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관비

Search Result 5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an Accuracy-improved Vision Inspection System for BGA Solder Ball (정확도를 향상시킨 BGA 솔더볼 외관검사 기법 개발)

  • Huh, Kyung-M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7 no.6
    • /
    • pp.80-85
    • /
    • 2010
  • BGA 409 chip currently the most as a visual inspection of the exterior inspection is conducted. Human depending on visual inspection of the exterior inspec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esters, depending on how the test results because the change is difficult to expect reliable results. Therefore, the challenges of visual inspection of BGA solder balls to improve the visual inspection technique was developed. However, BGA solder ball size of the micro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inction between hard test the accuracy of the fall orientation error has a problem. In this paper BGA solder balls exterior inspection of the accuracy to improve the edge detection algorithm, the complement of features and only the comparison proposed a pattern-matching techniqu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area by improving the standard error of the orientation proposed improvements.

Development of Discrimination Algorithms for Appearance Properties of White Rice Using Computer Vision (컴퓨터 영상처리에 의한 쌀의 외관품위 판별 알고리즘 개발)

  • Yun, H. S.;Son, J. Y.;Lee, W. O.;Chung, H.;Lee, H. D.;Mun, J.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20-425
    • /
    • 2002
  • 본 연구는 주로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고 있는 쌀의 외관판별을 컴퓨터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을 최종목표로 하여, 우선적으로 컴퓨터 영상처리에 의한 쌀의 외관판별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쌀을 한 알씩 공급하면서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수백 개의 쌀을 공급하여 낱알의 외관품위를 한번에 판별토록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코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육안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나 조명의 미세한 불균일이나 작은 이물질 등에 영향을 받지않고 완전한 2치화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나. 서로 붙어있는 쌀의 경계를 정확히 분리하여 각각 낱알로 인식할 수 있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다. 쌀알의 노란색의 강도로서 쌀의 도정율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쌀의 도정율을 판별할 수 있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라. 쌀알의 검은색의 강도로서 복백의 유무를 판별하고, 또 쌀알의 픽셀수에 대한 복백의 픽셀수의 비를 계산하여 복백의 면적비를 계산할 수 있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마. 개발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임의로 조제된 쌀의 외관품위를 판별하였을 때 육안판별과 동일 정도로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한번에 최대 400개의 쌀알을 판별하는데 1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 PDF

Three Cases of Nummular Eczema Patients Treated with Cheongshimyeonja-eum Gagambang and Soyeom Pharmacopuncture (청심연자음가감방(淸心蓮子飮加減方)과 소염 약침으로 호전된 화폐상 습진 한방 치험 3례)

  • Jea, Ha-Kyung;Ahn, Jae-Hyun;Hwang, Mi-Lee;Kim, Soo-Young;Jung, Hyun-A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32 no.2
    • /
    • pp.107-119
    • /
    • 201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Cheongshimyeonja-eum gagambang and Soyeom pharmacopuncture for nummular eczema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atients treated with nummular eczema at Cheonan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All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heongshimyeonja-eum gagambang and Soyeom pharmacopuncture. For the evaluation of the results, we used Visual Analogue Scale(VAS) as an assessment methods and took photographs of the lesions for comparison. Results : After the medication, eczema lesions of the three patients were remarkably improved. The lesions were examined by the photographs and the VAS of pruritus and relating symptom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Cheongshimyeonja-eum gagambang and Soyeom pharmacopuncture could show effectiveness on nummular eczema.

Effects of 23-years Successive Application of N, P, K and Organic Matter on Rice Yield and Quality (N, P, K 및 유기물의 23년간 연용이 수도의 수량생산성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 Jong-Hoon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6 no.4
    • /
    • pp.332-339
    • /
    • 1991
  • 본 시험은 1968-1990년까지 23년간을 동일시험구에서 무비구를 비롯하여 무질소구, 무인산구, 무가리구, 3요소구, 3요소+유기물구(퇴비 또는 생고), 3요소十석회구를 설치하고, 1990년수도품종 ‘진흥’을 공시하여 그 수량생산성과 미질의 외관 및 이화학적특성을 조사하므로써 장기간에 걸친 시비법이 수량과 양질미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생산성은 3요소구에 비해 3요소+유기물구에서 3-7%의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1 증수요인은 수수와 1수당입수의 증가였다. 2. 무가리구의 수량은 85%로 등숙률의 저하가 감수요인이며, 무인산구는 74%로 수수의 감소가 감수요인이며, 무질소구와 무비구는 59-33%로 수수와 1수립수의 현저한 감소가 감소요인이었다. 3. 미질의 외관적 특성은 무비, 무질소, 무인산구에서 수량은 크게 낮은 반면에 완전미율이 높고 동할미, 심복백미율이 현저히 적으며 3미립의 투명도도 높아 양질의 외관을 보였다. 이에 대해 고수량을 보인 3요소+유기물구(퇴비, 생고)에서 완전미율이 낮고 동할미, 심복백미율이 높고 투명도가 낮아 외관적 미질이 저하하는 경향이었다. 4 미질검정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리적 특성인 알칼리붕괴성과 gel consistency는 처리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5. 식미의 량부로 평가하고 있는 미립의 화학적 특성은 처리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즉 단백질함량은 3요소+유기물구에서 높고 무비구에서 낮았으며 Mg, Mg/K, Mg/KㆍN, Mg/KㆍN\ulcornerAmylose는 무비, 무질소, 무가리구에서 높고, 3요소+유기물. 3요소+석회구에서 낮았다 6.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본 실험에 시용된 절대질소량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3요소+유기물구는 유기물 분해에 따른 질소의 추비적 효과가 나타나서 무비, 무질소구에 비해 동할미, 심복백미 등 미립의 외관적 특성을 저하시키고, 단백질함량은 높이고 Mg/K\ulcornerNㆍAmylose를 낮추어 식미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7. 취급특성으로서의 흡수율, 취급액요드정색도, 취급용액출고형물은 처리간 명백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and Butter Cookie Containing Stevioside and Maltitol (스테비오사이드와 말티톨을 사용한 제과류의 품질특성 - 파운드 케이크와 버터쿠키를 중심으로 -)

  • 윤교희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5
    • /
    • pp.391-396
    • /
    • 2001
  • Effects of substitution of stevioside and maltitol with suga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and butter cooky were investigated. Pound cakes increased in baking loss rates and decreased in water contents with substitution of sugar by stevioside and malitol. The yellow values of interior of pound cakes, and the lightness and yellow values of surface of butter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ubstitution of sugar by stevioside and maltitol. Most of texture parameters such as hardness, chewi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pound cakes, and hardness and brittleness of butter cookies also decreased with substitution sugar by stevioside and maltitol. In sensory evaluation, texture and appearances of pound cakes containing stevioside and maltitol were positive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sugar control. However, butter cookies containing stevioside and maltitol were negatively different in texture and positively different In appearance compared to that of sugar control. Taste, flavor, swee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pound cakes and butter cooki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sugar and stevioside group. In conclusion, textures and appearances of pound cakes might be improvable without affection on other characteristics, and butter cookies were almost the same as the results of Pound cakes except deterioration of appearance, when sugar were substituted with stevioside and maltitol.

  • PDF

Recognition of the Front/Back Side and the Stalk State of a mushroom(Lentinus Edodes L.) (표고 전후면 및 꼭지부 인식)

  • Hwang, Heon;Lee, Cho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05a
    • /
    • pp.98-101
    • /
    • 1994
  • 표고는 다른 농산물에 비하여 품질등급을 결정하는 외관 특징들이 갓의 전후면에 걸쳐 복잡하게 분포하고 있어 자동 선별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갓의 전후면 인식과 아울러 외관특징을 검출해야 한다. 특히 건조 표고의 경우 갓 바깥으로 튀어나온 꼭지부의 존재 여부 및 상태가 갓의 크기, 모양 및 후면 내피의 말린 정도를 검색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편성구조와 편성조직에 따른 면위편성포의 외관 및 쾌적성에 관한 연구

  • 곽수경;기희숙;홍수숙;고순영;박명자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32-33
    • /
    • 2003
  • 편성물은 직물에 비하여 신축성, 함기량, 유연성, 방추성 등이 우수하여 스포츠웨어와 캐주얼웨어에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서, 편성포의 외관(감각적 성능)과 쾌적성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었다. 특히 위편의 경우에는 생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조직으로 편성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편성포의 물성들은 편성구조나 편성조직에 따라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직물에 비교하여 편성물의 물성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중략)

  • PDF

Feasibility Analysis of the Use of Architectural PC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공동주택 공사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축 외관용 PC의 적용 타당성 분석)

  • Lee, Hyun-Seok;Sohn, Young-Jin;Lee, Yoon-Sun;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3
    • /
    • pp.118-125
    • /
    • 2008
  • In Korea, five days per week system, duration reduction bidding system, and post sale system have recently stimulated an interest in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analysis result of productivity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found that the productivity is too low. APC (Architectural PC) is alternative of reveal wall and parapet in apartment housing prcjects and is used abroad broadly because of duration reduction for productivity improving. APC is used as external curtain wall in Dubai, North America, and Southeast Asia.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necessary to Introduce APC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introduction of APC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We analysed the feasibility of the use of APC. The survey results reported that APC would be a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in the eight productivity factors.

Study on Tin Antioxidant and Brightener of Non-cyanide Cu-Sn Alloy Plating Solution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의 Sn 산화방지제 및 광택제에 관한 연구)

  • Jang, Si-Seong;Kim, Dong-Hyeon;Bok, Gyeong-Sun;Lee, Seong-Jun;Lee, Gi-Baek;Choe, Jin-Seop;Jeong, Min-Gyeong;Yun, Deok-Hyeon;Jeong, Gwa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12-112
    • /
    • 2016
  • 인체접촉시 니켈도금의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 도금기술인 비 시안계 Cu-Sn 합금도금을 개발함에 있어서, 황산구리5수화물과 황산제일주석을 금속염으로 하여 황산 및 계면활성제, 유화제 등을 포함한 각종 유기첨가제를 포함하였고 특히 은백색조의 외관 색상과 안정적인 Cu-Sn 합금전착을 위해 2종의 착화제인 EDTP($C_{14}H_{32}N_2O_4$)와 TEA(Triethanolamine)를 첨가한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을 도출하였다. Cu-Sn 합금도금 피막 조성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금 도금액중의 Cu와 Sn 금속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합금 도금액중 2가 주석이온($Sn^{2+}$)은 수용액중에서 4가 주석이온($Sn^{4+}$)으로 산화됨으로써 도금액 색상이 백탁이 되고 Stannic Hydroxide($Sn(OH)_4$, $SnO_2{\cdot}2H_2O$)이 생성되어 대량의 침전물이 침강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도금액의 경시 변화가 발생되었다. 상기 침전물은 연속여과에 의해 제거 가능하나 합금 도금액중 $Sn^{2+}$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는 합금 도금액중 금속이온 비율이 변동함으로써 합금도금 피막의 조성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Sn^{4+}$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를 개발하고 또한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도금 피막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외관 개선을 위한 광택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니켈도금과 동등 이상의 기능 특성을 갖는 비시안계 Cu-Sn 합금도금액을 개발하여 실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Study on Additives of Non-cyanide Cu-Sn Alloy Plating Solution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의 첨가제에 관한 연구)

  • Kim, Dong-Hyeon;Jang, Si-Seong;Bok, Gyeong-Sun;Lee, Seong-Jun;Lee, Gi-Baek;Choe, Jin-Seop;Jeong, Min-Gyeong;Yun, Deok-Hyeon;Jeong, Gwa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68.2-68.2
    • /
    • 2017
  • 인체접촉시 니켈도금의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 도금기술인 비 시안계 Cu-Sn 합금도금을 개발함에 있어서, 황산구리5수화물과 황산제일주석을 금속염으로 하여 황산 및 계면활성제, 유화제 등을 포함한 각종 유기첨가제를 포함하였고 특히 은백색조의 외관 색상과 안정적인 Cu-Sn 합금전착을 위해 2종의 착화제인 EDTP (Ethylenediaminetetrapropanol, $C_{14}H_{32}N_2O_4$)와 TEA (Triethanolamine)를 첨가한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을 도출하였다. Cu-Sn 합금도금 피막 조성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금 도금액중의 Cu와 Sn 금속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합금 도금액 중 2가 주석이온($Sn^{2+}$)은 수용액 중에서 4가 주석이온($Sn^{4+}$)으로 산화됨으로써 도금액 색상이 백탁이 되고 Stannic Hydroxide($Sn(OH)_4$, $SnO_2{\cdot}2H_2O$)이 생성되어 대량의 침전물이 침강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등시간 경과에 따른 도금액의 경시 변화가 발생되었다. 상기 침전물은 연속여과에 의해 제거 가능하나 합금 도금액 중 $Sn^{2+}$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는 합금 도금액 중 금속이온 비율이 변동함으로써 합금도금 피막의 조성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Sn^{4+}$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를 개발하고 또한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도금 피막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외관 개선을 위한 광택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니켈도금과 동등 이상의 기능 특성을 갖는 비 시안계 Cu-Sn 합금도금액을 개발하여 실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