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일간 변동성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DR과 원주의 수익률 결정요인

  • Kim, Dong-S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1
    • /
    • pp.41-71
    • /
    • 1998
  • 글로벌화가 진전된 산업의 경우에는 세계산업 내지 세계시장 요인이 현지시장 내지 현지산업 요인보다 더 중요한 ADR과 원주 수익률의 결정요인으로 실증된다. 원주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대체로 현지산업, 현지시장 요인, 세계시장 요인, 세계산업 요인순으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글로벌화가 진전된 산업의 기업 원주에 대해서는 세계시장 또는 세계산업 요인, 현지시장 또는 현지산업 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다. ADR의 움직임은 대체로 세계시장 요인, 현지산업 요인, 현지시장 요인, 환율 요인, 세계산업 요인, 미국산업 요인, 미국시장 요인 순으로 설명되는 반면, 글로벌화가 진전된 산업의 경우에는 세계시장 또는 세계산업 요인, 환율 요인, 현지산업 요인, 현지시장 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다. 한편, 원주와 ADR간에 수익률과 변동성은 모두 상호관련성이 높고, 원주 수익률을 설명하는 요인과 동일 외국기업의 ADR을 설명하는 요인은 대체로 일치한다.

  • PDF

Time-Space Variability Analysis for the Weekly Passenger Flow of the Seoul Subway System: Based on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이성 분석: 동적 시각화방법을 토대로)

  • Lee, Keumsook;Kim, Ho Sung;Park, Jong S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2
    • /
    • pp.158-172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time-space variability for the weekly passenger flow of the Seoul Subway system based on the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For the purpose, we utilize one-week T-card transaction databases. By applying data mining algorithms, we extract passenger data for edge flows, on/off passengers at each subway station per minute interval time. It is practically intractable to analyze such spatio-temporal passenger flows by general statistical techniques. We employ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to analyze intuitively and to grasp effectively characteristics of the diurnal passenger flows on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system during one week. As the result, we found that substantial differences exist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among days as well a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 We also investigates the time-space variability among eight major centers, and we found wide differences in thei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oreign Exchange, Stock and Bond Market: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Japan (외환.주식.채권시장의 상호 관련성 : 한국.일본의 비교)

  • Chi, Ho-Joon;Kim, Sang-Wha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2
    • /
    • pp.169-191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주가, 금리와 환율 등 주요 금융자산가격변수들이 상호간에 주고받는 영향을 3변량 MA-GARCH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우선 각 시장의 조건부 수익률을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상관관계는 낮아진 반면 외환시장과 주식시장,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의 상관관계는 10%p 이상씩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환위기 이후 주식, 채권시장의 외환시장과의 연관성은 크게 높아져 환율 움직임의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커졌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의 경우 각각의 금융시장간 상관계수는 10% 이하의 매우 낮은 수준에 불과하여 상호관련성이 낮은 수준을 보여 주었다. GARCH 추정이 도출한 각 시장의 조건부표준편차들간의 상관계수를 보면, 우리나라와 일본 모두 외환시장 변동성$\leftrightarrow$채권시장 변동성, 주식시장 변동성$\leftrightarrow$채권시장 변동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28-29% 정도이며, 외환시장 변동성$\leftrightarrow$주식시장 변동성 사이의 관계는 21%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 주었다. 반면에 금융시장 변동성의 각 국간 상관관계는 90% 내외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 국가내의 시장간 관계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일본의 금융시장 변동성은 국내금융시장간의 요인보다는 모두 미국 주식시장에서의 충격이나 국제유가 급등락 등 외부적 요인에 대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Can Idiosyncratic Volatility Factor be a Risk Factor? (고유변동성 요인에 대한 위험평가)

  • Kim, Sookyung;Byun, Youngtae;Kim, Woo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490-497
    • /
    • 2018
  •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common idiosyncratic volatility(CIV), a risk factor for idiosyncratic volatility, can be evaluated as a pricing factor. The sample i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The analysis period is 288 months from July 1992 to June 201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market excess returns of the testing portfolios, the difference in the return on the CIV factor sensitivity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risk premium for CIV factors. Second, CAPM, FF3 factor model, and FF5 factor model do not explain the risk premium for CIV factors, whereas factor models that add CIV factors explain the risk premium for CIV factors. In other words, the CIV factor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pricing factors.

Using rough set to develop a volatility reverting strategy in options market (러프집합을 활용한 KOSPI200 옵션시장의 변동성 회귀 전략)

  • Kang, Young Joong;Oh, Kyong J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1
    • /
    • pp.135-150
    • /
    • 2013
  • This study proposes a novel option strategy by using characteristic of volatility reversion and rough set algorithm in options market. Until now, var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tock and future markets, but minimal research has been done in options market. Particularly, research on the option trading strategy using high frequency data is limited. This study consists of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enjoy a profit using volatility reversion model when volatility gap is occurred. The second is to pursue a more stable profit by filtering inaccurate entry point through rough set algorithm. Since options market is affected by various elements like underlying assets, volatility and interest rate,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hedge elements except volatility and enjoy the profit following the volatility gap.

Characteristics of Stochastic Volatility in Korean Stock Returns (우리나라 주식수익률의 확률변동성 특성에 관한 연구)

  • Chang, Kook-H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0 no.1
    • /
    • pp.213-231
    • /
    • 2003
  • This paper uses the Efficient Method of Moments(EMM) of Gallant and Tauchen to estimate continuous-time stochastic volatility diffusion model for the Korean Composite Stock Price Index, sampled daily over $1995\sim2002$. The estimates display non-normality of stock index return, leptokurtic distribution, and stochastic volatility. Funker, this study suggests that two factor stochastic volatility model will be more desirable than one factor stochastic volatility model to estimate daily Korean stock return and also suggests that the stochastic volatility diffusions should allow for Poisson jumps of time-varying intensity.

  • PDF

Can Agricultural Aid and Remittances Alleviate Macroeconomic Volatilit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cks?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성장률 변동성에 기후변화, 송금 및 농업 원조가 미치는 영향 분석)

  • You, Soobin;Kim, Taeyo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5 no.4
    • /
    • pp.471-49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mittance and agricultural aid inflows on GDP growth rate volatilit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cks in twenty-eight African countries by using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from 1996 to 2013 with three years grouped data. The climate change shocks are indicated by four variables; natural disasters, rainfall variability, fluctuation in temperature and the weighted anoma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WASP) index. Consequently, natural disasters and temperature variabi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DP volatility, while rainfall variability and WASP index have no adverse consequence on stabilization of the economy.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remittances and agricultural aid are helpful to stabilize the economy and especially remittances inflows can play a crucial role as insurance when natural disasters occur.

경기변동(景氣變動)과 GDP갭

  • Kim, Jun-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1
    • /
    • pp.217-270
    • /
    • 1996
  • 실제(實際)GDP와 잠재(潛在)GDP의 차이로 정의되는 GDP갭의 변화는 경기변동(景氣變動)을 반영하는 동시에 실물경제의 흐름과 물가압력을 연계하는 거시경제변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의미의 GDP갭은 경기변동의 근원적(根源的) 요인(要因)(sources of business cycle) 에 대한 설명력이 결여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본고(本稿)에서는 주로 경제의 총수요(總需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GDP갭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GDP갭의 변화패턴이 경기변동의 정점(頂點)및 저점(底點)과 거의 일치(一致)하는 동시에 과거 경제운영 과정에서의 주요 정책변화(政策變化)와 일관성(一貫性)을 보이고 있어 현실경제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또한 추정된 GDP갭은 수요봉인(需要奉引)에 의한 물가상승(物價上昇)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총통화(總通貨) 및 금리(金利)의 변화(變化)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경기변동(景氣變動)의 요인(要因)을 수요(需要)측면과 공급(供給)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수요변화는 단기적인 성장효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長期的)으로는 물가(物價)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공급측면의 변화는 장단기(長短期) 모두에 있어서 성장(成長)과 물가(物價)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물가안정을 위한 총수요긴축(總需要緊縮)에 수반되는 단기적인 성장둔화(成長鈍化)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 경제의 높은 해외의존도(海外依存度)로 인하여 해외(海外)로부터의 공급충격에 따른 실물부문(實物部門)의 경기변동이 적지 않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의 시사점은 (1) 물가안정에 수반되는 경제적(經濟的) 비용(費用)이 크므로 처음부터 물가압력(物價壓力)이 확대되지 않도록 경제(經濟)를 안정적(安定的)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 자본자유화(資本自由化) 등의 진전으로 실물부문뿐만 아니라 금융부문(金融部門)도 해외(海外)로부터의 공급충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임금(賃金) 등의 요소비용(要素費用) 안정과 함께 구조조정(構造調整) 및 경쟁(競爭) 촉진(促進) 등을 통하여 경제의 체질(體質)을 개선(改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 PDF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NAFTA 지역 경기변동의 영구적 요인과 일시적 요인)

  • Kim, Jan R.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3
    • /
    • pp.55-76
    • /
    • 2011
  • In this paper, we estimate a model that incorporates key features of business cycles, co-movement among economic variables and switching between regimes of expansion and recession, to aggregate quarterly data for the NAFTA region. Two common factors reflecting the permanent and transitory component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turning points from one regime to the other,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by using the Kalman filter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pproach of Kim (1994). Estimation results confirm that a typical aspect of business cycles are also observed (i.e., recessions are steeper and shorter than recoveries) in the region, and that both co-movement and that regime switching are found to be important features of the business cycle. The two common factors produce sensible representations of the trend and cycle, and the estimated turning points are in line with independently determined chronologies. It also turns out that the degree of synchronization between the NAFTA region and Korea,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NAFTA.

수익률 측정기간단위 변화에 따른 주식간 상관관계의 영향 연구

  • Eom, Cheol-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0 no.1
    • /
    • pp.231-248
    • /
    • 2004
  • 본 연구는 주식간 상관관계 속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주식시장에서 1980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기간동안에 수익률 측정기간단위 변화에 따라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에 어떤 영향이 관찰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가 시간의 함수(시간종속성)인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익률의 측정기간단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가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어떤 변화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시장모형을 이용하여 개별주식수익률 변동성의 구성요소로 분해 및 분석함으로써 그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수익률의 측정기간단위가 증가함에 따라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에 따라 시간의 함수임을 부정할 수 없었고, 또한 측정기간단위가 단기에서 장기로 변화함에 따라 개별주식수익률의 변동성 구성요소에서 개별기업요인에 기인하는 부분은 감소되고 시장요인에 기인하는 부분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익률 측정기간단위는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시장요인의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