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접구조용강재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용접구조용 강재 적용 대형 보부재의 내화성능 연구 (Study of Fire Resistance for Long Span Beams Made of Submarine Structural Steels)

  • 권인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9-150
    • /
    • 2015
  • Structural beam plays a key role to carry the applied load on the floors. And then the beam have to sustain the applied load and its load-bearing capacity in fire situation. In this study to know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long span beam made of a submarine structural steels, an engineering method is used using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at high temperature.

  • PDF

SM570TMC 강재의 재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SM570TMC Plates)

  • 임성우;김요숙;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통권76호
    • /
    • pp.365-373
    • /
    • 2005
  • 건축물이 고층이 될 수록 고강도 강재의 사용요구가 증대된다. 그러나 고강도 강재는 일반 강재와는 전혀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다. 고강도 강재를 건축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탄성 영역에서의 거동이 일반 강재와 동등한가를 확인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SM570TMC 강재를 건축구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기계적 성질 및 용접부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속항복현상을 보이는 SM570TMC 강재는 판두께가 증대되어도 강도저감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최소 항복강도가 440MPa로 나타났다. 또한 판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경도분포를 보였다. -5oC에서의 Charpy 충격값도 충분한 인성을 보였다. 용접성과 관련있는 탄소당량은 기존 건축구조용 강재보다 훨씬 낮았으며, 용접부 특성도 우수하였다.

해석적 방법에 의한 TMC 건축용 내화강재 적용 보부재의 고온 내력평가 연구 (A Study for Structural Stabilities of Beams Built with TMC Fire Resistant Steels by Analytical Method at High Temperatures)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60-66
    • /
    • 2017
  • 화재 발생 시 강구조 건축물은 재료의 급격한 강도저하에 따른 처짐과 내력저하로 구조물의 붕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용 강재의 고온 시 강도저하의 최소화 및 강판 두께 차이에 따른 설계기준강도 차이의 해결과 용접성을 향상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 결과 TMC 건축용 내화강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MC 건축용 내화강재의 고온 시 구조내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의 보부재를 대상으로 단순지지 및 고정단 보 조건으로 처짐과 최대내력 변화를 해석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건축용 내화강재와 그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TMC 건축용 내화강재를 적용한 보부재가 내화강재 적용 보부재보다 고온 시 구조적 성능이 다소 열위임을 확인하였다.

구조용 강재에 대한 폭파절단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Concussion Blasting for Structural Steel)

  • 양형식;장형두;고영훈;김승준;문희숙
    • 화약ㆍ발파
    • /
    • 제29권1호
    • /
    • pp.27-33
    • /
    • 2011
  •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인 SS400과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SM490에 대하여 폭발위력의 기준 약으로 사용되는 TNT를 이용한 붙이기 폭파절단실험을 실시하였으며, TNT 약량에 따른 강재의 절단 및 강종별 절단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SM490 강재의 폭파저항성이 SS400 강재 보다 약량기준 약 30% 이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구조용 압연강재와 스테인리스강재의 CO2 용접에 대한 기계적 특성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e rolled steel and stainless steel for the CO2 welding)

  • 임종영;윤명진;김태현;김상윤;김태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7-212
    • /
    • 2013
  • 산업시설에는 용접된 구조물에 반복 하중이 발생하여 피로파괴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 피로파괴를 줄이기 위해 일반구조용압연강재(SS400)와 스테인리스강(STS304)을 $CO_2$ 용접하여 기계적 특성 분석을 하였다. X-ray 촬영을 하여 결함검사를 하고 용접부에 결함이 없는 시험편으로 경도, 인장, 피로 시험을 하였다. 경도는 SS400과 STS304가 용접된 시험편이 SS304만 용접된 시험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장강도와 항복강도는 반대로 SS304만 용접된 시험편이 높았으며 피로한도 또한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CO_2$ 용접을 할 경우 융점이 낮고 용접성이 좋은 SS400만으로 용접할 때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HSLA-100강 용착금속에 저온균열이 미치는 미세조직의 영향 (Microstructural Effect on Weld Metal Cold Cracking of HSLA-100 Steel)

  • 서준석;김희진;유회수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330-332
    • /
    • 2004
  • 1970년대 구조용강의 경량화를 위해 합금 원소를 많이 첨가해 미세조직을 강화시킨 고강도강(high- yield)을 많이 사용했다. 하지만 탄소량의 증가로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하고 예열과 후열처리 때문에 강재의 용접성과 생산성이 떨어졌다. (중략)

  • PDF

구조용 강재의 용접응력 분포에 미치는 작용력의 영향 (Influence of Load on Welding Stress Distribution of Structural Steel)

  • 이상형;장경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통권72호
    • /
    • pp.555-564
    • /
    • 2004
  • 강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재는 부식에 약하며, 박판상 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강교량은 차량하중의 증가, 부식 등과 같은 외적요인에 의해 손상되어지기 쉬우며 그에 따른 보수 보강이 요구된다. 그리고, 강교량과 같은 강재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절단, 볼팅, 및 용접과정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보수 보강 작업을 위해 행해지는 절단 및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 및 변형의 특징에 대해 아직 명확히 밝혀지고 있지 않다. 또한, 기존의 안전진단 방법으로는 용접에 의한 보수 보강 작업중 구조물의 안전을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용접에 의한 보수 보강 작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에 대한 신뢰 및 기본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절단 및 용접과 같은 입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일반화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입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에 미치는 작용하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접한 건축구조용 강재의 고온 시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s by Welding at High Temperature)

  • 조범연;지남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1-164
    • /
    • 2009
  •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s by welding at high temperature. Welding parts are divided with weld metal and HAZ(Heat Affected Zone). HAZ is formed by interval from welding heat source and heating and cooling rates. Then, the change of both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ccurs. Discontinuity of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y at HAZ is the cause of safety decrease of structure. At this point, in this research, tensile tests at high temperature with test pieces of base metal and weld metal of SS400 and SM490 are accomplished. From the result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oth SS400 and SM490 are standardized without welding or non-welding.

  • PDF

건축용 내화강재(FR 490) 적용 H형강 보부재의 고온내력 연구 (Study of Structural Stability for H-section Beams Made of Fire Resistant Steels (FR 490) at High Temperatures by Analytical Method)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52-57
    • /
    • 2014
  • 구조용 강재는 고온 시 물질 내부의 구성 물질의 결합력 약화로 인하여 내력과 변형이 추가적으로 발생됨으로써, 구조적 성능이 저하되고, 국부 및 연속적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강재로 구성된 구조부재는 화재 시 열영향부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는 내화설계가 요구된다. 건축용 내화강재(FR 490)는 용접 구조용 강재(SM 490)와 상온시 특성은 동일하나, 고온 시의 내력유지 성능이 우수한 강종으로써 이로 구성된 보부재의 고온 시 내력 평가 자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 490강재로 구성된 보부재의 고온 시 거동을 고온 시 재료 특성과 이론적 방법을 통하여 해석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SM 490강재보와 비교함으로써 내화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FR 490강재보의 경우 SM 490강재보에 비해서 고온 시 내력유지 성능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