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환위기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Employment during Crises in Korea (금융위기의 고용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 Shin, Sukha;Cho, Dongchu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4 no.4
    • /
    • pp.91-116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how the adverse impact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Korea's employment could be mitigated in comparison with the Asian crisis period. The results from error-correction models suggest that the less severe impact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ould be attributed to (i) smaller GDP reduction, (ii) better maintenance of domestic demand despite a sharp fall of export, (iii) less serious over-employment during the run-up to the crisis, and (iv) less severe credit crunch. Analyses of OECD cross-country data provide corroborating evidence. In order to mitigate adverse impacts on employment, therefor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expansionary macroeconomic policies to keep aggregate domestic demand from collapsing once a crisis is triggered. Also crucial, however, is to maintain sound economic structures such as flexible labor market and adequately supervised financial market.

  • PDF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Reforms in the Korean Banking Industry (한국 은행산업 구조조정의 성과에 관한 연구)

  • Lee, Seok-We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1
    • /
    • pp.83-10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1998\sim1999$년에 걸쳐 행하여진 한국 은행산업 구조 조정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위험수준이 높아 구조조정 기간에 금융감독당국으로부터 강한 경영개선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은행들은 무수익여신, 부실여신비율 등 대출행위의 건전성 측면과 대출, 유가증권간의 투자비율, 그리고 유가증권 내 자산종목 간의 투자 비율 등 여러 가지 위험관련 변수들과 관련하여 측정된 건전화에 대한 동기면에서 외환위기 이전에 비하여 유의적이고 일관된 보다 높은 건전화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의 은행권 구조조정 정책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유효성을 보여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은행 집단별 분석에서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퇴출 또는 우량은행에게 인수/합병된 부실은행들은 구조조정 이전의 기간에 그 외의 은행들 보다 위험추구에 대한 동기가 매우 강하였음을 볼 수 있었으나 이러한 위험추구의 동기가 우량은행에로의 인수/합병을 통하면서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총표본에 대한 분석에서의 결과와 일관되게 외환위기 이후의 구조조정 정책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유효성을 보여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 PDF

Corporate Valuation of Difference in Operating and Financial Leverages (레버리지도 차이에 따른 국내기업 가치분석)

  • Chung, Bhum-Su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0 no.4
    • /
    • pp.175-193
    • /
    • 2011
  • This paper tests a correlation between degrees of operating leverage(DOL) and financial leverage(DFL).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extracted information from financial statements of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Data extend from 1990 to 2009. The DOL continued to increase until 1997, but decreased dramatically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DOL has been at a higher level than companies of other countries such as USA and Japan. The DFL has been maintained at a much higher level, as expected.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OL and the DFL. To further investigate, we divide the whole sample into subgroups according to such management elements as asset size, IMF crisis. The results for sub-sampl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whole sample. This indicates we need to incorporate specific managerial factors in order to correctly explain financial decision processes.

  • PDF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 Kim, Du-Seop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67-95
    • /
    • 2007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전국출산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49세 기혼 여자의 총출생아수와 1998년 이후의 출생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을 1997년 이전에 결혼하였거나 재혼한 부인들과 1997년 이후 처음 결혼한 부인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출산력 수준과 출산행태를 비교함으로써 IMF 외환우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출생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부부의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뒤집어진 J 자형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출산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바로 밑의 집단 보다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런데, 최근의 출산수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출산수준 감소의 폭은 기존의 출산수준과 정비례하는 방식으로 미루어졌다. 출산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급속한 출산력 저하가 이루어졌으며 출산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다. 그 결과, 최근의 출산수준은 중상층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지닌 집단이 가장 높고, 다음이 최상위 집단, 그리고 하위 집단의 순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주관적 계층에 따른 최근 출산력의 변화양상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外換危機) 이후(以後) 환율안정화(換率安定化)에 대한 통화정책(通貨政策)의 효과(效果) -우리나라의 일별자료(日別資料)를 중심으로-

  • Jo, Dong-Cheol;West, Kenneth D.;Hong, Seong-Cheo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3_4
    • /
    • pp.63-104
    • /
    • 1999
  • 본 연구는 외환위기 발생 이후 취해진 고금리정책이 이후의 환율안정에 기여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완전 변동환율제도로 이행된 1997년 12월 이후의 일별자료를 대상으로 표준적인 시계열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는 금리상승이 환율의 평가절상을 유도하였다는 것이다. 축약형모형(reduced form regression)에서 나타난 환율의 금리에 대한 탄력성은, 부도율과 같은 위험(risk)변수를 통제한 단순회귀방정식뿐 아니라 VAR모형에서도 1을 소폭 상회하는 정도의 추정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외환위기 이후 환율안정화의 가장 큰 원동력이 외환유동성의 회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외환유동성이 회복될 때까지 단기적으로는 고금리정책이 환율안정화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기여하였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韓國)의 외환위기(外換危機): 발생(發生)메커니즘에 관한 일고(一考)

  • Sin, In-S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0 no.3_4
    • /
    • pp.3-62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 외환위기의 발생메커니즘이 투기적 공격모형에 의하여 설명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한국의 외환위기는 국제금용시장에서의 인출사태(banking panic)로 설명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들 주장의 주된 근거는 97년 11월 자본유출을 주도한 요소가 외화채권인출이었다는 사실이다. 한편 본 논문은 국제금융 시장에서의 인출사태 발생에 필요한 조건을 (1) 잠재적 외환유동성 부족, (2) 인출사태 촉발요인의 등장, (3) 인출사태에 대한 대비장치 부재 등의 세 가지로 규정하고, 잠재적 외환유동성 부족의 조건은 96년 거시정책의 실패 및 94~96년간의 금융기관 해외지점의 급팽창에 의하여 마련되었음을 보인다. 또한 인출사태에 대한 대비장치의 부재가 실재(實在)하였음을 인출사태 진정과 관련된 IMF구제금융의 무력(無力)을 보임으로써 실증한다. 그러나 인출사태 촉발요인에 대해서는 최종결론을 유보하고 있다. 본 논문은 촉발요인에 대한 논란이 내부요인설, 외부충격설, 자기실현설 등 세 가지가 있음을 설명하고, 이중 외부충격으로 논의되고 있는 일본금융기관의 역할설(役割說)에 대한 부정적 증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제시된 증거가 모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므로, 촉발요인에 대한 구명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져 있다.

  • PDF

The Study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Wage : Principal Components Regression Analysis (한국 제조업의 임금결정에 대한 연구 : 외환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 Oh, Yu-Jin;Park, Sung-Joon;Kim, Yu-Seop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8 no.1
    • /
    • pp.61-82
    • /
    • 2005
  • We investigate wage differentials in Korea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structural change in wage determination for the pre- and post-financial crisis regimes. We use the 1995 and 1999 data from the Survey Report on the Wage Structure (SRWS) from the Ministry of Labor. Principal components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tackle multicollinearity. We employ factor analysis to reduce a set of variables to a smaller number, which contain observed and latent variables. Our empirical investigation provide evidences for changes in wages structure between 1995 and 1999. In 1995, the job quality factor is the most critical in the determination of wages, while in 1999, the industry attributes factor impacts greatly on the wages.

  • PDF

The Shift to the Service Economy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uctural Change since Financial Crisis in Korea -Focused on the Analysis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using Productivity Decomposition Methodology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서비스화와 구조변화의 특징 - 생산성 분해를 통한 제조업과 서비스업 업종별 분석과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 Ban, Ga Woo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3 no.1
    • /
    • pp.85-107
    • /
    • 2010
  • In this article, since the financial crisis, Korean employment movement to service market, productivity gap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was significan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e results from productivity decomposition show that negative structural changes, which employment increase is contrary to the productivity, have been intensifi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It is caused from a different developing pattern. While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was reduced, productivity has improved in manufacturing industry. While the developing was due to the high increase of the employment proportion in service industry, productivity w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This tendency is clearly revealed in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Korea the negative trend of structural changes in service industry are intensified compared to manufacturing industry after the financial crisis.

  • PDF

Economic Crisis and the Lowest-Low Fertility (경제위기와 저출산)

  • Lee, Sung-Y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3
    • /
    • pp.111-13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change the fertility behavior at each parity after/before the economic crisis, and to find its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study assumes that because the socioeconomic chang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dividual's fertility behavior, the individual's fertility behaviors 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fertility at each parity may change with economic crisis. Such assumption has been proven in this study. After the economic crisis, Korean fertility behavior at each parity has changed. The proportion of women having no child has increased. However, women who want to have a second child or a third one are more likely to do so within shorter period after marriage. The rectangularization of fertility has appeared after the economic crisis, because women married at later ages tends to finish their child bearing within the short period, especially before age 35. Based on the multiple variable analysis,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fertility behavior have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terestingly, the men's safety job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first childbearing while the women's safety careers have the negative effects on it, after the economic crisis. Before the economic crisis, both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irst childbearing. This findings point out the limitation of women career favor policy, which purpose to raise the fertility rates by making good environments for women having children to work comfortably without the anxiety of child care.

Building the Archives in a Civil Society: 'The Archives of 1997 Korean Financial Crisis' (시민사회단체에서 아카이브를 만든다는 것: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 구축 사례)

  • Kim, Jo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0 no.1
    • /
    • pp.207-212
    • /
    • 2020
  •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cess in which the Center for Freedom of Information, founded for the public's right to know by disseminating public information, was created . Building archives with scarce resources and capacities has resulted in a number of troubles and frustrations, and the need for reorientation. However, through the contributions of many people empathizing with the unique needs and meanings of citizen-led archives, difficulties were overcome, and archives were built. This paper summarizes the specific difficulties and capabilities required in this process, especially the knowledge and assistance need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lthough much research is necessary, the archives serve as an example of remembering and reconstructing the past when the 1997 Crisis Archives had shaken all the foundations of people's lives, and a tool to guide decision-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