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모장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노년기 여성의 우울정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 : 진주지역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Appearance of Elderly Women)

  • 안성아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6-9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appearance interest, and appearance adorn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how to examine degree of make-up and visit to a beauty shop was influenced by depress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were 117 elderly women in their 60's to 70's in Jinju, Kore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earance interest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makeup, and visit to a beauty shop according to education. That is, the high level group of education had a high degree of makeup, and a high interest in appearance than the low level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appearance interest and makeup according to healthy condition. That is, the good healthy group had a high interest of appearance, and the high degree of makeup than the poor healthy group. The degree of makeup had an effect on appearance interest and education($R^2=.505$). The visit to a beauty shop had an effect depression(-), yes or no of a mate, and allowance($R^2=.192$).

  • PDF

장례메이크업의 적용 방법 (Application of Funeral Make-up)

  • 김미혜;서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23-235
    • /
    • 2010
  • 장례서비스는 인생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다루는 의례절차에 관한 것으로, 복지서비스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으며, 고인의 마지막 형태를 복원하는 고전적인 회복기술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생시 모습의 재현 내지는 더 나은 외모로 표현하는 메이크업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좋은 모습으로 기억코자 하는 유족들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시대별로 변화되고 있는 방법들을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장례메이크업은 유족의 요구에 부응하여 죽은 이의 마지막 모습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우리의 장례문화의 가장 주요한 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장례식장 내에서 고인을 모시는 입관 단계에서부터 꽃 장식, 관보 등의 인테리어, 음향효과, 조명시설, 특수 재료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장례 메이크업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용성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외모 장식이 여성의 전문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ppearance Decoration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 이명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6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women's appearance decoration on professional image, preference evaluation, and inferences about age and job.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omen's appearance decoration was limited to eyeglasses, earrings, hair length, and clothing color. A quasi-experimental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3{\times}2{\times}2{\times}4$ (eyeglasses${\times}$earrings${\times}$hair length${\times}$clothing color) factorial design. The model of stimulus photographs was a woman in her late twenties. She wore a tailored collared jacket with a white dress shirt. The subjects were 362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Seou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an wearing glasses and earrings was perceived as more professional than the woman without glasses and earrings. The woman with short hair was evaluated to be more professional than the woman with long hair. Light grey and dark grey jackets enhanced a professional image in the woman than red and dark red jackets. The woman without glasses was preferred more than the woman wearing glasses, and the woman wearing earrings was preferred more than the woman without earrings. Second, the woman wearing wire-rimmed glasses, earrings, and grey jacket with short hair was perceived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professionalism. Third, the subjects perceived the woman wearing wire-rimmed glasses as looking the oldest and the woman without glasses as looking young. The subjects perceived the woman with short hair as looking younger by 3 to 4 years than the woman with long hair. Fourth, the subjects frequently considered the woman wearing the wire-rimmed glasses, the woman with short hair, and the woman wearing the grey jacket as having a professional job.

  • PDF

화장행위가 갖는 심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sychological Effects which Make-up Behavior Has on Women)

  • 김명리;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7-134
    • /
    • 2005
  • 화장은 인간의 기본적인 미적 욕구충족 뿐만 아니라 사회적 대인 관계, 심리적 작용, 자기 강화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화장을 통한 만족도는 대인 관계의 성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화장 행위의 다양한 기능들은 모두 심리학적 효과를 가지며 다양한 사회적 효용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용분야, 화장품, 보건 분야, 의류학 분야의 심리 연구는 많이 되고 있으나, 화장 심리, 화장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화장은 외모뿐만 아니라 마음을 장식하고 움직일 수 있는 심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화장의 심리학적 접근으로 많은 연구를 하여, 화장 심리에서 적극적인 화장 치료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우울증 환자나 치매 노인, 화상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화장 치료법과 특수 화장품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적극적인 화장의 효과성에 대한 검토도 아울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화장 행위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하며, 앞으로 화장의 심리적 효용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얼굴 메이크업을 도와주는 지능형 스마트 거울 앱의설계 (Design of an Intellectual Smart Mirror Appication helping Face Makeup)

  • 오선진;이윤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97-502
    • /
    • 2022
  •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보의 유통이나 공유 수단으로 텍스트보다는 비주얼 기반의 정보 전달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인터넷상의 유투브나 1인 방송 등을 통한 정보의 유통이 일상화되고 있다. 즉, 젊은 세대들은 대부분의 원하는 정보를 이러한 유통 과정을 거쳐 습득하게 되며 활용하는 상황이다. 또한, 많은 젊은 세대들은 자신을 개성있게 꾸미고 장식하는 데에 매우 과감하고 적극적이다. 얼굴 화장이나 헤어 스타일링 및 패션 연출에 있어 남녀구분 없이 적극적인 표현과 시도를 통해 개인의 개성을 거리낌이 없이 연출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얼굴 메이크업은 여자들은 물론이고 최근 남자들 사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기 위한 얼굴메이크업을 연출하기 위해 자신의 얼굴 모양, 헤어 컬러 및 스타일, 피부 톤, 패션 스타일과 의상 컬러 등과 잘 어울리는 얼굴 메이크업을 구현하도록 인터넷상의 유명한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 들의 유투브나 1인 방송 영상 중 관련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하여 추천하고, 사용자의 평소 검색 패턴과 외모 특징들을 학습시켜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며, 추천된 영상을 통해 자세한 메이크업 과정을 실제 단계별로 수행하면서 메이크업 스킬을 습득하도록 하는 지능형 스마트 거울 앱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