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접입열량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용접 입열량에 따른 저합금강 용접부 CGHAZ의 보론 편석거동 분석 (The behavior of boron segregation according to heat input in the weld CGHAZ of low alloyed steel)

  • 김상훈;이종호;이경섭;황병철;이창길;이창희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0-60
    • /
    • 2009
  • 본 연구는 보론이 첨가된 저합금강 용접 열영향부에서의 보론 편석 거동 연구를 위해 보론이 10ppm 첨가된 저합금강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접 입열량 및 외부 응력에 따른 용접부 CGHAZ의 보론 편석거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Gleeble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열량에 따른 CGHAZ를 열 및 열-응력 사이클을 통하여 재현하였다. 재현된 시편의 미세조직은 OM을 통하여 분석하고, 보론의 편석거동을 SIMS와 PTA 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입열량에 따른 보론의 편석 거동은 최초 입열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론의 편석이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평형 편석 후 고온에서 유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back diffusion 발생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부 응력에 의한 보론 편석 거동 분석 결과, 용접 열 사이클 중 작용하는 외부 응력에 의해 결정립계 편석 감소하였는데 이는 외부 응력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 감소에 따른 결정립계 증가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 PDF

압력용기강재 SA508 class 3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부에 대한 연구 (Study on RPV SA508-class 3 Steel Weldments with Submerged Arc Welding)

  • 서윤석;고진현;김남훈;김건형;오세용;황용화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141-143
    • /
    • 2004
  • 본 실험에서 SA508 CL.3 강재의 서브머지드아크 용접부에 대한 연구로 입열량의 차이에 따라서 인성과 미세조직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강도가 크면 인성이 작아지고 연성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고, 입열량이 3-5kJ/$\textrm{mm}^2$를 표준으로 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1.6kJ/$\textrm{mm}^2$, 3.2kJ/$\textrm{mm}^2$, 5.0kJ/$\textrm{mm}^2$ 세 가지 조건으로 실험해 보았다. (중략)

  • PDF

원통의 용접변형 및 잔류응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ding Deformations and Residual Stresses for Circumferential Welded Cylinders)

  • 류기열;엄동석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55-6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구멍뚫기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입열량과 두께대 직경을 가진 원통에서 원주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잔류응력과 용접변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입열량과 원통 두께대 직경이 커짐에 따라 축 및 원주 잔류응력은 커지게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Fujita 등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원통 원주용접 시의 지배 파라메터인 입열량과 두께 대 직경비는 축 및 원주방향의 잔류응력과 용접변형의 분포 및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법을 적용하여 실험결과의 범위내에 있는 원주용접된 원통에 대한 잔류응력과 용접변형을 예측할 수 있는 근사식을 도출하였다.

  • PDF

HSB600강 GMA 용접부에서 입열량과 용접후 열처리가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input and PWHT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SB600 steel weldments)

  • 고진현;김남훈;장복수;주동휘;임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405-54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교량용 구조용 강재인 HSB600 강의 용접부에서 입열량 (1.5~3.6 kJ/mm)과 용접후 열처리(PWHT, $600^{\circ}C$, 40hr.)가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HSB600 강재를 GMA용접을 실시하였다. 용접된 상태에서는 인장강도와 경도는 입열량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으며 충격 흡수 에너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낮은 입열량인 1.5 kJ/mm에서 침상형 페라이트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용접후 열처리를 통해 경도와 인장강도가 저하되었고, 용착금속의 충격흡수에너지가 증가되었다.

대입열용접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Heat Input Welding)

  • 김희진;유회수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13-17
    • /
    • 2010
  • 용접입열 (heat input)은 용접시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량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대입열용접은 용접입열량이 높은 용접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기존에 사용하던 용접기법보다 입열량이 높은 경우에 이를 대입열 용접기법이라고 부르게 되는데, 최근에는 편면 SAW 및 EGW기법 등이 대입열 용접기법으로 통칭되고 있다. 이들 기법의 공통된 특징은 one-pass 용접이라는 것과 용접열영향부에서의 열전달이 2차원적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Rosenthal의 해석식을 이용하여 이들 두 기법의 열전달 특성을 fusion line 위치에서 분석하여 보았는데, 두께에 따른 열전달 특성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를 보여 주게 됨을 확인하였다. 편면 SAW에서는 열이력이 두께의 영향을 받아 두께(입열)가 증가함에 따라 고온에서의 유지시간은 증가하고 냉각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그러나 EGW에서는 입열과 두께가 일차함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이력에 미치는 두께(입열)의 영향이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편면 SAW에서는 강판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fusion line에서의 충격인성은 저하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에 EGW에서는 두께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럼으로 EGW용 대입열용접용 강재의 '대입열 용접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목적으로 '적용 가능한 최대입열 수준' 또는 '적용 가능한 최대 강판두께' 등으로 평가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이다. 단지 강판의 두께에 따라 강재의 화학조성이나 제조공정에 있어 차이가 있다면, 이로 인한 'EGW 용접성'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 PDF

HSB600강 가스메탈아크용접부에서 입열량과 용접후 열처리가 기계적 특성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input and PWH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HSB600 steel weldments with GMAW)

  • 주동휘;장복수;임영민;고진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39-1946
    • /
    • 2012
  • 교량용 고성능 강재는 높은 인장강도, 항복강도, 고인성, 용접성등이 요구된다. 교량 구조용 강재인 TMCP HSB600강의 GMA용접부에서 입열량(1.4~3.2kJ/mm)과 용접후 열처리가 기계적 특성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접된 상태에서는 입열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경도는 감소하였다. 입열량 1.4kJ/mm에서는 빠른 냉각 속도에 의해 베나이트적 페라이트와 탄화물 집합체 등의 경한 미세조직이 생성되었고 입열량 2.1kJ/mm에서는 침상형 페라이트가 다량 생성되었으며, 고입열량인 3.2kJ/mm에서는 입계페라이트 사이트 플레이트와 구형 페라이트가 많이 생성되었다. 용접 후 열처리를 통해 용접부의 잔류응력의 감소와 결정립 조대화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경도는 감소하였으나 충격흡수에너지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용접상세의 변화에 따른 용접이음부의 잔류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ual Stress in the Welded Joints with Different Details)

  • 임청권;박문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709-720
    • /
    • 1998
  • 용접잔류응력의 모재두께방향을 포함하는 3차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용접상세를 변화시킨 필렛용접이음을 대상으로 해서 실험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계측이 곤란했던 필렛용접이음의 용접루트부의 잔류응력을 실측하였다. 파라메타로써는 용접입열량과 용접층수를 취급하고, 모재두께방향을 포함하는 3차원 잔류응력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입열량이 증가하면, 용접토우와 루트부를 포함하는 용접부에서는 잔류응력의 크기에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인장잔류응력의 영역이 크게 나타났다. 또 단층과 다층용접의 비교에서는, 다층용접 쪽이 단층용접보다 잔류응력이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용접부 근방의 인장잔류응력의 영역도 다층용접 쪽이 단층용접보다 작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