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소시스템디자인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Human Sensibility Ergonomic Design Supporting System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 한성배;양선모;정기원;김형범;박정호;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29-135
    • /
    • 1996
  • 본 논문은 제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고객의 감성을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로 변환하는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은 감성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 디자인 요소변환 서브시스템, 형상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 등 크게 세 가지의 서브시스템으로구성된다. 감성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은 고객의 제품에 대한 정성적 감성을 분석하여 디지인 요소와 상관성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품을 표현하는 감성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로 변환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디자인 요소변 환 서브시스템은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와 연결하는 추론 시스템으로서 감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휘 중에서 고객이 선택한 감성어휘에 대해 퍼지 추론을 이용하 여 디자인 요소와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형상 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은 제품의 아이템/카테고 리에 대한 형상을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 요소변환 서브시스템에의해선정된 제품정보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고객이 원하는 제품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상을 가지게 되는가를 보여주게 된다.

  • PDF

Effect of Visual Design Factors on the Emotional Usability of Customer Interfaces - Trustworthiness of Cyber Banking System Inetrfaces - (시각 디자인 요소와 감성 요소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요구 - 가상 은행의 고객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

  • Kim, Jin-U;Mun, Jae-Yun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7 no.1
    • /
    • pp.113-138
    • /
    • 1997
  • 본 논문의 목적은 고객의 특정 감성을 유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 방안 모색에 있다. 이를 위해 가상 은행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모두 네 단계에 걸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1단계 실증 연구는 가상 은행과 관련된 제반 감성 요소를 충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감성 어휘들을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제2단계의 실증 연구는 사용자 관점에서 중요하게 지각되는 시각적인 디자인 요소 파악이 주 목적이었다. 제3단계 실증 연구에서는 감성 요소와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였고, 최종적으로 제4단계의 실증 연구에서는 실험용 가상 은행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감성 요소와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특정 시각 디자인 요소의 조작을 통해서 신뢰감과 같은 고객의 감성 유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논문은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일반적인 전자 상거래 시스템 고객 인터페이스 구축 과정에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한다.

  • PDF

A Study on the Priority of Game Design Components by Genres (장르별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의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 Nam, KiTeo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5
    • /
    • pp.63-74
    • /
    • 2021
  • The format of game play varies depending on the priority of game design components by genre. In this study, in order to quantitatively derive the priority of game design components by genre, 6 game design components and 6 genres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on game design components and genres, and then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priorities were derived through AHP. Feedback system in action games, story in adventure games, mechanics in role-playing games, mechanics in simulation games, feedback system in table games, and mechanics in puzzle games were highly prioritized.

Innovation Product Design Development by Four Design Thinking Action (혁신적 제품 디자인 개발 가능성)

  • Kang, Bum-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587-596
    • /
    • 2012
  • This research works has newly proposed ide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innovative product design by using four design thinking framework in the aesthetic issue, material issue, function & structure issue which are usually called three major design issues. The four design thinking framework is consisted of eliminate, reduce, raise and create. This research also analyzed 232 innovation products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ideation method. The main outpu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tion method which was newl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help to create new ideas for innovation product design. Second, 41% existed innovation product desig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deation in the 'function & structure' issue. Three, 74% existed innovation product desig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aise & create' issue rather than 'eliminate & reduce' issu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help a designer who wants create new innovation product.

퍼지기반 감성 디자인 추론기관 구축에 관한 연구

  • 정기원;한성배;양선모;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41-145
    • /
    • 1996
  • 본 논문은 고객의 감성과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을 퍼지논리을 통해 추론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퍼지기반 추론기관은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고객의 감성정보를 설계자에게 제품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디자인 정보로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이다.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 시스템의 일 부인 추론기관은 고객의 감성과 제품형상의 연관성을 퍼지논리를 이용하여 전향추론하도록 하였다. 출 력은 추론기관을 통해 선정된 부품 카테고리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베이스의 그래픽화일을 화면에 디스플 레이하게 한다. 고객 자신의 감성에 대한 불명확함과 제품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고객감성 반영의 어려움 등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추론기관의 개발은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의 감성을 적용하는데 활용되리라 본다.

  • PDF

다변량해석기법을 활용한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박정호;한성배;양선모;김형범;이순요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136-140
    • /
    • 1996
  • 제품개발의 개념이 기능이나 성능중심에서 인간의 감성중심으로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감 성은 정성적 언어로 표현되며 이것을 물리적 디자인요소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정량화하는 것이 선결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변량해석기법 을 활용하여 고객의 제품에 대한 정성적 이미지를 정량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감성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데 있다. 감성 데이터베이스는 감성어휘와 이의 제품에 대한 정량적 수치 데이터로 구성되고, 이를 위해서는 감성어휘 선정, 디자인 요소에 의한 제품의 분류, 감성어휘와 디자인요소간의 상관도 도출 등이 필요하다. 감성어휘는 요인분석에 의해 선정하고, 제품은 아이템/카테고리에 의해 분류하며, 감성어휘와 디자인요소간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다변량해석기법 특히, 수량화이론 1류를 사용해서 정량화 한다. 이렇게 구축된 감성 데이터베이스는 감성공학적 디자인 요소변환 지원시스템의 감성데이터 처리 서브시스템의 핵심 역활을 한다.

  • PDF

Assessment of Usability of Webstorming System in Space Design Process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웹스토밍 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 Choi, Gil-Dong;Kim, Kwang-M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3
    • /
    • pp.241-253
    • /
    • 2011
  • The present thesis is to concretize process stages and methods for effective use of online CGTS(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 or the web-storming program, in space design and to propose a support system for idea generation specific to space desig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ctivity factors in space design process and functional factors of the web-storming program were written into an interaction matrix, which was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on correlations. Then,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matrix were visualized and analyzed following the procedure of observation-interpretation-application. The analysis found that the schematic design stage is most correlated where close collaboration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space design and that differences in correlation arise upon division of work. As such, the present study proposed 'provision of media for ideas in accordance with specific process and UI optimization' as a means of improving usability in schematic design that is closely correlated and suggested an idea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web-storming system in division of work.

Framework for Building Reusable Design Systems (재사용 가능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

  • Lee, Young-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
    • /
    • pp.343-34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d combining blocks based on the atomic design system in order to propose a framework for rescue of a reusable design system. For that, I first looked at the necessity of a design system and examples of snow white, skeuomorphic design, flat design, and material design. In addition, molecules, atoms, organisms, templates and pages of atomic design using the principles of chemistry as metaphors we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In order to implement a new framework, an interface inventory was constructed, and among them, font, color, image and control elements were extracted as core visual elements, and guidelines were defined, and molecular elements were classified and composed of atoms based on them. Blocks a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blocks based on the design pattern most used in the content inventory, and the framework is constructed to implement a layout based on a visual grid and design a page through a combination of block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the new framework helps team consistency and collaboration by reusing blocks and supports file sharing and updating.

A Study of factor analysis on user-centered software concept design (사용자 중심의 소프트웨어 컨셉 개발에서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성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20-21
    • /
    • 2000
  • 일부 소프트웨어들의 상품 가치의 판단은 과거 기능위주에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적 요소들 만족여부에 결정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소프트웨어가 시스템 공학적 개발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지고 있고 사용자 및 사용자 환경을 분석을 통한 디자인적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