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구명세기반 테스트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 Study on Testing Process Application About the Software for X-Forms base UI Development (X-Forms 기반 UI 개발 소프트웨어에 테스트 프로세스 적용을 위한 연구)

  • Lee, Seu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383-386
    • /
    • 2007
  • X-Forms 기반의 웹 UI(User Interface)를 개발하는 소프트웨어는 개발이 완료되어 운영되는 과정에도 사용자의요구, 성능향상, 기능개선, 기능추가 등의 이유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도 일반적인 요구사항명세, 분석, 설계, 구현의 개발 프로세스를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UI 개발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단계에서 효율적인 테스트를 하기 위해 V-모델을 확장, 변형한 테스트 프로세스 제안한다. 제안한 테스트 프로세스의 주요 활동은 요구사항분석을 통한 테스트 계획, 테스트 데이터를 식별하고 환경을 구축하는 분석과 설계, 테스트 케이스를 명세화하고 테스팅 방법론을 적용하는 구현과 실현, 리포팅과 산출물을 정리하는 테스트 마감 활동으로 진행한다. 웹 UI 개발 소프트웨어의 특징에 맡게 테스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실무에 적용하여 에러 검출률, 테스트 시간, 테스트 결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est Case Generation for Black-Box Testing based on Function Abstraction (블랙박스 테스팅을 위한 함수 추상화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생성기법)

  • Ryu, Hodong;Lee, Woo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019-1021
    • /
    • 2013
  • 오늘날 소프트웨어의 복잡화에 따라 그 테스트 방법 또한 다양화 되고 있다. 입력의 따른 결과 값을 비교하여 대상의 내부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가능한 블랙박스 테스팅은 오늘날의 복잡한 소프트웨어의 테스팅에 있어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을 위해서는 요구 명세와 더불어 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최근에는 UML과 같은 정형화된 명세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생성기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모델 기반의 개발 방법이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매번 이루어지는 코드 변경에 따라 모델을 다시 수정하는 번거로움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함수 레벨의 블랙박스 테스트를 위하여 코드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상 함수를 추상화한 후 함수의 각 인자들을 이용하여 각 조건문 상의 인자의 쓰임을 분석하여 각 조건의 기준 값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구현되어 있는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요구 명세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줄이고 더불어 코드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의 자동 생성연구의 초석이 된다.

Comparison of Major Black-Box Testing Methods in Object-Oriented Software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위한 주요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들의 비고)

  • Seo, Kwang-Ik;Choi, Eun-Ma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3 no.1
    • /
    • pp.1-16
    • /
    • 2006
  • As the size of software is getting huge, it has been impossible for testers to test all of source coed. Therefore, the method which uses information of requirements for testing has been researched and accepted. Although there are a lot of test methods based on requirement specification, each method has a different approach and coverage. So we should consider their various approach and coverage in the stage of test planning. This paper presents the empirical comparison and the result by applying various black-box testing methods to software system. For this experiment we studied five black-box testing methods including UML based specification technique. We applied the five testing methods to application system and evaluated the coverage of extracted test case.

Specification Extension Method and Effect Analysis in Software Development Using Web Service Component (웹 서비스 컴포넌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명세 확장 방법과 그 효과 분석)

  • Seo Kwang-Ik;Lee Dong-Kun;Choi Eu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199-201
    • /
    • 2006
  • 사용자는 웹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한 발견뿐만 아니라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동작할 수 있도록 명세를 참조하여야 구현 및 테스트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컴포넌트 명세를 작성할 때 사용자 이해를 고려한 여러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명세는 오퍼레이션 이름, 데이터 타입 등과 같이 API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힘들며, 구현 및 테스트 과정에서 제약, 선 후 조건, 품질과 같은 요소들이 빠져 있어 작업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사용자 요구사항 기반의 명세 확장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명세 표준인 WSDL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보였다.

  • PDF

A Techniques of Consistency Preservation between Requirements Specifications and Testcase (요구사항명세와 테스트케이스 간의 일관성 유지 기법)

  • Park Sang-Hoon;Choi Jin-Myung;Rhew Su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425-428
    • /
    • 2004
  •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테스트는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개발 시에 발견되는 심각한 결함과 오류들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 테스트 수행 시에 요구사항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면 반드시 테스트되어야 할 조건들이 누락될 수 있고 테스트의 성취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모든 소프트웨어 테스트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테스트에 반영하고 추적하기 위한 일관성 유지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기반으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일관성 있는 테스트케이스를 생성한다.

  • PDF

Scenario Composition Supporting Method for Integration Testing Using the Requirement trace Table (요구사항 추적테이블을 이용한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지원방안)

  • Choi, Shin-Hyeong;Kweon, Dae-Gon;Han, Pa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49-45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명세를 기반으로 한 통합 테스트를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 작성지원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요구사항정의테이블, 프로세스정의테이블, 프로그램 대 테이블 상관도를 이용하며, 추가로 앞의 3가지 테이블 기능을 요구분서, 설계, 테스트 단계별로 나누어 한곳에서 신속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요구사항추적테이블을 생성한다. 본 연구의 통합 테스트를 위한 시나리오 작성 지원방안의 출력물은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지침서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검사팀의 시나리오 작성노력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구사항에 대한 누락을 배제하고,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테이블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테스트할 때 잘못된 값을 입력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 PDF

Aspect-based WS-BPEL Extension for Performance Testing of Composite Service (조합된 서비스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에스펙 기반의 WS-BPEL 확장)

  • Sung, Dong-Hyuk;Kim, Jong-Pil;Hong, Jane-E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77-82
    • /
    • 2010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기반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서비스 단위의 컴포넌트 조합에 의해 기능이 수행된다. 이러한 조합된 서비스에 대한 테스팅은 주로 서비스 조합 명세서인 WS-BPEL 명세를 기반으로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어 수행 되었다. 최근에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에 적용되면서 서비스 조합에 대한 성능 관련 요구사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성능 테스트는 각 서비스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성능 측정을 위한 코드삽입을 필요로 함으로써 테스트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성능을 테스트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S-BPEL을 이용한 조합된 서비스의 효과적인 성능 테스트를 위해 WS-BPEL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확장 기법은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Aspect 개념을 WS-BPEL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WS-BPEL을 이용한 테스팅에서 조합된 서비스의 성능 테스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 확장 기법은 성능 테스트뿐만 아니라 다른 비 기능적 요구사항에 대한 테스트에도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Support Environment for Constructing Test Oracles Based on the Behavioral Models Represented as Statecharts (Statechart 행위 모델 기반의 테스트 오러클 생성 지원 환경)

  • Shin, Dong-ik;Jeon,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05-308
    • /
    • 2004
  • 소프트웨어 시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험 대상 소프트웨어가 명시된 행위 명세를 올바로 준수하는지 점검할 수 있는 테스트 오러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Statechart로 표현된 행위 모델로부터 실행 가능한 테스트 오러클의 자동 생성을 지원하는 시험환경을 제안하고 설명한다.

  • PDF

Test Case Generation Techniques based on Use Cases for Interoperability Test of Component-Based software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의 상호운용성 테스트를 위한 유스케이스 기반 테스트 케이스 생성 기법)

  • Yoo, Cheol-Jung;Noh, Hye-Mi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5
    • /
    • pp.361-375
    • /
    • 2009
  • The major concern of component users who develop applications using the existing components is to confirm whether a component is collaborating with the different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Therefore, interoperability testing whose role is to check whether components collabor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new operating environment not within the component development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ce research topic.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st case generation technique for interoperability test of component based software. The proposed technique defines a test model for generating test cases. The proposed technique generates test models from the use case specification and thereafter from these models, test cases for Interoperability testing are derived. In addition, we describe a tool which Implements the procedures for generating test sequences from test models.

A Dataset Generator for Moving Objects based on GML Documents (GML 문서 기반 이동 객체 위치 데이타 생성자)

  • 김동오;김정준;강홍구;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57-62
    • /
    • 2004
  • 현재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 데이타를 활용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s)나 Telemetics 같은 분야가 새로운 화제로 대두되었으며, 관련된 다양한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이 국내외에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위치 데이타의 효율적인 저장 및 검색을 지원해야 하며, 또한 저장 및 검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타 셋을 이용한 테스트 및 성능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특정 상황을 가정한 임의 데이타 셋보다 실제 환경에 가까운 데이타 셋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테스트와 성능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환경에서의 지형 지물과 같은 다양한 고정 객체와 지형 지물상에서 이동하는 다양한 이동 객체를 고려하여 위치 데이타를 생성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고정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타를 표현하는데 있어 OGC(Open GIS Consortium)에서 제안한 지리 데이타 공유 및 저장의 표준인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명세에 기반한 GML 문서를 사용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이 실제 환경에 가까운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GML 기반 이동 객체 위치 데이타 생성자를 개발하였으며, 생성된 데이타 셋은 LBS나 Telemetics는 물론 4D GIS 분야에서 보다 정확한 테스트 및 성능 평가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