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삽 기법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blending technique of precipitation forecasting for optimiz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최적예측강수 산출을 위한 강수예측자료 병합기법 연구)

  • Yang, Ha-Young;Jeong, Jin-Yim;Ko, Hye-Young;Nam, Kyung-Yeub;Choi, Young-Je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85-985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해 단시간에 높은 강우강도를 가지고 발생하는 집중호우 홍수 등의 위험기상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초단기 및 단기 강수 예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단기 강수예측모델은 다양한 관측자료의 사용과 자료동화기법의 개발로 예측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수치모델의 고유특성인 스핀업(spin-up) 문제로 1~6시간까지 강수예측성능에 한계를 보인다. 반면 초단기 강수예측모델은 레이더기반으로 외삽법을 이용하여 1~3시간까지 높은 정확도의 강수예측을 하지만 강수에코의 생성 소멸의 물리과정을 포함하지 않아 3시간 이후의 정확도가 낮다. 이러한 단기 및 초단기 강수예측모델의 장점을 반영하여 최적 강수예측 자료 생산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초단기 및 단기 강수예측모델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모델의 예측성능 기반의 최적 강수자료 병합기법을 개발하였다. 향후 최적 강수예측 자료 생산체계가 구축되면 수문관련 유관기관에서 하천관리에 사용하는 유량예측모델에 시 공간적 고해상도의 강수예측정보를 제공하여 수문분야의 유량예측 정확도 행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Unstructured 3-D Chimera Technique for Overlapped Bodies inRelative Motion (3차원 비정렬 중첩격자계를 이용한 서로 겹쳐진 물체들 간의 상대운동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 안상준;권오준;정문승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8
    • /
    • pp.1-7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A 3-D chimera technique for overlapped bodies in relative motion is studied using unstructured meshes. If all node points of a mesh element at solid boundary are in another body, this element is excluded from computational domain. For computation of unsteady flow, non-active cells have proper variables using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These variables are used in next time step. The motion of a launching trajectory ejected from a wing and the motion of deploying fins of a trajectory which have not been simulated are computed to conform practicality of this technique.

Block Loss Recovery Using Fractal Extrapolation for Fractal Coded Images (프랙탈 외삽을 이용한 프랙탈 부호화 영상에서의 블록 손실 복구)

  • 노윤호;소현주;김상현;김남철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4 no.1
    • /
    • pp.76-85
    • /
    • 1999
  •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by block loss is more serious in fractal coded images with the error propagation due to mapping from the lost blocks than in DCT coded images. Therefore. a new algorithm is presented for recovering the blocks lost in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lossy network as A TM network of the images coded by Jacquins fractal coding. Jacquins fractal code is divided into two layers of header code and main code according to its importance. The key technique of the proposed BLRA (block loss recovery algorithm) is a fractal extrapolation that estimates the lost pixels by using the contractive mapping parameters of the neighboring range blocks whos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a lost block. The proposed BLRA is applied to the lost blocks in the iteration of decoding. Som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BLRA yields excellent performance in PSNR as well as subjective quality.

  • PDF

Analysis of Difference in extreme rainfall according to bias-correction method on KMA national standard scenarios (기상청 국가표준시나리오의 편의보정방법에 따른 극한강우량의 차이 분석)

  • Choi, Jeonghyeon;Won, Jeongeu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5-195
    • /
    • 2018
  • 기상청에서는 영국 전지구기후모델인 HadGEM2-AO 기반의 영국 지역기후모델 HadGEM3-RA로부터 생산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후변화예측을 위한 국가표준시나리오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모델의 특성상, 관측자료와 모의자료 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를 무시하고 원자료를 그대로 분석에 사용하는 것은 무의미 하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하기 위해서 주로 Quantile Mapping, Quantile Delta Mapping, Detrended Quantile Mapping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어떠한 편의보정 방법이든 극값이 다수 존재하는 미래기간 모의자료를 보정할 때에는 외삽법(extrapolation)의 적용이 필요하다. 외삽법의 경우 constant correction 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국가표준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이러한 편의보정 방법의 적용에 따른 미래 극한강우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모의자료에서 우리나라 주요 기상관측지점에 해당하는 격자로부터 강우량자료를 추출하고 연최대강우시계열을 산정하였다. 그 후, 위의 세 가지 편의보정 방법을 이용하여 강우자료의 편의보정을 수행하였으며, constant correction 방법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보정하였다. 그 후, 보정된 미래기간 모의자료의 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미래 확률강우량 산정방법인 scale-invariance 기법에 적용하여 미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외삽법의 적용에 따라 편의보정 방법에 따라 미래 자료의 추세 또는 확률강우량의 변화패턴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그 값 자체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사용된 GCM과 RCM 조합으로 인한 오차와 더해져, 미래 예측결과의 불확실성으로 나타나기에 미래 극한강우량 예측을 위해서는 다수의 GCM, RCM 조합뿐만 아니라 다수의 편의보정 방법에 따른 결과도 함께 고려(ensemble)하여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ep learning-based Approach for Prediction of Airfoil Aerodynamic Performance (에어포일 공력 성능 예측을 위한 딥러닝 기반 방법론 연구)

  • Cheon, Seongwoo;Jeong, Hojin;Park, Mingyu;Jeong, Inho;Cho, Haeseong;Ki, Youngjung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4
    • /
    • pp.17-27
    • /
    • 2022
  • In this study, a deep learning-based network that can predict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irfoils was design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network was confirmed by applying aerodynamic data generated by Xfoil. The predicti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airfoil thickness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angle of attack, the coordinate data of an airfoil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using signed distance function. Additionally,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coefficient on airfoil is expressed as reduced data via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and it was used as the output of the proposed network. The test data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network. As a resul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the lift coefficient and moment coefficient were confirm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network shows benign performance for the interpolation test data,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extrapolation test data.

Real-time blending method development of radar-based QPF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 예측강우의 실시간 병합 기법 개발)

  • Yoon, Seong-Sim;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9-99
    • /
    • 2018
  • 기상이변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의 발생 증가와 그로 인한 수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수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저감하기 위해 비구조물적 대책인 실시간 홍수예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수예보시스템은 대피선행시간 확보를 위해서 초단시간 혹은 단기 수치예보모델을 수문해석모형이나 예보기법의 입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초단시간 예측은 기상레이더를 기반으로 외삽, 이류, 셀 추적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0~3시간 이내의 강수예측을 수행한다. 그러나 역학이나 물리적 과정이 동반되지 못하여 0~ 2시간 이내에서의 예측성은 높은 반면, 예측시간이 길어질수록 예측력이 낮아진다. 단기수치예보모델은 종관관측에 의존하면서 역학이나 물리과정을 동반하므로 0~6시간 혹은 12시간 이상의 예측을 수행하지만, 수치모델의 고유특성인 스핀업 등의 예측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어 예측 초기시간에서의 예측력이 낮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수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의 병합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산출된 시간적 가중치를 이용한 기존 병합기법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호우에 따른 가변성을 반영하는 실시간 병합기법을 개발하고, 수문학적인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예측강우 자료는 레이더 기반인 MAPLE, KONOS, 공간규모분할 예측강우와 수치예보모델 기반인 UM와 ASAPS의 예측강우이며, 제시한 가중치 산정기법은 직전 예측강우의 오차가 현 시점의 예측강우의 오차와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오차항을 포함한 과거 1시간 예측강우들간의 가중치 조합이 과거 지상관측강우와의 평균제곱근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화음 탐색법을 이용하여 찾는 것이다. 가중치 조합은 예측강우의 생산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매 10분마다 산정하며, 미래 3시간 예측까지 산정된 가중치를 적용한다. 수도권 영역을 대상으로 병합된 예측강우와 레이더 관측강우를 비교한 결과, 정량적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측강우의 수문학적 활용성은 도시유출해석모의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병합된 예측강우로 모의된 수심이 관측수심과 유사하여 수문학적 활용성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post-processing program for analysis of ADCPs (ADCP 측정자료 분석을 위한 후처리 프로그램)

  • Lee, Hea-Eun;Lee, Chan-Joo;Kim, Dong-Gu;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6-4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ADCP 측정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ADCP 이동측정법 자료의 후처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측정된 ensemble과 방위별 유속으로 표시되던 단면유속분포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좌표를 정리하고 주흐름방향 유속을 출력하는 등, Sontek과 RDI 자료 취득 소프트웨어의 ascii 파일을 사용자가 쉽게 알아보고 가공할 수 있도록 변형하였다. 또한, 기존 ADCP 사용과 관련하여 발표된 screening 및 smoothing 기법을 적용하여 유효한 유속자료를 선별하고 단면의 평균 흐름에 근접한 유속자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멱함수를 이용한 외삽으로 측정불가역의 유속 및 유량을 추정하였으며, 총 53개 측정자료의 유량을 추정한 결과 ADCP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유량과 평균 1.33 %의 오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정리된 ADCP 자료로부터 하천의 주요 수리학적 특성을 추정하도록 하여 하천단면을 횡단하는 간단한 ADCP 측정만으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측정하던 하천의 특성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round an equivalent plate for model-ship correlation (모형선과 실선의 상관관계 추정을 위한 등가평판의 수치해석 및 적용)

  • Kim, Yeong-Min;Park, Mi-Yeon;Lee, Hui-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109-112
    • /
    • 2012
  • 선박의 저항을 추정하는 일은 선박설계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선박의 크기는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모형선 실험을 통해 선박의 저항을 추정한다. 이 때, 모형선 실험은 Froude 수를 기준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모형선과 실선의 Reynolds 수가 서로 다른 영역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모형선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실선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모형선-실선 저항추정법을 사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선-실선 저항추정법에 사용되고 있는 2 차원 외삽법을 살펴보고 이 기법에 사용되고 있는 ITTC 마찰저항곡선을 등가평판 주위의 유동장 해석결과와 비교하였으며 ITTC 마찰저항곡선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삭마이동경계면을 고려한 노즐내열재의 2차원 열해석

  • 황기영;강윤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13-1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해석영역의 형상변화, 즉 로켓노즐 내열재의 삭마로 인해 야기된 경계 면의 이동을 고려하면서 2차원 비정상 비등방성 재료의 열전달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수치해석에 대해 기술하였다. 수치해석 알고리즘은 유한요소법이며 열해석시 경계면 이동으로 인한 격자계의 절점 좌표점이 계산과정 동안에 이동하는 변형 가능한 유한요소격자(transformable finite-element grid)를 사용하였다. 본 수치해석기법의 타당성 입증을 위해 극심한 열하중이 부여된 조건하에서 엄밀해가 존재하는 비정상 축대칭문제 및 고체로켓 노즐내열재에 대해 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수치해는 엄밀해 또는 실험치와 잘 일치함을 보이었다. 여러 가지 복합재로 구성된 내삽노즐 또는 외삽노즐에 대해서도 안정된 수치해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노즐목삽입재로 탄소-탄소 복합재를 적용한 고체추진기관 내삽노즐을 해석모델로 택하여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고 해석결과를 분석하였다. 노즐의 표면산화반응에 대한 열반응상수, 즉 Arrhenius 형태로 표시된 식에서 pre-exponential factor 및 activation energy 변화가 탄소-탄소 복합재 및 탄소-페놀릭 복합재의 삭마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Frame Rate of Electro-Optical Sensor using Temporal Super Resolution based on Color Channel Extrapolation (채널별 색상정보 외삽법 기반 시간적 초해상도 기법을 활용한 전자광학 센서의 프레임률 향상 연구)

  • Noh, Sa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5
    • /
    • pp.120-124
    • /
    • 2017
  • The temporal super resolution i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frame rate. Electro-optical sensors are used in various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weapons systems, and the spatial resolution and temporal resolution of the required electro-optical sensors var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quirement of each weapon system. Because most image sensors capture images at 30~60 frames/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rame rate when the target moves and changes rapidl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ncrease the frame rate using color channel extrapolation. Using a DMD, one frame of a general camera was adjusted to have different consecutive exposure times for each channel, and the captured image was converted to a single channel image with an increased frame rate. Using the optical flow method, a virtual channel image was generated for each channel, and a single channel image with an increased frame rate was converted to a color channel imag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mporal super resolution method was confirmed by the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