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로감염관리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2초

대구지역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의 요로감염 관리 실태분석 (Manage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A Survey of Pediatricians in Daegu City)

  • 이상수;강석정;이재민;조민현;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2호
    • /
    • pp.95-101
    • /
    • 2012
  • 목적: 소아의 요로감염은 적절히 관리 되지 않는 경우에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다양한 관리 지침이 계속 개발되고 있고, 근래에는 근거 중심의 지침들이 만들어져서 진료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아과 의사들의 요로감염 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아과 의사들의 요로감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적절하게 관리가 이루어지는지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대구시 지역의 78명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요로감염의 진단, 영상검사 및 치료와 예방을 위한 환자교육을 어떻게 하는지를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발열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 요로감염을 감별하기 위하여 소변검사를 하였다. 환자가 소변을 가릴 수 없는 경우 상당수의 응답자가 무균채뇨백을 사용하여 채뇨를 하였으며, 소변배양 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가장 많이 시행하는 영상검사는 초음파였다. 항생제는 입원한 경우에만 주사로 투여하고 외래 통원 시는 경구투여를 하였다. 요로감염의 중요성, 재발과 예방 등에 대한 환자 교육을 선택적으로 하고 있었다. 방광 요관역류의 관리 지침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28.6%로서 많지 않았다. 결론: 요로감염을 진단하기 위한 시도는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무균채뇨백을 사용하여 소변배양을 하는 경우가 많아 위양성진단율이 높아져서 과잉치료가 우려되었다. 또한 영상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동반된 요로 기형의 진단이 조기에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우려되었다. 근거-중심의 요로감염 관리 지침에 따른 보다 적절한 관리를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병원감염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수행도 - 중소병원 초보간호사를 중심으로 -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 early stage nurs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 김정미;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92-500
    • /
    • 2018
  •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초보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병원감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9월15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A시와 B시에 300병상 규모의 중소병원 2곳의 초보간호사 150명중 무응답 및 미흡한 응답자 11명을 제외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bar{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비교해 본 결과 요로 감염관리, 호흡기 감염 관리 그리고 소독 오염물품 관리 부분은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행 정도는 손 씻기 영역에서는 근무부서와 직위, 수액요법영역은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여부(p<.001)에서, 요로감염관리 영역 및 호흡기 감염관리 영역(p=<.001)에서는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정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손 씻기, 수액요법, 요로감염관리, 호흡기 감염관리, 감염성 폐기물 관리, 소독오염 물품관리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인지도가 수행도 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초보간호사들이 병원감염관리 간호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수행도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병원감염관리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요로감염 예방행위에 대한 지식과 실천 (The Caregiver's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Preventive Behavior for Urinary Tract Infec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오영주;송영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07-42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로감염 예방행위와 관련된 지식과 실천 정도를 조사하여 간호사가 요양보호사에게 요로감염 예방행위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지도, 교육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7개의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98명이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로감염 예방행위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79%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요로감염 예방행위에 대한 실천은 근무하는 간호사의 수, 담당 노인의 수, 근무시간,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한 군, 교육을 받은 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지식함양 요구의 기초교육뿐 아니라 의료인에 의한 관리 감독 하에 지속적인 요로감염 예방행위의 실천은 노인요양시설의 기본 감염관리 체계를 완성하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감염관리 수행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of Nurses in Hospitals)

  • 최은영;송민선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3호
    • /
    • pp.303-313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e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infection control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the CAUTI. Methods: The subjects were 166 nurses at three hospitals with less than 300 beds in urban areas.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infection control of the CAUTI.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AUTI were knowledge (β=.18, p=.010), perceived seriousness (β=.25, p=.001), perceived barriers (β=.41, p<.001), and cues to action (β=.15, p=.030), and these factors explained 28.7% of the variance for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the CAUTI. Conclusion: In this study, higher levels of knowledge, perceived seriousness and, cues to action,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resulted in a corresponding higher performance in the infection control of CAUTI. Based on these findings, providing intervention programs enhancing the health beliefs of nurses is necessary to ensure thei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the CAUTI.

선천성수신증 환아에서 방광요관역류 및 요로감염 발생에 대한 고찰 (Vesicoureteral Reflux and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with Congenital Hydronephrosis)

  • 김종호;곽재령;박지민;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222-228
    • /
    • 2009
  • 목적 : 선천성 수신증 환아에서 방광요관역류(VUR)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또한 요로감염 발생 여부와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연구자들은 VCUG를 시행 받은 선천성 수신증 환아를 대상으로, 수신증과 VUR 간의 연관성 및 요로감염 발생 여부에 대하여 분석을 하여 환자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는 2002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선천성 수신증으로 진단된 생후 1개월 이내의 환아 중, VCUG를 시행 받은 12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측정치의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6.0을 사용하여 logistic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등을 실시하였으며,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총 122명의 선천성 수신증 환자 중 남자가 많았고(73%), 주로 편측 수신증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며(77%), 그 중 좌측(84.0%) 수신증 환자가 유의하게 많았다. VUR은 총 23명(18.9%)에서 발견되었다. 수신증의 심한 정도는 좌우측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VUR의 정도도 좌우측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신증을 1-4단계로 나누었을 때, 각 단계별로 VUR의 발생빈도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수신증을 경한 수신증(1-2단계)과 중한 수신증(3-4단계)으로 나누었을 때 중한 수신증에서 VUR의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아기 동안에 요로감염 발생을 살펴보면, 수신증이 심하거나 VUR이 있을 경우 그 발생빈도가 높았다. 결론 : 선천성 수신증 환아에서 수신증의 정도가 심할 경우 더욱 VUR의 빈도가 더 높았으며, VUR이 존재할 경우 영아기에 요로감염이 더 흔히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회음부 간호시 클로르헥시딘과 생리식염수 적용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 비교 (Effects of perineal care in preventing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 in intensive care units (ICU))

  • 최정실;연정화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preventing CAUTIs through the practice of using 0.05% chlorhexidine gluconate (CHG) versus normal saline for perineal care in ICU patient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used,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CHG group (n=79) or normal saline group (n=81). CAUTI was diagnosed following the criteria of the Centers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Incidence of CAUTI and characte oftics of infection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CHG group, 8 epofodes of CAUTI were obsevend in 79 patients and 875 foley catheter e ys. Tnce ate of CAUTI was 9.14 per 1,000 foley catheter e ys. Tncre were 2 epofodes of CAUTI in the 81 patients and 837 foley catheter e ys of the normal saline group. Tnce ate of CAUTI was 2.39 per 1,000 foley catheter e ys. Tnc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not significant (p=.1e ConConclusevaluUsing normal saline to provide perineal care to ICU patients with a foley catheter inserted will not increase the risk for CAUTI.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Infection Control of Nursi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이미향;김두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2-20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infection control studies conducted by nursi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Methods: Through the domestic search engines RISS and KISS, seven articles were selected by searching for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8 to January 2020. Results: In total, six research studies and one intervention study out of seven studies were analyzed. Measurement tools for examining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related care workers consisted of skin infection, aspiration pneumonia, urinary tract infection, and hand hygiene. Factors affecting nursing care workers' infection management performance were infection management knowledge, education level, health status, and importance awarenes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accurately measure nursing care workers' infection management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nursing care workers' infection control.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를 생산하는 Enterobacteriaceae 요로감염에서 카바페넴 이외의 항생제 사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Use of Non-carbapenem Antibiotics in Patie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Caused by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 서유빈;김영근;이재갑;송원근
    • 의료관련감염관리
    • /
    • 제21권2호
    • /
    • pp.50-56
    • /
    • 2016
  • ESBL을 생성하는 균주에 의한 요로 감염에서 카바페넴 계열 이외의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는 지를 후향적으로 평가한 연구이다. 만약 in vitro 결과에서 감수성이 있다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결과이나 환자의 중증도가 높다면 실패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향적 연구를 기대해 본다.

기본간호학 교과서의 근거기반 도뇨관련 요로감염 예방 실무지침에 대한 반영 현황 (Reflected Status of Evidence-Based Guideline on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 김윤희;장금성;정경희;최자윤;양진주;박순주;박현영;류세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44-357
    • /
    • 2017
  •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간호학 교과서의 반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출간된 기본간호학 교과서 14개로써 이론서 7개와 실습서 7개로 구성되었고,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5개의 도뇨관련 요로감염예방 실무지침으로부터 포괄적으로 수렴하여 91개 권고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기본간호학 이론서와 실습서의 총 반영률은 각각 23.0%와 15.2%이었다. 이론서에 반영률이 가장 높은 영역은 도뇨관 유지 영역이었고 실습서는 도뇨관 삽입 영역이었다. 반영률이 50%이상인 개별 권고문항은 총 91개 중 16개이었고 이중 도뇨관 유지에 관한 권고문항이 8개(50.0%)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지만 상반되게 기술된 개별 권고문항은 총 9개 이었고, 요실금 관리를 위한 도뇨, 도뇨관의 정기적 교환, 도뇨관 제거 전 방광훈련과 회음부 간호의 순이었다. 향후 기본간호학 교과서를 개정할 때 오류내용이 우선 교정되어야 하고 근거기반 실무지침 권고내용에 대한 반영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도뇨관 관리를 위해 가정간호에 의뢰된 환자의 요로감염실태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atheterized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 박민아;이종은;조영이;장정숙;최지연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8-185
    • /
    • 2021
  • Purpos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risk factors for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 in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Methods: A total of 117 participants registered for home care nursing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C hospital in Seoul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were based on a survey and urine examination results from June to July 2018. Results: Asymptomatic bacteriuria was identified in 96 (82%) patients. Age, sex, activity, diabetes mellitus, mental status, presence of other diseases, catheter material type, catheter size and fixation, hand washing (care giver), gloving (care giver), perineal care, and bladder irrigation were not recognized as risk factors for CAUTI. Age and catheterization duration were associated with CAUTI. Conclusions: Old age was found to be a risk factor for CAUTI (p=0.048). CAUTI incidence decreased as catheter use exceeded 70 months (p=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