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왕후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헌종왕후 칠순 신찬 10곡도병과 신축신찬의궤에 나타난 복식연구 (A Study of Costumes lllustrated in the Ten folding screens on Queen Myong-hun's 70th Birthday Celebration(헌종왕후 칠순 진찬도병) and Described in the Prospectus of the Celebration Ceremony(신축진 찬의궤))

  • 유송옥
    • 복식
    • /
    • 제32권
    • /
    • pp.31-43
    • /
    • 1997
  • The costumes on a royal ceremony and the changes thereafter during the Korea Empire(1897-1910) have been elucidated through the review on the paintings on Queen Myong-Hun's 70th birthday celebration and the prospectus of the ceremony. Queen Myong-Hyn wore ceremonial gown in deep blue with 51 embroidered phoenix on it. The deep blue color the royal color in the Korea Empire replaced former red color. Go-jong wore violet crown and ceremonial suit in gold color. Twenty one kinds of court dance were offered during the celebration ceremony. Costumes therein appear to have an order according to the role ofdancers. most female dancers(in 17 performances not else-where specified) wore a rather common cos-tume-flower cap outer silk garent in green hand veils in 5 colors silk skirt in red) embroidered silk belt in red and shoes in green. In Sun-you-ak two female lead dancers were red hat decorated with tiger whisker deep blue outer garment wide red belt silk boots in black bow and arrows on back and a sword and a whip in hands. In Choonaang-jon a fe-male solo dancer wore a silk outer garment in yellow silk skirt in red green lorum embroidered silk belt in red wrist band of gold embroidered red silk and 5 color hand veils. In Yon-wha-dae two young girl dancers wore lotus-form crown green outer garment wide pants in red silk red silk skirt red silk belt hand veils in jade color and silk shoes in deep red. In Moo-go 4 female dancers each wore long waist coat in blue red white and warm light gree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mon costume. In Gumkee-moo 4 female dancers wore hatlike wool helmet outer garment with narrow sleeve long silk waist coat in blue combat belt in deep blue silk and dance swords in both hands. In Youk-wha-dae 6 female dancers each wore a long waist cost in red deep blue violet pale pink green and jade color. Green color of outer garment in the above-mentioned common costume of female dancers appears intersting. Although the color was shown as yellow in the screen paintings actually it was green as evidenced by the prospectus of the celeebration ceremony.

  • PDF

"격렴진선결(隔簾診線訣)"에 기재(記載)된 의역학적(醫易學的) 운용(運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 박현국;김기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0-84
    • /
    • 2000
  • 한국유일체의서규(韓國有一體醫書叫) 신수비전격염진선결(神授秘傳隔簾診線訣). 대개시자종고대전하래적(大槪是自從古代傳下來的). 차서지내용시파환자여대부격개우실내여실외(此暑之內容是把患者與大夫隔開于室內與室外). 야부진행문진화문진(也不進行聞診和問診). 지완상계적선중래적감각래판단병증(只腕上係的線中來的感覺來判斷病症). 우안차병증제시치료법적비결(又按此病症提示治療法的秘訣). 아문상상가문도(我們常常可聞到) '고대적대부부근왕후('古代的大夫不僅王后). 이차장상적처첩(而且將相的妻妾), 也只고사선래진호맥(也只고絲線來診好脈), 가현재즘마야조불도나종유명적대부'아상차화기원우선결(可現在즘마也조不到那種有名的大夫'我想此話起源于線訣). 단종실제내간(但從實際來看). 불득부회의(不得不懷疑) ‘즘마능용일사선내정확판단환자적맥상('즘마能用一絲線來正確判斷患者的脈象), 우기시이차판단내소정하래적진단여치법우능신도심마정도니(尤其是以此判斷來所定下來的診斷與治法又能信到甚마程道尼).' 결과득지료(結果得知了) 격염진선결(隔簾診線訣) 상소서술적이론시기우'주역'적이론지사(上所敍述的理論是基于'周易'的理論之事), 요결형식내서술적(要訣形式來敍述的). 소이일반인흔난이해(所以一般人흔難理解). 인차아요대차이개소(因此我要對此而介紹). 수선통과선결적제요체예(首先通過線訣的提要體例), 작괘법급원문일례(作卦法及原文一例), 재의역학적립장상(在醫易學的立場上), 위료육효(爲了六爻), 생리(生理), 병리(病理), 진단(診斷), 예후(豫候), 방제화침구방면적응용(方劑和針灸方面的應用). 환유고찰료괘상적납갑(還有考察了卦象的納甲), 납지(納支), 세응(世應), 비신(飛神), 복신(伏神), 종류적작용여이용괘상적유관의역서적작용(種類的作用與利用卦象的有關醫易書的作用).

  • PDF

조선 인목왕후의 진료 기록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linical Records of Queen Inmok)

  • 김민선;하동림;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104
    • /
    • 2019
  • In this paper, the clinical records of Queen Inmok has been studied and the impact of historical events on her life has been analyzed. This paper has extracted her medical records during King Seonjo's and King Injo's period from the Annals and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and then contemplated their medical implications consulting Donguibogam as a primary reference. Queen Inmok had been yang deficiency after national mourning. But suffering a series of misfortunes, she was ill with fire-heat (火熱) syndrome and finally passed away suffering from high fever, frequent diarrhea and profuse sweating. At that time, practitioners abused cold therapy following Jin Yuan Sia Jia (金元四大家), so they missed Queen Inmok's yang deficiency.

국유림성립(國有林成立)의 사적배경(史的背景)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of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National Forest Formation)

  • 호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9
    • /
    • 1976
  • 국유림성립(國有林成立)의 녹유(綠由)는 근세(近世)에 근대국가(近代國家)가 형성(形成)되면서 산림(山林)을 국가재원(國家財源)의 일부(一部)로 조성(造成)시키는 동시(同時)에 산업발전(産業發展)에 기여(寄與)케 하며 아울러 국토보전(國土保全), 수원함양등(水源涵養等)의 공익기능발휘(公益技能發揮)를 목적(目的)으로 하고 있으며 그 성립과정(成立過程)은 각국(各國)의 실정(實情)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으나 대부분(大部分)은 중세(中世)의 왕후(王侯), 영주(領主)들의 산림(山林)을 모체(母體)로 하고 있다. 한국(韓國)의 국유림성립(國有林成立)의 과정(過程)은 구한말(舊韓末) 일제(日帝)의 식민지정책(植民地政策)의 소산물(所産物)로서 산림자원수율(山林資源收率)을 목적(目的)으로 임상(林相)이 우량(優良)한 대면적(大面積)의 산림(山林)을 집단적(集團的)으로 국유림(國有林)에 편입(編入)하여 영림창(營林廠)을 설치(設置)하고 대량적(大量的)인 작벌(斫伐)을 감행(敢行)한데서 녹유(綠由)되고 있다.

  • PDF

영조·정순왕후 가례에 사용된 보자기의 상징성과 생활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Ceremonial Bojagi used in Yeongjo Jeongsun Wanghu's Royal Wedding in Living Culture Perspective)

  • 김효주;주영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53-365
    • /
    • 2018
  • 본 연구는 1759년 6월에 거행된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에서 사용된 물품 중 보자기에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명칭, 옷감, 크기 및 용도, 사용상황, 외형의 특징을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상방정례"와 "국혼정례"에 기록된 보자기 관련 자료와 "조선왕조실록"의 혼례 관련 기록의 정리를 통해 보자기의 외관 및 사용용도와 당대의 생활상을 비교 분석하여 보자기가 담고 있는 생활 문화적 가치와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18세기는 유교적 의례문화가 확립되고 실행되던 시기였고 왕실의례는 유교이념을 따르고 실천하려는 왕실의 의지를 백성들에게 보이는 실행의 장이었다. 따라서 왕실의 가례절차에 사용되는 모든 물품은 기능적인 용도 외에 백성들이 본받고 따를 수 있는 유교적 예법을 표현하는 도구이기도 했다. 영조는 혼례에 사치를 경계하여 본인의 가례에 사용된 물품에 대하여 사치를 금한 기록이 있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 궤"에 기록된 보자기의 재질은 대부분 홍주(紅紬), 홍초(紅?), 대홍광적(大紅廣的) 등의 무늬가 없는 옷감으로 영조의 검소와 절약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영조 정순왕후 가례에 사용된 보자기는 우리의 전통 의례용품인 동시에 전통의례에 깃들어 있는 성(誠)과 예(禮)의 가치를 표현하는 문화유산이다.

일제가 심은 전나무와 우리가 항일 사적지에 심은 전나무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Abies holophylla Planted by Japan and Korea in Temple, Public Sites and the Historic Sites for Anti-Japan Fighter)

  • 박찬우;정미애;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87-99
    • /
    • 2017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일제가 수호신으로 전나무를 심었다는 가설의 증명에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우리가 항일인사 사적지에 심은 전나무에 대한 문제제기에 있다. 일제는 신공왕후의 삼한출병을 보살펴 주었다는 스와신사의 신을 현신시키기 위해 전나무를 심었다. 통영 충렬사, 양주 권율장군 묘소, 경주문화원에서 일제가 심은 전나무의 실체를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기 사찰과 공공장소의 전나무 사진, 전나무 양묘회사, 총독의 식수목, 판결문에 있는 전나무 훼손 사건 등의 사실을 근거로 전나무가 일제의 수호신으로 심어졌다는 가설을 입증코자 하였다. 금후 관련 분야의 공동연구에 의해 일제의 전나무 식재 의도를 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 항일인사 사적지의 전나무에 대해 논의하여야 한다. 노거수가 되면 칭송되고 경외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조선 장렬왕후의 경련에 대한 치병기록 연구 -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중심으로 - (A Historical Study on Treatment Records of Queen Jangyeol's Convulsion - Focusing on Cases Recorded in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Seungjeongwonilgi)』" -)

  • 박주영;차웅석;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7
    • /
    • 2016
  • Queen Jangyeol was proclaimed as the second wife of King Injo at the age of 15 in 1638.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if Queen Jangyeol actually came down with epilepsy or if she pretended to do. The keywords, "Jungjeon" and "Junggungjeon" were searched among the articles from "Seungjeongwonilgi" in the 16th reign to the 27th reign of King Injo. After that, articles only related to convulsion were selected. The symptom of convulsion and the therapy were analyzed. King Injo gave an order, and royal doctors diagnosed the queen's illness as epilepsy in August in the 23th reign. The Queen was confined in Gyeongdeok in November, and took herbal drugs for treating the epilepsy. After the death of King Injo, she stopped taking the drugs. As the Queen's epilepsy took place consistently more than 1~2 times in a month, it is the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Also, it is the epilepsy overlapping reiteration with the brain function disorder because the convulsion lasted throughout 1 hour. However, after King Injo died, she lived for long without the brain function disorder. So it is difficult to judge she actually came down with the epilepsy.

현종 비 명성왕후의 복약 기록 연구 -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linical Records of King Hyeonjong's Queen, Queen Myeongseong, Focusing on Cases Recorded in the Seungjeongwon 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 박주영;국수호;김남일;차웅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20
    • /
    • 2019
  • Queen Myeongseong was the wife of King Hyeonjong, the 18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ther of King Sukjong. The clinical records of Queen Myeongseong are summarized on the basis of the Seungjeongwon 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and reviewed through Donguibogam. Queen Myeongseong gave birth to one male and three female children in the time of the queen. She took Geumgaedangguihwan (金櫃當歸丸), Dalsaengsan (達生散), Antaeum (安胎飮) during her pregnancy and Gungguitang (芎歸湯) during postnatal care. Since 1669, chest tightness, sleeplessness, arm pain and numbness of arms had been appeared. Ondamtang (溫膽湯) and Dodamtang (導痰湯) were used but they were not effective. However, when her symptoms were regarded as a benign tumor due to cold and wetn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se of Ohjuksan (五積散). In 1683, when king Sukjong was caught in a smallpox, she took care of him. She exorcised in the middle of winter to pray for her son's recovery, and died of the flu.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과 연대추정 (Wrapping Cloth with Cloud and Treasures Pattern Donated by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Lee Hangbok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ating and Analysis of the Cloud and Treasures Pattern)

  • 황진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3권
    • /
    • pp.49-60
    • /
    • 2020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운보문단 보자기(증9393) 유물의 전시와 안전한 보호를 위한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 보존 처리한 직물 무늬의 시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함께 기증 된 이항복(1556-1618)의 17세기 활동시기와 후모본(後模本) 초상화의 제작시기인 18세기의 유물과 비교하여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구성과 연대를 추정하였다. 운보문단의 시대 추정을 위해 시대가 확실한 유물과 비교한 내용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항복의 생몰년(1556-1618)을 기준으로 유사한 시기의 출토복식과 의궤의 표지의 무늬와 비교하였으나 운두와 꼬리크기의 비율에서 확연히 차이가 보여 이항복의 생몰년 대에 제작한 직물로는 추정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이항복의 호성공신과 위성공신 초상 후모본의 제작시기인 18세기 운보문단 직물 무늬와 비교한 결과 가장 유사한 1702년 『숙종인원왕후가례도감의궤』 표지의 운보문단이 확인 되었으며, 이외 1730년대까지의 의궤표지와 출토직물에서 배열, 크기, 비율 등 유사한 구성양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보자기의 정확한 용도는 확인 할 수 없었지만 함께 기증 된 후모본 초상화와 유사한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고문헌을 통해 본 영릉(英陵)의 원형공간과 시공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Yeongneung's Original Layout and Co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Works of Ancient Literature)

  • 이창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69
    • /
    • 2012
  • 본 논문은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40기의 조선왕릉 중 우리 민족이 가장 존경하는 세종대왕의 영릉에 대하여 고문헌을 통하여 원형공간과 복원, 시공방법 등을 고찰해 본 문헌적 연구이다. 영릉(英陵)은 세종대왕과 그의 비 소헌왕후 심 씨의 능으로 조선의 42기 왕릉 중 그 조영 방법이 독특하며, 천장의 역사를 갖고 있어 인물사 못지않게 중요한 공간이다. 영릉의 고문헌은 정조(1786)때 작성된 (영릉보토소등록(英陵補土所謄錄))과 (춘관통고(春官通考)) 그리고 고종때 작성된 (영릉영릉보토소등록(英陵寧陵補土所謄錄), 1900년)과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능역조영의 용어정의, 2) 능원의 공간구성, 3) 능역시설물의 특성, 4) 공사규모 및 내역, 5) 능원의 식생 등의 내용을 검토할 수 있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된 문화시설은 그 원형을 잘 보존해야 하며 보존관리도 원래의 공법을 활용하는 등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형 고증적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상기의 내용에서 세종과 소헌왕후의 영릉에 대하여 조영적 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릉의 원형공간 이해와 향후 복원 등의 제안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