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기

Search Result 5,50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조경수 용기재배 시 지온 안정화를 위한 용기의 디자인개발

  • Jeong, Jun-Rae;Choe, Ji-Hye;Jeong, Yun-Seop;Choe, Dong-Hun;Gwon, Yeong-H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47-149
    • /
    • 2017
  • 경수 용기재배는 뿌리분의 손상 없이 식재를 할 수 있어 이식 후 활착이 용이하고, 식재시기의 계절적 제약을 적게 받아 부적기 이식 시 하자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용기재배 시 용기 내 토양온도는 토양의 물리화학반응과 식물의 생육 및 물과 양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토양환경요소의 하나이다. 목본성 식물 용기재배의 경우 제한된 근권부의 토양이 외부기온에 의해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재배용기의 유형에 따른 지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지중재배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재배 방식의 용기 중에서는 Bag in Pot-루트 스커트 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중재배방식의 용기와 유사한 용기 내 지온 안정화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디자인 개발된 용기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테스트하고, 재배농가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Fabricability of the canister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s (고준위폐기물 처분용기 제작성 분석)

  • 최희주;전관식;이양;조동건;이종열;최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63-170
    • /
    • 2005
  • 가압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용기에 대한 개념설계 및 안전성분석이 완료되어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단계로서 처분용기의 국내 제작성을 분석하였다. 용기의 내부구조물 제작성 확인을 위하여 실규모 용기의 직경 1/2, 길이 1/5인 소규모 용기를 설계하였다. 직경에 비해 길이가 크게 줄어 주조시 예상되는 사용후핵연료 바스켓의 변형을 관찰하기에는 적합하지 알았으나 이에 대한 문제는 향후 용기 규또를 확대하며 해결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용기의 제작 공정에 대해 검토하고 절차를 수립하였다 처분용기 내부구조물은 주조를 통해 제작할 계획이며. 이를 위한 주형틀 개념을 제시하였다. 개념설계 된 소규모 용기에 대해 구조 해석을 수행하고, 구조 해석 견과로부터 시험용기의 강도 시험을 위한 시편 채취 위치를 선정하였다. 용기 제조 후 시험 방안을 수립하였다.

  • PDF

숫자로 보는 KSTAR - 저온용기 내부 시스템

  • 국가핵융합연구소
    • 핵융합뉴스레터
    • /
    • s.48
    • /
    • pp.26-26
    • /
    • 2010
  • KSTAR 개발사업의 마지막 단계는 약 6년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KSTAR 장치의 주장치 부분이 모두 설치되었다. 마지막 단계의 주요 과제는 크게 저온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주장치 부분과 저온용기 외부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저온용기 내부 시스템은 저온용기와 진공용기, 열차폐체 등으로 구분된다.

  • PDF

Assessment of Composite Cylinder Flaw for Compressed Natural Gas Vehicles (압축천연가스자동차용 복합재료용기의 외피손상결함 평가)

  • Kim, Young-Seob;Kim, Lae-Hyun;Yang, D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3-43
    • /
    • 2010
  • 국내에 천연가스버스가 보급된 이래 5차례의 용기파열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그중 2005년 8월 전주 덕진충전소에서 발생한 용기파열사고는 CNG용기의 라이너를 감싸고 있는 복합재료가 손상되어 발생한 사고로 보고되었다. 복합재료용기의 외피손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사고사례는 해외에서 약 13건이 보고되었다. CNG용기 외피손상은 용기룰 고정하는 스트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용기고정이 불완전하면 슬립이 발생하고 이는 복합재의 손상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ISO 19078, CGA C6.4 등 국제코드의 규정을 고려하여 국내에서 제조된 Type 2, 3, 4 용기와 외국에서 생산된 Type 3 용기를 대상으로 결함깊이, 길이, 넓이에 따른 복합재료 결함 내구성시험을 수행하여 CNG용기의 내구성능을 평가하였고, 시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복합재료 손상결함 조건을 컴퓨터로 전산모사하여 시험결과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Type 2 용기의 경우, 11,250회의 최소반복가압 회수를 충족하였으나 외피손상부와 반복가압에 따른 실제누출부위가 일치하지 않아 실험조건을 달리한 추가실험이 요구되었다. Type 3 용기의 경우에는 복합재 결함부위와 누수부위가 일치된 시험용기의 수는 67%정도로, 복합재료 용기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라이너와 외피손상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ype 4 용기는 국제기준에서 요구하는 반복횟수를 만족하였고, 손상깊이 0.75mm와 1.25mm에서 반복가압회수가 60,000회 이상이 되어도 누설이 발생되지 않았다. 이는 라이너의 재질이 폴리머로서 균일한데다 탄소섬유 복합재료층 위에 유리섬유 복합재료 층이 1.5mm 정도 추가로 적층되어 있어서 3등급의 손상결함(결함깊이 1.25mm)에서도 구조 층이 전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Type 2 용기의 강재라이너나 Type 3의 알루미늄 라이너와 비교하여 Type 4 용기의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물성이 반복성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원자로 RI 생산용 조사용기 제작 및 시험

  • 박울재;한현수;조운갑;홍순복;이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763-768
    • /
    • 1998
  •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용 표적을 중성자 조사하기 위해 하나로의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조사용기를 개발하였다 IP(Isotope Production), HTS(Hydraulic Transfer System) 조사공별로 내.외부용기를 제작하였으며 재료는 검증된 Al-1050을 사용하였다. 내부용기는 냉간용접(Cold Welding) 하고, 외부용기는 TIG(Tungsten Inert Gas) 또는 전자빔으로 용접한 후 He을 충진하고 밀봉하였다. 조사용기의 건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포누설시험, 내압시험, 가열시험, 침투탐상시험, He 누설시험을 수행하였다. 기포누설시험 결과 내부용기는 90% 이상이 3x$10^{-6}$atm.cc/sec 이하의 누설율을 보였고, 내압시험 결과 파단압력은 28kg/$\textrm{cm}^2$ 정도였다. 외부용기는 TIG 용접시 70%, 전자빔 용접시 90% 이상이 누설율 1x$10^{-8}$atm.cc/sec 이하였다. 개발된 조사용기를 사용하여 하나로에서 200여회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였으나 중성자 조사중 누출을 포함한 기타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조사용기 개발에서 확립된 밀봉시험, 내압시험 및 가열시험 방법은 기체표적이나 내압이 발생하는 표적용기의 개발 및 시험에 응용할 수 있다.

  • PDF

경사낙하 충돌조건하의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의 충돌거동

  • 구정회;서기석;정성환;도재범;김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885-890
    • /
    • 1995
  •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는 충돌사고에 대한 구조적 건전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9 m 자유낙하조건에 대하여 수송용기의 충돌거동을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송용기가 9 m 높이에서 충돌면과 경사각을 갖고 충돌할 때의 동적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수송용기가 충돌과 함께 회전하며 연속충돌을 일으키는 45$^{\circ}$ 이하의 작은 경사각을 갖고 충돌할 매 수송용기에 발생하는 응력, 가속도, 충돌력 등을 분석하여 동적거동을 파악하였다. 또한, 수송용기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며, 경사각도의 변화가 수송용기의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PDF

PET용기 제조기술과 시장동향

  • 김태길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15
    • /
    • pp.49-53
    • /
    • 1994
  • PET 용기는 경제성 등 다른 용기에 비해 여러 이점으로 널리 사용돼와 80년대 중반 이후 매년 30퍼센트 이상의 고속성장을 해왔지만 90년대 들어서는 경기불황의 여파로 성장률이 떨어지고 있다. 특히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일회용 용기 사용 규제 등으로 지난해에는 최악의 상황에 빠지기도 했다. 올해 들어 경기가 다소 회복되고, 업계에서도 용기규격의 다양화와 적극적인 환경대응을 위한 투자에 나서 판매신장을 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PET 용기의 제조기술과

  • PDF

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 Cases of Japan Containers and Packaging (일본 용기포장의 환경배려형 설계 사례① - 포장의 환경배려에 있어서 JIS를 활용한 용기포장 리듀스 대응 사례 -)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81
    • /
    • pp.86-94
    • /
    • 2016
  • 최근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용기포장의 3R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일본 제성은 설계 및 제조 단계에서부터 환경에 배려한 용기포장을 만들기 위해 '용기포장의 환경배려설계에 관한 사례집-포장의 환경배려에 있어서 JIS를 활용한 용기포장 리듀스 대응 사례'를 발간했다. 일본 경제성의 관계자는 "이 사례집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용기포장의 환경배려형 설계에 관련한 대응과 실태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발간됐다"며 "소비자단체, NPO단체, NGO단체 등이 사례집을 적극 활용해 용기포장의 환경배려형 설계가 더욱 보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으로 3회에 걸쳐 보고서 내용을 기본으로 용기포장의 환경배려형 설계 단계, 용기포장의 환경배려형 설계와 JIS의 관계, 각사의 우수 사례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얇은 알루미늄 진공용기 제작 공정 연구

  • Park, Jong-Do;Ha, Tae-Gyun;Hong, Man-Su;Gwon, Hyeok-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20-120
    • /
    • 2012
  • 차세대 가속기용 언듈레이터 진공용기는 In-vacuum 또는 out-vacuum 형태로 제작되며 out-vacuum 언듈레이터 진공용기는 얇고 길이가 긴 모양을 가진다. 이 진공용기는 완전한 비자성체가 요구되므로 주로 알루미늄 합금재로 제작된다. 또한 언듈레이터의 자석 간극은 그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극대화 되도록 최대한 근접하게 제작하기 때문에 진공용기의 단면도 이에 따라 매우 작고 또 진공용기의 두께도 매우 얇아야 만 한다. 현재 설계하고 있는 PAL-xFEL x-선 언듈레이터 용 진공용기는 내부 단면의 최대 크기가 5.2 mm, 두께는 $0.5mm{\pm}0.05mm$ 이고 길이 6,000 mm에서 그 평탄도가 0.1 mm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 같은 진공용기를 제작하기 위하여서는 초정밀 압출, 후 평탄화 공정, 내표면 경면 처리, 초정밀 기계가공, 진공용접이 핵심공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6063-T5을 재료로 이 같은 초정밀 진공용기를 제작하는 전체 공정에 대한 국외 기술 동향과 국내 적용 가능한 공정을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a Negative-Phototropism Pot on the Seedling Growth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for the Ecological Revegetation (배광성용기 사용이 생태녹화용 자작나무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Kang, Byoung Youn;Kim, Jae Hw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4
    • /
    • pp.295-303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cultivation pots o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 in order to select suitable pot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y seedlings for the ecological revegetation. We used six types of the pots natural pot, natural pot with inside 5 mm width root turning bump, natural pot with inside 10 mm width root turning bump, negative-phototropism pot, negative-phototropism pot with inside 5 mm width root turning bump, and negative-phototropism pot with inside 10 mm width root turning bump. As greenhouse cultivation provided a high level of control of irrigation and temperature, the seedling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and diameter at root collar,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oot growth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pots. The root growth was best in the negative-phototropism pot. In the negative-phototropism, the roots grew in a vertical shape, while they grew abnormally in a spiral shape in the natural pots. In outdoor cultivation, the growth of seedl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ontainer types. The seedlings grown in specially manufactured negative-phototropism pots were most excellent in all of the height, number of branches, diameter at root collar and root growth. As for the seedlings grown in the negative-phototropism pots, their roots grew vertically and thus their rooting was well established after they were transplanted outdoor. A size of less than 5 mm ridge installed in the negative-phototropism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seedling growth.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phototropism pot would be best suitable for the growth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 and for the production of seedling for ecological reveg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