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부 유입물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nsitivity analysis of virus intrusion event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QMRA (QMRA기반 상수도 관망 내 바이러스 유입 시나리오별 민감도 분석)

  • Beomjin Kim;Guemchae Shin;Su Hyun Lim;Seungyub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7-227
    • /
    • 2023
  • 상수도 관망의 수질 관리는 매우 중요한 목표이지만, 2019년도 적수 사태를 비롯하여 여러 수질사고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수질 사고는 내부의 각종 부착물 및 침전물들로 인해서 발생하거나 파손된 관로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될 수도 있다. 수질 사고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의 바이러스 유입의 가능성 역시 늘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관망으로의 잠재적인 바이러스 유입에 따른 위험도 분석 체계를 구현하였으며, 다양한 바이러스 유입에 따른 상수도 관망 위험도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분석 체계는 상수도 관망의 주요 소독 물질인 염소와 바이러스의 반응을 모의할 수 있도록 EPANET-MSX 모형을 탑재하였으며, 위험도 분석을 위한 QMRA(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를 적용하였다. 바이러스 유입 시나리오 구축을 위해 상수도 관망 내 유입되거나 인체에 유해 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바이러스를 우선 선별 하였고, 인체에의 영향 및 염소와의 반응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바이러스는 모든 절점에서 유입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최악의 상황 모의를 위해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적용 관망은 미국 내 실제 관망 중 반응계수에 대한검토가 완료된 관망으로 선정하였으며, 관망의 구조 및 탱크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적용한 인자들의 불확실성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MCS(Monte Carlo Simulation)를 통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분석 체계는 향후 수질 사고에 대한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운영에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Risk Analysis on Inundation of SOC Facilitie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SOC구조물의 외부/내부침수 위험도 분석)

  • Kim, Beom Jin;Keum, Ho Jun;Lee, Jae Yeong;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2-52
    • /
    • 2019
  • 최근 국가시설물에서는 2000년대 이후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 내의 홍수 발생 시 주요시설물에 기능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대상 부지에서의 외부침수의 원인으로서는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에 의한 홍수 발생조건, 인근에 댐, 제방 등이 위치한 경우 이들 시설물의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원전 유입, 지진해일/폭풍해일에 의한 바다로부터의 홍수 유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대상 부지 및 그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높은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한홍수가 유입될 때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강도 등의 재해도를 분석하여야하고, 이들 SOC시설물의 취약도 평가를 실시하고 재해도와 취약도를 결합한 연계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재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후변화를 고려한 외부침수 위험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부지 내의 내부침수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통해 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 가능한 침수패스 경로를 파악하고, 출입문 위치와 창문의 높이, 출입문의 틈간격 및 높이를 파악하였다. 현장답사를 토대로 침수구역을 선정하였다. 침수구역 선정시 대침수구역과 소침수구역 중요기기들이 위치한 구역을 바탕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차원 침수 해석을 실시하여 각 구역별로 시간대별 침수가능 높이를 산정하였다. 또한 각 구역별 중요기기의 임계높이를 산정하고, 이를 분석된 최대 침수심과 비교하여 각 구역별 침수에 취약한 구역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바탕으로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보호 및 홍수피해 예방으로 인한 사회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주요시설물의 SSC별 방재대책을 수립하고, 단계별 저감대책을 제시하여 위험도 경감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이 가능할 것 이라고 판단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Water Pollution Load in an Artificial Lake Irregularly Receiving River Water (유지용수 공급형 인공저수지의 수질오염부하 특성 연구)

  • Cho, Woong-Hyun;Jeong, Byung-Gon;Jeong, Seu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1
    • /
    • pp.9-15
    • /
    • 2011
  •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ter pollution status of Meejae Reservoir, Kunsan, irregularly receiving river water for agricultural and recreational purposes.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pollution loads of three nutrient sources: sediment leaching, non-point sources and the receiving water. Wate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utrophication was a concern especially in summer and the calculated TSI (secchi depth), TSI (chlorophyll-a), and TSI (TP) were 53.6, 57.7 and 56.7,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sonal mean values of sediment T-N, sediment T-P and sediment organic conte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for sampling points. However, T-N and T-P sediment release flux showed seasonal mean differences, while showing no mean difference for sampling points. Water T-N data proportionally correlated with sediment T-N and sediment organic content data, while no statistical correlation was found for water T-P data. Comparison of nutrient loads calculated from three sources showed that the highest T-N load was occurred from the receiving (pumped) water while T-P loads of the receiving water and sediment release flux were similar. The first solution would be considered for the receiving wat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Meejae Reservoir. Reduction of nutrient flux from the sediment would be then tried as the second alternative solution.

Studies on Air Quality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서울지역 지하역사내 공기질 조사)

  • 전재식;신도철;이민환;김민영;신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59-360
    • /
    • 2000
  • 서울시 지하철은 일 평균 400만명 이상의 높은 수송율로 교통난 해결에 일조하고 있으나 지하역사내 공기질 오염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역사내 오염물질 발생은 주로 흡기시설 및 열차풍에 의한 외부공기의 유입과 승객들에 의한 외부먼지의 유입을 들 수 있으며, 역사내부의 구조물에서 자체 생성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김윤신 등, 1996). (중략)

  • PDF

양당리굴내 생성물의 분포 및 특성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30
    • /
    • 2002
  • 카르스트 지형과 관련된 동굴생성물(Speleothems)의 발달과정은 [그림 1]에서 요약되어 있듯이 일정한 규칙의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동굴수문학적 (Speleo-hydology)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Ford, 1989). 동굴생성물은 주로 기반암으로부터 침식되는 용해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생성물을 제공하거나 외부 하천의 유입에 따른 외래산 퇴적물질 등이 상호 교차되어 집적되어있다. (중략)

  • PDF

환경관련 특허동향 - 화장실의 중수도 시스템(해성엔지니어링)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Environmental engineer
    • /
    • s.328
    • /
    • pp.92-96
    • /
    • 2013
  • 본 발명은 화장실의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척수 및 하수를 중수도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화장실 용수로 재활용하는 화장실의 중수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의 중수도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세면대에서 사용된 세척수 및 하수가 유입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로 유입된 세척수 및 하수를 살균 및 소독하는 마이크로버블 오존 발생장치와, 살균 및 소독된 처리수를 정장하는 처리수조와, 상기 처리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를 화장실 용수로 공급하는 용수공급펌프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오존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필터와, 상기 에어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세척수 및 하수에 혼합시키는 기액혼합펌프와 상기 오존과 상기 세척수 및 상기 하수의 혼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라인믹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의 중수도 시스템은 상수(上水)의 소비량을 줄이고 하수(下水)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경비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지하수의 고갈 및 생활용수의 증가에 따른 물 부족 현상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재활용된 화장실 용수에는 오존이 함유되어 화장실 내의 악취제거, 살균 및 소독효과가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 및 하수에 포함된 유지성분을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 PDF

건설정책 - 2025년부터 모든 건축물 '제로에너지' 의무화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3
    • /
    • pp.44-46
    • /
    • 2009
  • 국토해양부는 지난 10월 5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녹색성장위원회 회의에서 '녹색도시 건축물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이 방안은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해 건축물의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의 장기 마스터플랜이다. 녹색건축물 활성화 전략은 에너지소비총량제 등 신축건물 대책과 에너지소비증명서 등 기존 건축물 대책으로 나뉜다. 정부는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2025년부터는 모든 신축 건축물에 대하여 제로에너지 건축물(외부에서 유입되는 에너지가 제로인 건축물)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 PDF

법령과 고시 -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1월부터 본격 시행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8
    • /
    • pp.56-58
    • /
    • 2017
  • 국토교통부는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시행령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1월 20일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시행에 들어간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고단열 건축자재와 신재생에너지를 결합하여 외부 에너지 유입을 최소화 한 건축물로 건축주는 인증을 원할 경우 인증기관에 신청하여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인증받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용적률 완화,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기부채납 부담률 완화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 PDF

환경독성평가 시스템에 의한 소양호 퇴적토의 환경독성 평가

  • 문성환;류성민;김재현;이순애;조화진;정진애;정대교;김기영;황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0-160
    • /
    • 2002
  • 호소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인자로 외부 유입물질과 퇴적물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호소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호소로 유입되는 점ㆍ비점 오염원 관리와 함께, 퇴적층 관리도 수반되어야만 한다. 특히, 호소수가 주요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엄격한 퇴적토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 퇴적층에 대한 환경지질학적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bioassays 기법(the battery of bioassays)을 적용하여 퇴적토의 오염상태를 평가하였다.

  • PDF

건축물에서의 SPD와 최신 기술

  • 김언석;이기홍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4
    • /
    • pp.8-23
    • /
    • 2004
  •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빌딩은 전자화 가전기기나 전기설비들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의 발달 및 보안, 방재 시스템의 발달로 빌딩들은 통신이나 신호 케이블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건축물과 외부의 통신회사들과도 동축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낙뢰나 과도서지가 전원 및 통신케이블을 타고 빌딩 내부로 유입되어 전자기기나 통신기기들을 파괴시키거나 오동작하는 사례가 많다. 독일의 경우 도심 빌딩에 낙뢰가 떨어진 경우 반경 3〔km〕 떨어진 건물에서 피해가 발생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