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부지식탐색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3초

외부지식탐색이 혁신속도에 미치는 영향: 수출성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ternal Knowledge Search on Innovation Speed: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Export Performance)

  • 노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93-102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이 지식을 창출하고 혁신에 이르기 위해 노력하는 방안으로써 외부지식탐색을 제시하고 외부지식탐색의 폭과 깊이를 중심으로 혁신속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국내시장에서 기업이 외부지식탐색이 가지는 루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노력을 조절효과로 살펴보았다. 기존연구에서는 외부지식탐색이 대부분 단일국가 혹은 유사 산업 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효과를 살펴보았다면, 본 연구는 이를 조금 더 확장하여 시장확대 개념을 도입해 그 상호작용을 실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818개의 유효 표본은 STEPI에서 발간하는 혁신조사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지식탐색의 폭과 깊이는 혁신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시장확대효과로써 수출성과는 외부지식탐색의 폭 및 깊이와 함께 상호작용하여 혁신속도에 조절효과를 가진다. 셋째, 젊은 기업일수록 다양한 네트워크를 선호하면서 수출증대효과와 상호작용하며 나이가 많은 기업일수록 심도있는 네트워크를 선호하면서 수출증대와 상호작용하여 혁신속도를 증가시킨다.

벤처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외부 지식 탐색 전략과 한국 제조업의 혁신성과 (Open Innovation in Venture Firms: the Impact of External Search Strategy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 채희상;최윤영;허은지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1-1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외부 지식 탐색 전략과 혁신활동 성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광범위하고(external search breadth) 심도 있는 (external search depth) 외부 지식 탐색 전략이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힌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혁신의 또 다른 중요 유형인 공정혁신과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았다. 특히, 외부 지식 탐색 전략이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으로 구분하여 한국 기술혁신조사(KIS) 2010년 제조부문 자료를 사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비벤처기업의 경우 광범위한 외부 지식 탐색과 심도 있는 외부 지식 탐색은 제품, 공정, 조직혁신활동 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두 가지 외부 지식 탐색은 벤처기업의 조직혁신활동 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제품혁신과 공정혁신활동 성과에 있어서는 심도 있는 외부 지식 탐색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외부지식 탐색 전략이 급진적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xternal Search Strategy on Radical Innovation Performance)

  • 안혜성;김주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1-113
    • /
    • 2018
  • 오늘날 역동적이고 불확실성이 큰 시장 환경 속에서 급진적 혁신의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외부지식 탐색 전략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외부지식 탐색 전략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지식의 원천을 구분하지 않고 모호하게 측정하였기 때문에 외부지식 탐색 전략이 급진적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반된 결과들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진적 혁신을 위한 새로운 지식이 다른 환경에서 배태되었을 경우 각기 상이한 특성을 지닐 수 있음을 고려하여, 외부지식 탐색 전략을 '시장 관계'와 '비시장 관계'로 나누어 이들이 급진적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장 관계'는, 기업이 시장에서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행위자들로 구성된 원천으로 이들을 통해 시장지식(Market Knowledge)을 제공하는 반면에, '비시장 관계'는 시장 내에서 기업들이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지만 시장지식을 넘어서는 새롭고 참시한 기초 과학적 지식(Basic Scientific Knowledge)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외부지식의 원천을 구분함으로써 각각 이들이 제공하는 지식의 고유한 특성과 급진적 혁신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이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제공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의 431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지식 탐색 전략 중 '시장 관계'에 기반을 둔 광범위하고 심도 있는 외부지식 탐색은 모두 급진적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시장 관계'를 통해 탐색된 외부지식은 급진적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이 급진적 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장 내의 행위자들과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면서 시장 지식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중소제조기업의 수출 비중과 지식탐색 활동 간의 관계 (Export Intensity and Knowledge Search Activities of Korean SME Manufacturers)

  • 김선영;박상문;정예림;최윤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중소제조업에서 수출비중과 지식탐색활동 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1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에 참여한 중소제조업체 2,145개를 대상으로 각 기업의 수출 비중이 조직 내부와 외부 지식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중소기업의 지식탐색활동은 주요 고객과 시장의 지리적 구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즉, 내수 지향적이거나 수출 지향적 중소기업은 조직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데 적극적이었지만, 수출과 내수 시장을 모두 추구하는 기업은 조직 내부 및 외부지식탐색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중소기업이 수출과 지식탐색 및 역량 간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한 것이다. 또한, 외부 지식탐색활동 자체도 조직 내부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한 것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관점에서는 내수기업에서 수출확대 및 글로벌 중소기업으로 발전에 대해 각 과정의 기업들이 서로 다른 지식탐색활동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정책 및 지원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에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Performance)

  • 심덕섭;하성욱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4호
    • /
    • pp.109-127
    • /
    • 2020
  • 본 연구는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5개 기업의 82개 신제품개발과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보탐색은 일반정보, 내부정보와 외부정보에 대한 탐색으로 구분하였고, 신제품개발과제의 성과는 기술성과와 시장성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정보 탐색은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을 증가시키고, 외부정보 탐색은 신제품개발과제의 시장지식을 증가시켰다.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과 시장지식은 각각 기술성과를 향상시키고, 시장지식만이 시장성과를 향상시켰다. 전체적으로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은 내부정보 탐색과 기술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신제품개발과제의 시장지식은 외부정보 탐색과 기술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외부정보 탐색과 시장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기술지식 혹은 시장지식은 여기 언급된 조합 이외에 정보 탐색과 신제품개발 성과간의 어떤 관계도 매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식기반산업에서 기업의 지식탐색 유형: 구성형태적 접근 (Configurations of Knowledge Search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 허문구;이재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3호
    • /
    • pp.299-331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지식기반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탐색의 소재(locus)와 특성을 기준으로 기업의 지식탐색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별로 혁신성과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구성형태적 관점(configurational approach)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지식탐색 연구들은 주로 지식탐색과 결과변수와의 관계규명에 집중해왔다. 이에 따라, 실제 기업들이 어떻게 지식탐색을 조직화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지식탐색을 탐색의 소재와 특성에 따라 외부탐색 범위(external search breadth), 외부탐색 깊이(external search depth), 내부탐색 범위(internal search breadth), 내부탐색 깊이(internal search depth)로 지식탐색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실제 기업의 지식탐색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지식탐색 유형에 따라 기업의 혁신성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이한 지식탐색 유형을 가지는 6가지 기업군을 도출하였다. 각 기업군은 모든 지식탐색 차원에 대해 적극적이거나, 일부 차원에만 집중하는 등의 차이를 보인다. 둘째, 각 기업군의 혁신성과는 지식탐색 유형의 특성에 따라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성과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원론적 접근(reductionistic approach)에 기반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구성형태적 접근을 적용하여, 기업의 실제 지식탐색 유형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주요 공헌이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업의 내부 및 외부역량과 활동이 흡수역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capabilities and activities of a company on absorptive capacity and performance)

  • 김영기;박성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25-136
    • /
    • 2021
  • 급격한 기술의 발전 및 환경의 변화와 함께 국경없는 글로벌시대의 치열한 경쟁환경속에서 기업의 생존을 위해 혁신은 필수적이며, 기업내부의 노력뿐만 아니라, 기업 외부로부터의 자원과 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내재화하여 자신만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부요인으로 내부 R&D 역량과 조직 지원, 기업 외부요인으로 외부 R&D 역량과 외부지식탐색, 그리고 흡수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내부 R&D 역량, 조직지원, 외부지식탐색은 흡수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 성과는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못하였으며, 이는 흡수역량이 혁신성과 및 신제품성과와의 관련성이 낮거나, 흡수역량과 성과변수 사이에 다른 중요한 요인이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에서 R&D전략의 수립시에 유용한 지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CEO의 내·외부 활동이 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CEO's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 최성표;어수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02-313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에서 CEO의 내 외부 활동(정보, 지식경영, 학습조직)이 혁신활동(활용적, 탐색적)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기업의 CEO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와 학습조직 활동은 활용적 혁신활동과 탐색적 혁신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경영 활동은 탐색적 혁신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또한, CEO 내 외부 활동에서 정보, 지식경영, 학습조직 활동의 영향을 받은 활용적, 탐색적 혁신활동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세기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에서 CEO의 내 외부 활동 중에서 정보, 지식경영, 학습조직 활동에 의한 활용적 혁신과 탐색적 혁신활동 발현으로 경영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모색은 선행 연구에서 지각된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기업의 경영 환경을 고려하여 유리한 활동을 추출하고 이를 경영 전략에 반영하는 것이 기업에서 최상의 경영성과 목표달성에 유리함을 본 연구결과에서 시사하고 있다.

온라인 외부정보탐색 이용행동에 대한 정보탐색 지식과 쇼핑추구가치의 효과 (The Effect of Information Search Knowledge and Shopping Value on On-line External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황윤용;이창원;최낙환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17-37
    • /
    • 2004
  • 본 연구는 오늘날 기업들의 주요 전략적 수단으로써 고려되고 있는 온라인 외부정보원천들의 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외부정보탐색행동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온라인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정보탐색 지식 수준과 쇼핑추구가치 유형에 따라 소비자 집단들을 분류하고, 이들 집단들이 정보원천들을 이용하는 차이와 각 집단에 영향을 미질 수 있는 정보탐색의 결정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정보원천 이용에 대한 정보탐색 지식수준별 차이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탐색지식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일수록 다른 정보원천들에 비해 틈새포털, 비교, 경매사이트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쇼핑추구가치별 정보원천의 이용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용지향적 쇼핑추구가치 집단의 경우 포털경매, 틈새포털사이트 순이었으나, 쾌락지향적 쇼핑추구가치집단의 경우 포털, 경매, 쇼핑몰사이트 순으로 정보원천을 이용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구분한 온라인 정보탐색 유형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 특성 변수들과 웹사이트적 특성 변수들이 외부정보탐색 유형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영향력 면에서는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서 소비자 특성 변수와 웹사이트 특성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달랐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온라인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에 대한 전략적 마케팅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 PDF

중소기업의 전략 유형에 따른 혁신활동이 대외개방 인식에 미치는 영향: 외부 지식 탐색 및 시장진입전략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MEs' Innovation Activitiesaccording to Types of Strategy ontheir Perception to the Opening of Econom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External Search and Market Entry Strategy)

  • 이종선;박지훈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1호
    • /
    • pp.199-228
    • /
    • 2013
  •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과정 속에서 대외개방은 자원이 제한적인 중소기업들에게 기회 혹은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대외개방에 대한 경영자들의 인식은 향후 중소기업의 대외개방에 대한 대응 방안과 전략을 결정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종류의 전략과 관련된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대외개방을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이 관계가 중소기업의 외부 지식 탐색 전략과 시장 진입 전략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하였다. 한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 차별화 전략을 위한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대외개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외부 지식 탐색의 폭과 깊이로 인한 조절효과는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시장 최초 진입 전략으로 인한 조절효과는 양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