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양서비스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6초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고용유지 영향 요인 : 재발사건생존분석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Factors Analysis of Job Retention for Injured Workers after Return-to-Work Using Recurrent Event Survival Analysis)

  • 한기명;이민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221-249
    • /
    • 2017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고용유지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원직복귀 시에는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원직복귀에 실패한 경우에는 어떠한 대상을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한 영향요인을 구성하고, 이를 산재보험패널조사 내에 1,292명을 분석함으로써 각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원직복귀집단의 경우 평균 46.6개월, 타직복귀집단의 경우 평균 34.2개월 동안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직복귀가 원직복귀에 비해 여러 번 실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일반적 특성에서도 열악한 노동시장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직업복귀기간이 길수록 지속적인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직복귀 시 연령이 낮을수록, 요양기간이 짧을수록,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일수록, 사회심리재활서비스, 교육 훈련 및 직업훈련을 경험한 경우 고용유지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직업복귀기간의 적절한 유예기간 설정과 재해 당시 근로환경이 열악한 근로자의 원직복귀 혹은 산재보상 및 재활서비스 우선적 개입,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성공 이후에도 사례관리 등을 통한 산재재활서비스의 적극적인 홍보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한·일 대학생의 노인복지 인식, 치매 인식, 치매태도가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Japa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Welfare, Dementia Perception, and Dementia Attitude on Dementia Policy Perception)

  • 류애란;이국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49-355
    • /
    • 2023
  •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노인복지 인식, 치매 인식,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일 대학생의 치매정책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일 대학생 노인복지 인식, 치매 태도가 치매정책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결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은 저출산 고령사회 속에서 노인을 위한 사회보험제도를 발전시켜 왔으며, 양국의 문화에 맞는 부양방식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일 대학생들의 치매정책 인식에 있어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일본의 개호보험의 영향으로 대학생들에 노인복지 인식, 치매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치매인식이 치매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나 대학생들의 치매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치매인식은 여러 가지 치매관련 서비스 또는 치매정책 개발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치매인식이 낮으면, 치매에 대해 오해하거나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치매정책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치매와 관련된 사회적 지원, 예방, 치료 등의 서비스와 정책이 충분히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대학생에 대한 치매인식 개선과 이해를 돕기위한 정부와 사회 등 다양한 정보의 제공과 의식향상을 통한 인식개선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통합적 인권보장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grated Human Right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 안준희;김미혜;정순둘;김수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569-592
    • /
    • 2018
  • 본 연구는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계획(MIPAA)의 노인 인권보장 관련 기준이 제시하는 1) 노인과 발전, 2) 농촌개발 3)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증진, 4) 독립된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확보라는 주요 방향과 13개의 세부 과제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농촌 노인 인권관련 실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북, 경기, 충남, 전남의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기술통계분석과 T-test 분석을 STATA 13.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과 발전: 경제활동은 참여율과 노동시간이 남성이 높았으며, 일평균 노동시간은 6.2시간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은 여성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무교육의 필요성은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 상황에서 화재 및 방재시설에 대한 인지 정도는 남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농촌개발: 독거노인지원센터 및 취약계층이 받는 보호지원 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았고, 정보기기 기반 서비스 이용률 및 정보기기 통한 교류 여부는 여성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정보기반 서비스 중 금융거래 및 행정/복지서비스 관련 이용률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증진: 보건의료서비스의 경우 1회성의 건강 검진 및 예방 접종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만성질환의 정기적 관리 및 중증질환을 관리하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정신건강관련 기관의 접근성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독립된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확보: 주택안전에서는 주택구조와 편의시설 부족이 가장 위험하다고 응답했으나, 주거서비스 지원을 받은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돌봄 환경에서는 여전히 비공식적 돌봄에 의지하며, 돌봄에 대한 여성의 걱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대서비스는 접근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농촌노인 인권보장상황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수요자의 등록 및 이용수준 영향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Registration and Access Levels of the Pilot Project for the General Physician System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최은희;구여정;임승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5-195
    • /
    • 2024
  • 연구배경: 장애인의 일상적 건강관리 미흡과 낮은 의료접근성으로 인해 다양한 건강문제 발생 및 과다한 의료비 지출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장애인건강권법"에 근거하여 2018년 장애인 건강주치의제도 시범사업을 시행하였으나 2021년 기준 전체 중증장애인 중 시범사업 참여자는 0.2%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요자의 장애인 건강주치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시범사업 등록 여부와 시범사업 이용수준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8년 5월 30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시범사업 정보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연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장애인건강주치의 참여 장애인의 시범사업 등록 및 서비스 이용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장애유형,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과 건강상태(만성질환의 개수, 찰슨동반상병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외래민감질환 및 복약불순응과 다제약제관리 필요의 해당 여부), 시범사업 서비스 이용 관련 변수를 포함하였다. 결과: 시범사업의 등록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결과, 주장애관리 가입 대상에 해당하는 장애유형(지체, 뇌병변, 시각, 지적, 정신, 자폐성 장애인)이 그 외 장애유형(odds ratio [OR], 4.157)보다, 군 지역 거주자보다 특별광역시 거주자(OR, 4.330)와 시 지역 거주자(OR, 3.332)가 시범사업에 등록할 확률이 높았으며, CCI와 만성질환 개수와 같은 건강수준의 영향도 있었다. 그러나 주치의 서비스 이용수준의 결정요인으로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장애유형, 연령, 의료보장 형태, 거주지역)과 건강수준(만성질환 개수, CCI) 등 개인적 요인보다 시범사업 서비스 가입 형태에 해당하는 변수군(수요자가 등록한 주치의의 소속 및 서비스 유형)이 더 높은 설명력(20.4%)을 보였다. 결론: 수요자의 장애유형과 지역과 건강수준에 따른 시범사업의 참여 편차를 고려하여 향후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수요자의 서비스 이용수준에 공급자의 요양기관 형태나 서비스 유형의 영향력이 큰 바 향후 공급자의 참여 양상과 수요자의 참여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시설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Environmental Factor of Facilities)

  • 박세정;김한곤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361-1381
    • /
    • 2009
  • 최근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경험하여 왔다. 특히 치매노인이 접근하기 쉽지 않은 대상이라는 특성 때문에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조사하고,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시설 환경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치매노인의 시설 환경에 적합한(compatible) 프로그램 개발이나 다양한 정책적 및 실천적 방안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시설 환경적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북지역의 노인주거복지시설 및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교차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시설의 환경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치매노인이 만족하는 삶의 질을 위해서는 치매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환경을 마련하고 치매노인의 잠재능력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주수발자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주수발자와의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시설들이 치매노인의 증상에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시설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오프라인(off-line)보다는 온라인(on-line)을 통해 치매노인요양시설과 전담인력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지역사회가 긴밀히 협력하여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어르신께 양질의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 정신요양시설의 급식 서비스 현황 분석 (Foodservice Systems of Meal Service Programs for Mental Disorder Care Sites in Korea)

  • 이진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1호
    • /
    • pp.80-86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examine characteristics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b)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c) analyze foodservice systems; and d) provide feedback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foodservice management of mental disorder care sites in Korea. A total of 46 sites was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s results of site recipients' characteristics, 60% of total sites were males and 40% were female recipients. Average 60% of recipients were from 30 to 40 years old. Major diseases of recipients were mental disorder, high pressure, and obes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oodservice system analysis, the average meal cost per day was about 2,921 won and average food cost percentage was 39%. Average number of meals per day was about 600 meals. All sites had on dietitian and 88.3% of sites had one cook as a full-time employees. In the part of procurement, dietitians were major chargers of sites for purchasing foods. Major purchasing method was the order and delivery contract. About a half of sites used cycle menu system and standardized recipies. Most of sites had recipients survey systems for evaluating meal satisfaction. About 60% of sites provided liquid diets to recepients and 22% provided diabetic diets. Dietitians at sites had problems on low meal cost budget, lack of cooking professionals,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treatment meals for mental disorders for providing higher quality of foods cure recipi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financial and systematical supports by the government would be very necessary to meet the goal of nutritional balanced meal services.

  • PDF

장기요양 시설서비스 이용자의 소득수준별 본인부담금에 대한 인식 차이 (Differences in Family Caregivers' Opinions about Out-of-Pocket Payment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by Income Levels)

  • 권진희;문용필;이정석;한은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9-148
    • /
    • 2017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mily caregivers' opinions about out-of-pocket payment for long-term care (LTC) facilities, and find the differences in the opin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all different levels of income. Methods: We used the data of the study on out-of-pocket payment in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including 1,552 family caregivers with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Results: The average out-of-pocket payment per month was 511,635 Korean won and distributed from 230,750 to 1,365,570 Korean won. The amount of out-of-pocket payment might be affected by not co-payment but the cost of non-covered servi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m for family caregivers of all different levels of income. Opinions were surveyed about 5 issues. By levels of inco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opinions about 3 issues, the financial burden on LTC, the necessity of reducing out-of-pocket payments, and to be willing to pay more for a high quality service. But there were not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interruption of LTC service and staying with LTC faciliti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ange of out-of-pocket payment for LTC facility is wide and it can be a burden to lower income group. It should be to prepare the policies to ease the financial burden and support the appropriate LTC use.

환자 및 시설 특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의 자원소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tient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n the Resource Use by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s)

  • 권순만;김홍수;김선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resource us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tient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n their use of resourc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10 old people over sixty years of age, residing in five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wo skilled nursing homes during the period between December 1, 2000 and February 28, 2001. For a full sample, when the first level of RUG(Resource Use Group)-III categories were employed as the proxy of patient severity, facility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size and ownership, have large effects on the resource use measured by service intensity, whereas patient characteristics such as severity have little or no effect. The resource use is significantly high if the facility: (1) is located in rural areas (gun): (2) has mare than 200 beds; (3) is a long-term care hospital; (4) is private; and (5) has a low percentage of medical aid patients. The analysis of the resource use in each RUG-III categories, for which ADL(Ability of Daily Living) were employed as the prosy of patient severity, shows a similar result. The loos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of residents and the resource use seems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effective reimbursement system for providers. The current reimbursement system has no provision for quality improvement and reimburses facilities simply according to their types: fee-for-service for long-term care hospitals, and monthly-flat-rate or full-coverage-national-aid for skilled nursing facil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more reasonable reimbursement system that takes patient's severity into account and gives incentives for long-term care providers to offer cost-effective services.

치매, 중풍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현황과 이용수준 관련 요인 (The Long-term Care Utiliz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oke, and Multimorbidity in Korea)

  • 전보영;권순만;김홍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0-100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dementia, stroke, and combined multimorbidity with long-term care utilizations among older people in South Korea. Method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0,130 older adults who used long-term care services in 2010 were analyzed. We used the 5% sample of aged 65 years or older linked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registry data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sampl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dementia only (47.6%), stroke only (36.3%), and both dementia and stroke (16.1%). We estimated the use of institutional care, home care, and total expenditure of long-term care services, adjusting for the severity of each function (such as daily life, behavior or cognitive change, nursing care needs, and rehabilitation care need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Having dementia symptom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institutional 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having stroke symptom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use of home care. The total long-term care cost was higher in the group of having both dementia and stroke. Conclusion: Older persons with dementia symptoms and stroke symptoms have different patterns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and the multimorbidity increased the overall expenditure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for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targeting physically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rsons, and special concerning for persons with multimorbidity condition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n Korea.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있어 방문물리치료서비스에 대한 보건소 방문사업팀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Home Care Team's Perception in Health Center about Home-based Physical Therapy among Home Care Service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 윤태형;김희라;박래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53
    • /
    • 200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ome care team's home based physical therapy in public health center Method: We surveyed 11 questionnaires for hone care team in health center from 1st to 30th, November in 2008. Results: The person who recognized the exclusion fact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long term care insurance was 64.2% in whole 109 people. About necessity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absolutely necessary" as the person answer was 43.1%.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the insurance must come to be provided with a precedence was 81.3%. About starting time of hereafter home-based physical therapy "after 1 years" the opinion which was 60.7%. Opinion about operation institution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the pubic hospital or health center" was 52.3%. In composition form of the home-based physical therapy team "with the physical therapist and occupation therapist come together" was investigated with 37.4%. Conclusion: As long term care insurance will be developed, discussion about quality- of-service must be continuous and depth. Relates hereupon, the academic, researchers, and the persons concerned must consider the best quality of life improvement of the citizen and prepare the ground which systemic, rational, and actual on starting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long term care insur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