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인시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지부탐방 - 용인시 지부 창립총회

  • Lee, Gyeong-He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1 no.1
    • /
    • pp.84-85
    • /
    • 2009
  • 용인, 화성, 수원 세 지역을 한데 아우르던 수원산란계지부가 역량강화를 위해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용인채란지부'로 재편하면서, 지난 11월 25일 경기도 용인시 용삼면 사암리에 위치한 농업기술센터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 PDF

IT Industry Complex Scheme in Yongin City (용인시 IT산업단지 조성방안)

  • Choi, Jong-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1 s.45
    • /
    • pp.169-176
    • /
    • 2007
  •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IT industry complex strategy based on previous study on the success factor and success strategy for the promotion of IT industry in Yongin city. The strategy factors are evaluated by the three groups(IT firms, local government official worker, professor) which have an influence on IT policy, and the priority and important rate of strategy analyzed by AH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xtracted through expert inquiry and survey contribute to assist planners and policy-makers in supporting IT industry 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suggested strategy.

  • PDF

육계 HACCP 인증 11호 농장(선진농장) - 유통시장도 차별화 이뤄져야

  • Lee, Gyeong-He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1 no.2
    • /
    • pp.123-125
    • /
    • 2009
  • 사육단계에 HACCP 인증이 실시된 이후, 용인시 농업기술센터의 주도로 용인에 소재한 육계농장들은 HACCP 인증을 받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였다. 그 결과 육계농가 중 첫 번째로 인증을 받은 농장도 용인이고, 인증 받은 농장이 가장 많은 곳도 마찬가지로 용인이다. 이렇게 HACCP 인증 교육을 위해 모인 농가들은 정보공유와 친목도모를 위해 '용인시육계 HACCP 동호회'를 만들었다. 이번 달에는 이 모임을 이끌고 있는 김진선 회장이 운영하는 선진농장을 찾아가 보았다.

  • PDF

An Analysis of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용인시 생태발자국 지수의 분석과 고찰 - 음식, 건조환경, 산림,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

  • Park, Ji Young;Kim, Jin-O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2
    • /
    • pp.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Yong-in City, Gyeonggi-do, South Korea through calculation of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and analysis of their chang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ecological footprints of 1993, 2003, and 2013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land use changes and development in Yong-in City. We also compared the GIS land cover maps and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to figure out land cover changes associated with resource consumption in Yong-in City.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 three lessons. First, the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of Yong-in City are 3.20(gha) in 1993, 6.50(gha) in 2003, and 11.15(gha) in 2013. This implies that the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is much larger than 1.80(gha), the globally required ecological footprint per capita and 3.56(gha), the average ecological footprint of South Korea. Second, the forest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was calculated a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ecological footprints of energy, food, and built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forest ecological footprint was the most rapidly increased from 0.002(gha) in 1993 to 7.32(gha) in 2013, followed by energy ecological footprint from 0.87(gha) to 2.38(gha). This implies that the provision and consumption of timber are seriously unbalanced, and energy consumption is unsustainable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land development in the city. Third, our analysis of the rapid increase of forest ecological footprint indicates that the disturbed forest areas are concentrated in the increased built environment areas. We also observed that the increase of energy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was caused largely by the increase of the commercial and road areas. This implies that Yong-in City should minimize forest disturbance and expand green areas for future in the city. In addition, this may provide a reasonable ground that the city should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and facilitat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Indicatror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Growth in Natural Ecosystem (자연생태계 수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

  • 조현길;안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3
    • /
    • pp.175-182
    • /
    • 2000
  • 본 연구는 자연생태계 소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를 도출하고 용인시를 대상으로 임상유형의 영급별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하였다. 침엽수 1주당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중부와 남부의 생장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활엽수의경우는 남부지역에서 중부지역보다 더욱 많았다. 수목 1주당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활엽수가 동일 직경의 침엽수보다 더욱 많았으며, 그 차이는 직경생장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인시 자연생태계의 단위면적당 평균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역시 영급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II 영급을 제외한 동일 영급내에서는 침엽수림보다는 혼효림이, 혼효림보다는 활엽수림이 더욱 많았다. 중부지역에서 생장하는 흉고직경 20cm 의 활엽수 1주는 약 175리터의 휘발유 소비로 인하여 배출되는 탄소량을 저장하고, 1ha의 IV 영급 활엽수림은 시민 57명이 화석연료 소비로 연간 배출하는 탄소량을 저장하였다. 본 연구의 탄소저장 및 흡수 지표는 직경 생장에 따른 삼림수목의 대기탄소농도 저감 가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Farmland Drought for Permanent Drought Measures in Yongin City (용인시 항구적 가뭄대책을 위한 농경지 가뭄 분석)

  • Kim, Sung Uk;Jun, Kye Won;Cho, Sa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69-369
    • /
    • 2020
  • 최근(2014~2017년) 강수량은 평년대비 71% 수준으로 2017년에는 누적된 강우부족으로 극심한 가뭄피해가 발생하였다. 용인시 또한 최근의 3년(2014~2017년)의 경우 연속으로 100년 빈도에 해당하는 가뭄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가뭄이 발생 되었으며, 하절기를 제외한 기간의 경우 평년에 가까운 강수가 발생하나, 하절기에는 강수가 매우 작아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는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용인시가 관리하는 소규모 농경지는 대형농업용 수원공이 없어 작은 가뭄에도 쉽게 피해가 발생되고, 저수지, 취입보, 양수장 등 수원공이 설치되어 있으나 내한능력 부족 및 영농방식 변화 등으로 상습적으로 가뭄 피해를 입고 있다. 또한, 관리 농경지 및 농업 수리시설물에 대한 현황조사 미비로 상세한 이력 관리가 되어 있지 않아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중장기 계획 수립이 어려운 실정으로 수리시설물에 대한 이력조사가 요구되며, 전체 용수 수요량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농업용수의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항구적 가뭄극복을 하기 위한 가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에 대하여 관개계획 기준치를 보통 10년 빈도의 가뭄에 극복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므로, 계획빈도의 가뭄에 안정적으로 농경지에 농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기설 수리시설물의 공급능력을 검토하여 확인하였다. 용인시 전역에 대하여 우선 기초자료로 기상 및 수문조사와 농촌용수관련인자를 조사하였으며, 상위 관련계획 조사로 농업·가뭄·수자원 관련계획을 조사하였다. 기존 저수지 농업용수 공급능력은 유역의 유입량은 DIROM모형을 사용하여 산정하고 관개구역의 필요수량은 Penman방법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DIROM 모형과 Penman방법으로 산정된 자료를 참고하여 기존 수원공 시설의 물수지 분석을하여 과정에 HOMWRS(수리시설모의조작시스템) 모형을 적용하여 농경지 필요용수량과 공급 가능량, 지하수 취수량의 능력검토를 하였으며, 가뭄 계획빈도 10년 조건에서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검토한 결과 수리적으로 안전한 농경지는 전체 농경지 대비 64.18%로 확인되며, 향후 강우 전망 RCP6.0 시나리오에서 2021년~2040년에 5.1%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된 것을 감안하면 향후 용인시 지역은 가뭄이 보다 심화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시급히 구조적 대책이 가능한 여건의 지역에 한하여 수원공 시설을 확보하여 가뭄에 반드시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배농장 - 육계 HACCP 인증 8호농장 - 안전한 닭고기 생산으로 소비촉진에 기여

  • Lee, Gyeong-He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1 no.1
    • /
    • pp.118-121
    • /
    • 2009
  •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지난 4월 '그동안 소, 돼지에 국한되어 있던 가축사육단계의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을 육계 사육단계에도 확대 적용한다.'고 발표해 닭 농장에서도 HACCP 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에 용인시 농업기술센터의 안전고품질축산물종합생산시범 추진사업단의 발 빠른 움직임으로 HACCP 인증을 받고자 하는 농가에 시설자금 2천만원을 지원(농촌진흥청, 용인시 각 50%)하고, HACCP 컨설팅 그룹 정P&C연구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컨설팅 교육을 실시했다. 보배농장(사장 이상근)은 시장동향과 자금 지원을 받은 농가들의 반응을 살피고는 '이거다' 싶은 생각에 자비를 들여 교육에 참가해 우수한 성적으로 인증을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