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관 평가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44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신한복 저고리 원형 연구 (Prototype Study of New Hanbok Jeogori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ation System)

  • 차수정;허승연;안명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95-296
    • /
    • 2021
  • 본 연구는 신한복 저고리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추출된 신한복 저고리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신한복 저고리 원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한복 저고리 생산에 기본이 되는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CLO 3D와 DC Suite 5.1 프로그램이며, 분석에는 SPSS 26.0을 활용하였다. 1차 외관평가를 통해 낮게 평가된 부분을 수정하여 어깨폭, 소매길이, 소매통, 앞단의 겹침 분량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2차 외관평가결과 저고리길이, 소매길이, 밑단둘레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었다. 최종 신한복 저고리 패턴은 앞면, 뒷면, 옆면의 모든 항목에서 4.60이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개발된 신한복 저고리 패턴은 20대 전반 여성의 체형에 맞추어져 있고 소재에 대한 고려 없이 3D 시뮬레이션 상에서의 일반적인 Physical parameter값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따라서 향후 발전된 연구에서는 소재별, 저고리의 길이별, 연령별 신한복 저고리 패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춧가루의 색도측정(色度測定)과 품질(品質)과의 관계(關係) (Color Measurement of Red Pepper Powder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 전재근;박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18-23
    • /
    • 1979
  • 고춧가루의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할 수 있는 객관적(客觀的) 기준(基準)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춧가루의 외관색도(外觀色度), 적색소(赤色素)인 capsanthin의 함량(含量)및 coliform bacteria의 오염도와의 관계를 연구(硏究)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고춧가루의 육안판별방법(肉眼判別方法)은 개인간(個人間)의 색감(色感)의 차이(差異)로 인(因)하여 객관성(客觀性)이 없었다. 2. Capsanthin 함량(含量)에 따라 분류한 등급방법(等級方法)은 객관성(客觀性)을 보였으며 고춧가루의 품질평가(品質評價)에 기준(基準)이 될 수 있었고 외관색도(外觀色度)는 이 capsanthin 함량(含量)에 비례(比例)하였다. 3. 고춧가루의 외관색도(外觀色度)는 색도계(色度計)의 Hunter 값 a/b을 사용하여 수치(數値)로 표현(表現)할 수 있었으며 capsanthin의 함량(含量)과의 관계는 다음 식과 같으며 Capsanthin 함량(含量) (mg/g-고춧가루)=$0.257{\times}10^{0.703}(a/b)$ 고춧가루의 품질평가(品質評價)의 방법(方法)으로 응용(應用)할 수 있다. 4. 색도(色度)와 미생물(微生物)의 오염과의 관계는 명확(明確)하지 않았다.

  • PDF

깻잎 바이오 된장의 미생물 및 관능평가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n Sesame Leaf of Bio Soybean Paste)

  • 김창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8-222
    • /
    • 2006
  • 본 연구의 결과 각 깻잎 유산균(Bifidobacterium animalis DY 64) 바이오 된장은 실온에서 저장 30일 동안 Salmonella spy,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균에 대해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호기성 미생물의 집락은 균일한 모양을 형성하였으며 잡균의 오염이 없고 콩 메주 속의 Bacillus spp.에 의해 숙성이 진행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상온에 유지한 기능성 된장의 외관과 냄새에 대한 관능적 평가에서도 초기 제조 직후의 외관과 냄새를 유지하므로 서 품질열화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깻잎 기능성 바이오 된장의 풍미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3-5% 깻잎 처리군은 깻잎 특유의 풍미생성으로 높게 등급 되었으며, 파란 색조는 외관상 신선미를 느낄 수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깻잎은 특유의 독특한 향미 생성으로 저 농도의 수준에서 냄새와 풍미에 대해 높게 등급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고정화 유산균(Bifidobacterium animalis DY 64)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자와 깻잎 바이오 된장은 상온 저장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과 냄새, 외관 및 풍미에 대한 기호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본 바이오 유가된장 및 깻잎 된장은 항산화 효과 및 고혈압억제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전통 발효식품인 재래된장의 기능적 품질향상 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에 대한 기호성 향상으로 내수 촉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오존수 세척이 포장 참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zone-Water Washing on the Quality of Melon)

  • 황태영;박연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2-256
    • /
    • 2005
  • 저장 중 포장 참외의 품질 유지를 위하여 포장과 세척방법을 달리하면서 참외에 대한 품질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중량 및 경도는 감소하였으며 저장 12일 후부터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구에서 심한 부패 및 손상이 발견되었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 오존수 세척구에서 색, 외관, 맛, 조직감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저장 후기에도 반점이 거의 생성되지 않고 부패정도가 가장 미비하여 외관에 대한 우수한 관능적 평가를 얻었다. 따라서 오존수 세척 후 통기성 있도록 박스포장을 하는 것이 참외의 유통 중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동작기능성과 치수적합성을 반영한 20대 태권도복 패턴 연구: 외관 평가와 동작기능성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 of 20s Taekwondo Uniforms Considering Motion, Function, and Dimension Adaptability: Focused on Appearance and Functional Evaluation)

  • 이하은;최정욱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4호
    • /
    • pp.48-62
    • /
    • 2020
  • Originating in South Korea, Taekwondo has been globally popular among individuals who desire to improve their health in a unique fashion. The Taekwondo uniform,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within the sport, needs to possess both functionality and size suitability to support dynamic movements within Taekwond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patterns in Taekwondo uniforms by suggesting patterns that reflect physical suitability derived from appearance tests and movement functionality tests of the uniforms. More specifically, we selected a sample uniform and conducted a dressing test, which considered both the aesthetics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garment. Then, we considered size suitability, which allowed us to design practical Taekwondo uniform patterns that encompassed more variation in body sizes of both men and women. The result of the dressing test was that women's uniforms typically required more factors compared to men's uniforms due to women's relatively smaller physiques. Based on this result, we revised the pattern to also encompass the minor differences in uniform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end, the Taekwondo uniforms for women required more modifications than those for men.

A Comparison Study of New Hanbok Brand Skirt Pattern for Developing of Customizing System

  • Cha, Su-Joung;An, Myung-Sook;Heo, Seung-Yeun;Ra, Joung-Hei;Jeon, Woong-Ry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83-19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신한복 치마 패턴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신한복 브랜드의 치마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한복 6개 브랜드의 패턴을 분석하여 가상착의를 시킨 후 외관평가와 의복압 및 공극량을 평가하였다. 시판 신한복 브랜드 A, B, C, D, E, F의 허리치마 패턴을 분석한 결과, 같은 디자인의 free 사이즈 치마임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치수로 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치마의 패턴은 기존의 한복과 같이 평면적인 패턴으로 구성되었다. 외관평가 결과 앞면, 옆면, 뒷면 모든 평가항목에서 6개 브랜드의 패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외관평가 모든 항목에서 B 브랜드의 허리치마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의복압을 알아보기 위해 색분포도와 공극량을 살펴본 결과, 허리에 둘러서 착용하는 허리치마의 특성상 대부분의 부위에서 공극량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의복압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한복 활성화에 따른 치수 및 패턴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며, B브랜드 패턴을 기본으로 한 통일된 패턴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산 신형 중형차의 우선순위

  • 변대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121-12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계층적 분석과정(AHP)을 사용하여 국산 신형 중형차의 우선 순위를 평가한다. AHP 모형은 외관, 성능, 안전성, 경제성, 영업사원, 사후정비의 주 기준과 39개 세부기준으로 구성된다. 구현의 특징을 (1) 샘플 크기가 작은 그룹의사결정 문제로 한정할 때, 한 의사결정자의 전체 쌍비교 행렬보다는 일관성비율이 한계치 이하의 행렬 만을 고려하였고, (2) 중요도 도출 과정에서 평가기준은 쌍비교 방식을, 대안은 레이팅 기법을 결합하였으며, (3) 그룹 중요도는 일관성 비율의 역수를 사용하였다. 사례 연구로 국내 자동차 판매 영업대표와 운전자를 대상으로 각각 평가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레이팅 값을 도출, 3대 경쟁 차조의 우선순위를 비교 분석한다.

  • PDF

건강검진 수검자의 BMI와 체지방율에 의한 비만도 평가 및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와의 관련성 (Evaluation of Obesity from BMI and Body Fat Rate, and Its Association with Coronary Risk Factors in Health Checkup Examinees)

  • 이승현;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46-752
    • /
    • 2011
  • 본 연구는 BMI와 체지방율을 이용하여 비만도를 평가하고,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들과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2년 동안에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타에 내원하여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 이상의 일반 시민 3,731명(남자 2,312명, 여자 1,41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BMI와 체지방율을 대비하여 평가한 비만도는 "정상군"30.2%, "외관형 비만군"8.9%, "체지방형 비만군"31.2%, "비만군"29.8%이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정상군"과 "외관형 비만군"의 비율이 높은 반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체지방형 비만군"과 "비만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 연령군에서 "비만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CRF치의 변화에서 SBP, DBP, TC, HDL-C, LDL-C 및 TG는 "정상군"보다 "외관형 비만군"과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SBP, TC 및 LDL-C는 "정상군"보다 "체지방형 비만군"과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비만도에 따른 CRF 증가의 위험비는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외관형 비만군", "체지방형 비만군"의 순으로 위험비가 높아졌다.

기능성 발효 음료 제조 및 관능적 특성 (Preparation of the Functional Beverages by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Characteristics)

  • 박금순;안상희;최경호;정지숙;박찬성;최미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63-669
    • /
    • 2000
  • 기능성 산형 음료의 산도는 번데기 동충하초 음료가 0.52로 가장 높았으며 감잎과 솔잎음료가 0.19로 가장 낮았다. 산형 음료의 pH는 동충하초 음료가 가장 낮았으며 코코아 음료가 3.12로 가장 높았다. 당도는 코코아 음료가 5.8로 가장 낮았으며 눈꽃 동충하초 음료가 10.3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외관의 색상(color)은 홍차 음료가 6.5로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탁도(turbidity)는 코코아가 가장 높았다. 달콤한 향(sweet odor)은 홍차, 감잎차 음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새콤한 향(acidic odor)은 코코아 음료가 6.3으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단맛(sweetness taste)은 감잎차 음료가 5.6으로 가장 달다고 평가했으며, 신맛(sourness taste)과 떫은 맛(astringent taste)은 눈꽃 동충하초 음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관(appearance)의 기호도, 향(odor)의 기호도, 맛(taste)의 기호도, 전반적인(overall) 기호도 모두 감잎차 발효 음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솔잎음료, 쑥 음료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구매의사 면에서도 감잎차 >솔잎 >쑥 음료 순으로 나타나 구매의사가 높았다(p<.001). 색도는 홍차 발효 음료의 명도(L)가 가장 낮았으며, 솔잎 발효음료의 명도(L)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적색도(a)와 황색도(b)는 홍차발효음료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와 기호도 항목간의 상관관계에서 달콤한 향, 단맛, 마신 후의 구매의사가 높을수록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측정과 관능검사간의 상관관계는 명도가 높을수록 외관의 기호도가 좋았으며, 적색도와 황색도가 높을수록 탁도와 외관의 기호도는 낮게 평가되었다.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는 pH가 낮을수록 산도는 높을수록 선호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당도는 달콤한 향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감잎차, 솔잎, 쑥 발효음료가 가장 수용도가 높아 기능성 음료로서의 상품화가 가능하겠으며, 음료 제조시 pH가 낮고 산도가 높은 음료는 당을 좀 더 첨가하여 신맛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Retort Pouch 쌀밥의 포장(包裝) 진공도(眞空度)가 제품(製品)의 식미특성(食味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cuum Levels on the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acked in Retort Pouch)

  • 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5-208
    • /
    • 1984
  • Retort pouch포장 쌀밥의 포장내(包裝內) 진공도(眞空度)가 제품(製品)의 식미특성(食味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기 위하여 밀양 23호 쌀로 전기밥솥에서 취반한 보통밥과 진공도 30 cm Hg (RP-30)와 75 cm Hg(RP-75)로 retort pouch 포장한 쌀밥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에 따라 각 처리구에 대한 식미특성 (외관, 향기, 맛, 찰기, 경도, 식미의 종합평가)의 평균평점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간의 외관은 F값이 $47.28^{**}$로써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고 종합적 식미, 찰기, 맛에 있어서도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 경도 및 향기도 유의차가 있어서 retort pouch내의 진공도가 쌀밥 제품의 식미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 주었다. 2. Duncan의 다중비교검정법(多重比較檢定法)으로 retort pouch 쌀밥의 포장 진공조가 식미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외관, 향기, 맛 및 식미의 종합평가에 있어서 보통밥과 RP-30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이들과 RP-75의 retort pouch포장 쌀밥과는5% 수준에서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찰기는 3처리 상호간 모두 유의차가 있었고 retort pouch내의 진공도가 높을수록 찰기가 높았다. RP-30 쌀밥과 RP-75의 쌀밥의 경도에 있어서 유의차가 있었다. 3. Retort pouch 쌀밥의 식미특성 상호간의 단순상관을 조사한 결과 식미의 종합평가와는 맛 ( $r=0.793^{**}$), 향기($r=0.640^{**}$), 외관($r=0.576^{**}$) 및 경도($r=0.562^{**}$)의 순으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