腐蝕抵抗) 등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궁극적(窮極的) 요인(要因)으로 간주(看做)됨으로 본(本) 연구(硏究)는 구조물(構造物)의 강도(强度)를 저하(低下)시키고 기능(機能)에 악영향(惡影響)을 끼치는 잔류응력(殘留應力)의 기구학적(機構學的) 특성(特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SWS 58 강판(鋼板)을 X홈 용접(鎔接)하여 이것을 4단계(段階) 즉 $350^{\circ}C$, $500^{\circ}C$, $650^{\circ}C$, $800^{\circ}C$로 열처리(熱處理)하여 hole drilling method를 사용(使用)하여 잔류응력(殘留應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잔류응력(殘留應力)을 제거(除去)시키는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온도(溫度)는 $650^{\circ}C$ 정도(程度)이었고, 구멍의 직경(直經)이 구멍의 깊이와 일치할 때 구멍바로 근처(近處)의 소성변형(塑性變形)은 완전(完全)히 해방(解放)되었으며, 경도시험(硬度試驗)을 통(通)해 열처리(熱處理) 후(後) 열영향부(熱影響部)의 높은 경도(硬度)가 모두 삭감(削減)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잔류응력(殘留應力)에 끼치는 용접입열(鎔接入熱)의 영향(影響)은 입열량(入熱量)의 표준(標準)보다 1/4 이상(以上), 이하(以下)인 경우 잔류응력(殘留應力)은 용접입열(鎔接入熱)에 큰 영향(影響)이 없음을 알았다.

  • PDF

회주철의 마찰용접 특성에 관한 연구 - 입열량 이론식을 중심으로 - (Friction Weldability of Grey Cast Iron - by the Concept of Friction Weld Heat Input Parameter -)

  • 정호신;방국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2권3호
    • /
    • pp.95-101
    • /
    • 2014
  • Joining of grey cast iron by fusion welding has much difficulties for its extremely low ductility and low toughness because of the flake form of the graphite. And the brittle microstructure, i.e. ledeburite may be formed during fusion welding by its rapid cooling rates. By these kinds of welding problem, preheat and post heat treatment temperature must be increased to avoid weld crack or welding problems. In order to avoid these fusion welding problem, friction welding of cast iron was carried out for improving joint soundness, establishing friction welding variables. There is no factor for evaluating friction weldability in continuous drive type friction welding.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roposed the parameters for calculating friction weld heat inpu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nsile strength and flash appearance of friction welded joint. 2. Tensile strength was decreased and flash was severely oxidized as increasing frictional heating time. 3. As increased forging pressure $P_2$, flash had a large crack and tensile strength was decreased. 4. As powdered graphite by rotational frictional force induced flat surface and hindered plastic flow of metal, tensile strength of welded joint was decreased. 5. Heat input for continuous drive type friction welding could be calculated by the factors of $P_1$, $P_2$ and upset distance(${\del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