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상 응급처치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일개 종합병원에 내원한 외상환자에 대한 1급 응급구조사의 처치 유무에 따른 만족도 분석 (Comparis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mong the trauma patients treated by paramedics or not)

  • 정미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5
    • /
    • 2011
  • Purpose & Method : This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how the importance of paramedics. The trauma patients receiving a temporary treatment from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satisfaction for EMS.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October 23 to November 12, 2006. The patients were in the Kyeonggi province hospital having more than 500 beds. At the time of discharge, the questionnaire forms were distributed. Results : Mal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s when they had a paramedics, and thi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groups showing higher satisfaction for EMT 1 practice included patients over 40 years old, educated under high school, and income over 2 million won. Before the trauma patients were treated, they were satisfied with short waiting time less than 10 minutes. They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in 2 hours duration. Conclusion : Summing up the abov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roup treated by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not treated by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paramedics in emergency medical center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since it is a crucial factor that affects patient's satisfaction significantly, it is urgent to increase the role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lay the foundation for legal institutions.

중증외상환자의 치료경과 시간과 활력징후에 따른 응급처치 및 간호활동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 김명희;박정하;김명희;구지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182-191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cessary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for severe trauma patients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 patients over 15 points ISS on EMR from June 1, 2011 to May 31,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pplying McNemar's test using SPSS 12.0. Results: Almost all of the subjects were men and the mean age was 46.9. Run-time for primary diagnosis, treatment decision, and leaving for the hospital room was 0.19, 4.36, and 4.21 hours, respectively, and stayover time was 9 hours. Regardless of vital signs, emergency treatments involving ambu-bagging, intubation, ventilator, and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insertion were offered within an hour. Central venous pressure, Foley catheter/Levin tube preparation and maintenance were performed in cases of unstable vital sign patients within an hour. Unrelated to vital signs, nursing activities for consciousness assessment, skin assesment and wound care, bed sore/fall down assesment and care, intravenous injection insertion and maintenance were conducted for all severe trauma patients within an hour. Foley catheter/Levin tube drainage care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had unstable vital signs within an hour. Conclusion: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for severe trauma patients were specific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완전탈구된 치아의 보관매체에 관한 보호자, 구급대원, 응급의학과 의사의 인식도 (Awareness of Caregiver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Emergency Medical Doctors about the Storage Media for Avulsed Teeth)

  • 김규림;김승혜;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03-31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아의 완전탈구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호자 및 구급대원과 응급의학과 의사가 보인 탈구치의 보관 방법을 조사하여 인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최근 18년간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영구치의 완전탈구로 진단받고 응급처치를 시행받은 만 17세 이하의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치아의 보관매체로 부모와 보건교사 모두 우유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부모는 건조 상태로, 보건교사는 생리식염수에 치아를 보관하는 비율이 높았다. 치아의 보관매체로 구급대원은 생리식염수를 가장 이용하였고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우 재식 실패 시 생리식염수만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적합한 치아의 보관매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외상 현장에서 즉시 재식이 불가능할 경우, 치아의 보관매체로 우유가 권장되며 우유가 식염수보다 우수한 보관매체임에 관한 교육 역시 필요해 보였다. 보호자 및 응급처치를 행하는 구급대원과 응급의학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완전탈구된 치아의 보관 방법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산업간호사의 일차 의료 직무 범위에 관한 연구

  • 김화중;고봉련;김순례;안민선;윤순녕;임옥순;임혜경;정혜선;조동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호
    • /
    • pp.5-12
    • /
    • 1992
  • 본 연구는 1990년 7월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된 이후 새로이 명시된 산업간호사의 일차의료 직무의 범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노동부가 1991년 5월 직업병예방을 위한 종합대책 중 하나로 산업간호사의 직무 개발 계획을 포함시킨 이후 한국산업안전공단과 대한산업보건협회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특히 한국산업간호학회에서는 1992년 8월에 그간의 많은 논의와 연구를 기초로 하여 산업간호사의 일차의료행위에 대한 세부직무를 전문가의 의견 일치 방법을 통하여 개발하고자 연찬회를 개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찬회에서 논의된 결과와 기존 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된 산업간호사의 일차의료직무 범위를 (1)산업 간호사의 건강사정 직무범위 (2)통상 증상 처치 직무 범위 (3)외상 및 응급 처치 직무 범위 (4)상병 악화 방지 직무 범위 (5)직업병의 추후관리 직무범위 (6)약품 투약 범위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들 범위를 근거로 각 범위 별 깊이를 구체적으로 개발하여야 산업간호사들의 직무범위와 깊이가 결정된다. 앞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직무 범위를 기초로 하여 구체적 직무 범위에 따론 깊이가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 PDF

응급실 과밀화와 중증외상환자의 초기 처치 및 사망률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d initial management, mortality of severe trauma patients)

  • 박창원;안재윤;서강석;박정배;이미진;김종근;류현욱;김윤정;이동언;문성배;최재영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24-635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mergency department (ED) crowding influences the timing of the initial assessment and treatment in severe trauma patients, as well as their mortality rat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15 and October 2016, and included adult severe trauma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ED. The emergency department occupancy rate (EDOR) was used to measure ED crowding.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using the EDOR quartile. The timeliness of the initial assessment and treatment in the four groups as well as th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307 patients. The timing of the first computed tomography (CT) and laboratory test order, CT and laboratory test result acquisition, first transfusion, and patient transfer from the ED to the operating room were similar in the four group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ED crowding was not associated with delays in the initial assessment and treatment of severe trauma patients, or in their mortality rates.

119구급대원의 외상환자에 대한 병원 전 응급처치와 업무수행현황 (Prehospital Car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o Trauma Patients)

  • 윤성우;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4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quality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for trauma patients by figuring out its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based on run-sheets and questionnaire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f 425 trauma patients transferred to the 3rd hospital in G-city by 119 ambulances from July 1, 2008 to June 30, 2009. We aslo utilized 114 copies with questionnaires of 119 EMTs working in J-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Results: There were 425 trauma patients including 272 men and 137 patients with traffic accident. When it comes to types of 119 EMTs who delivered cares to patients, there were 206 (48.5%) advanced EMTs, 101 (23.8%) basic EMTs, 50 (11.8%) nurses and 43 (10.2%) rescue education receivers. The most frequent measured vital sign was pulse rate (54.1%). Regarding assessment of sy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respiration rate,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ype of 119 EMTs. Among the 317 patients evaluated 'emergency' in field, 137 patients returned to their home. Prehospital emergency cares accounted for 861, around 2.0 treatments per a patient. In view of questionnaire, the 74.6% of 119 EMTs hoped supplement of man power for proper prehospital care to trauma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guidelines for trauma patients so as to improve quality of trauma patient evaluation and prehospital care. Furthermore, improvement of emergency care systems will reduce mortality of trauma patients and lead to their good outcome.

외상에 의한 초기 사망에서 흉부손상에 대한 고찰 (The Effects of Chest Injury in the Early Deaths of Trauma Patients)

  • 이동훈;조대윤;김찬웅;손동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27-133
    • /
    • 2006
  • 배경: 외상에 의한 사망의 시간적 분포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외상 후 수 시간 이내의 초기 사망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외상체계의 발달로 전체적인 외상 사망은 감소하였으나 아직까지도 외상은 주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외상 사망의 분포에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초기사망의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3차 의료기관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외상환자 중 사망한 환자 400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사망의 시간적 분포와 손상의 부위에 따른 사망의 시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외상 사망에 있어서 초기 6시간 이내에 사망한 환자와 6시간 이후에 사망한 환자를 비교하여 초기 사망의 위험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손상의 종류에 따른 외상 사망의 분포는 두부와 복부 손상은 2상 분포를 보였으나 흥부 손상의 경우는 초기 사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초기 사망군에서 GCS가 5.86$\pm$4.15로 후기 사망군 8.24$\pm$5.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흉부 AIS에서도 초기 사망군 2.66$\pm$1.87로 후기 사망군 1.55$\pm$1.76 으로 초기 사망군에서 손상이 더 심한 것을 나타났다(p<0.05). 초기 사망군의 위험요소 분석에서는 119 구급대에 의해 이송되지 않은 경우(교차비 3.474),높은 흉부 AIS (교차비 1.491), 낮은 GCS (교차비 0.859)가 각 주요 위험요소로 나타났다. 걸론. 외상에 의한 사망에서 지금까지 외상체계의 초점이 되었던 초기 사망의 원인 중 뇌신경계 손상과 출혈뿐만 아니라, 흥부 손상 역시 초기 외상사망의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외상환자의 초기 처치에서 흥부손상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할 것이다.

택시 운전자의 응급처치 시행의지에 대한 응급처치 교육 효과 (The Effect of First-aid Training for Taxi Drivers on Their Willingness to Perform Emergency Care)

  • 성화용;박득현;윤유상;박경혜;김양원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139-150
    • /
    • 2013
  • Purpose: After a traffic accident, first-aid performed within the first few minutes is important for the injured in terms of survival, future health, and quality of life. Taxi drivers have more possibility of witnessing traffic accidents because they spend much time on the road. If taxi drivers are well trained and can perform first-aid in a correct manner, the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rst-aid training on taxi drivers' willingness to perform emergency care. Methods: We provided first-aid training for 600 deluxe taxi drivers in Busan in 2012. The subjec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answer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first-aid training. Results: 427 out of 600 deluxe taxi drivers answer our questionnaire completely. 93 out of 427 deluxe taxi drivers answered that they had first-aid training within past 3 years(21.8%). 323 taxi drivers have witnessed a traffic accident(76%). 45 out of 323 deluxe taxi drivers who witnessed a traffic accident answered that they provided first-aid to victims(14.0%). After first-aid training, taxi drivers' willingness to perform emergency care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before training. The failed group of taxi drivers that had same or decreased willingness after first-aid training had a low level of education than the successful group that had increased willingness after first-aid training. Conclusion: First-aid training increased taxi drivers' willingness to perform emergency care. So Taxi drivers should be encouraged more to undertake and maintain first-aid training. For more volunteering of first-aid training and improvement in the effect of first-aid training, a graded education program for taxi drivers with a low level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a policy on giving credit for completing first-aid training course and for carrying out first-aid needs to be formulated.

충청북도 내 지역별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region in Chungcheong buk-do)

  • 임성빈;양현모;김영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5호
    • /
    • pp.33-44
    • /
    • 2024
  • 충북은 지역별 인구구성과 산업시설, 응급의료기관의 분포 등에 있어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심장정지 환자의 발생 특성과 관련한 지역별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지역의 병원 전 발생하는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과 119구급대 이송 현황을 분석하여 충청북도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충북지역 급성 심장정지 조사 원시자료(2020년)를 기초로 구급차로 이송된 심장정지 환자 1,188명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이다. 충북 도내 응급의료기관은 총 11개소로 시 단위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군 단위 지역에서의 병원까지 환자 이송 시간이 지연되고 있었다. 군 단위 지역은 특별구급대의 출동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심장정지 환자 소생에 도움이 되는 심장정지 약물 투여 빈도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서비스의 접근성 향상(소외지역의 구급차랑 배치, 응급의료기관 적정 배치 등), 외상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예방 홍보 및 구급대원의 응급처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업무 범위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의 주증과 원인에 대한 후향분석: 3,180례 (Retrospective Analysis of Chief Complaints and Causes of Dogs and Cats during Emergency Visits: 3,180 Cases)

  • 이혜경;손원균;서지민;김현욱;이인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0-94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의 흔한 주증과 원인을 파악하고, 응급진료를 제공하는 한국의 응급 동물병원에 필요한 최소한의 준비 사항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의 응급실에 2012년 3월부터 2013년 8월 사이에 내원한 2,368마리의 개와 347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을 분석하였다. 그 중, 255마리의 개와 35마리의 고양이는 두 번 이상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이들은 각각의 내원을 하나의 증례로 취급하였다. 따라서 개에서 총 2,784증례와 고양이에서 396증례를 분석하였다. 진료 기록에서는 품고, 주증, 진단, 입원 여부, 생존여부를 분석하였다. 개의 주증으로는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호흡곤란, 외상, 발작, 기력저하 순이었다. 개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질환은 소화기계 질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경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혈액 질환 순이었다. 고양이에서의 주증으로는 호흡곤란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 외상, 배뇨곤란, 기력저하 순이었다. 고양이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질환은 비뇨기계 질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화기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감염성 질환, 심혈관계 질환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와 호흡곤란, 외상이 개와 고양이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주증이었으며, 이 세가지가 전체 증례의 주증 중에서 약 48.6%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흔히 진단되는 질환은 종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응급한 환자를 진단하고 안정시킬 수 있는 적절한 응급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준비 사항은 충분한 지식을 갖춘 숙련된 인력과 응급 처치와 진단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