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완화시간

Search Result 96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determination of continuous relaxation time spectrum of linear polymer (선형 고분자의 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 결정)

  • 이일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8 no.2
    • /
    • pp.103-118
    • /
    • 1996
  • 변형된 Maxwell 모델을 모의 데이터와 폴리스티렌의 동적 실험 데이터인 G'과 G "에 적용하여 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을 결정하였고, Maxwell 모델을 사용했을 때 얻어지 는 불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MGMM과 GMM 모두 선형회귀 방법과 비선 형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완화시간 스펙트럼을 결정하였는데 비선형 방법을 사용했을 때 선 형방법에 비해 좀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모의 데이터의 경우 사용한 완화시 간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MGMM과 GMM 모두 원래의 스펙트럼을 잘 재현했으나 완화시 간의 수가 작은 경우에는 MGMM이 GMM에 비해 원래의 완화시간 스펙트럼을 보다 잘 나 타내었다. 또 단분산성폴리스티렌의 경우 MGMM과 GMM의 완화시간 스펙트럼이 모두 작 은 완화시간 영역에서는 분자량에 무관했고 큰 완화시간 영역에서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스 펙트럼이 완화시간이 커지는 쪽으로 이동하였다. 또 두드러진 terminal 완화시간을 볼수 있 었다. 그러나 다분산성 폴리스티렌의 경우에는 단분산성의 경우와는 달리 두드러진 terminal 완화시간을 볼수 없었다. 그리고 MGMM의 파라미터 m은 분자량 분포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에서 계산된 불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이 GMM에서 얻어진 불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과 잘 일치함을 볼수 있었다.

  • PDF

A Simple Numerical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Relaxation Time Distribution (완화시간분포를 계산하는 간단한 수치해법)

  • 조광수;안경현;이승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1-102
    • /
    • 2003
  • 선형점탄성에서 완화시간분포를 알면 완화탄성율, 동적 점탄성율 등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이지만 실험으로 직접 측정되는 물리량이 아니며 완화탄성율이나 동적 점탄성율의 실험 결과로부터 얻는 것도 많은 수학적인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Regularization을 이용한 방법으로 연속함수로써 완화시간분포를 계산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진 바 있다. 동적점탄성율 실험결과로부터 완화시간분포를 연속함수로써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수치해법을 연구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Constraint Release and Tube Renewal on the Binary Blends of Entangled Linear Polymers (엉켜 있는 2성분 선형 고분자의 제약완화 및 관 재형성 효과)

  • 김광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2
    • /
    • pp.166-174
    • /
    • 1991
  • 동일화학종이면서 \ulcorner량이 다른 두 단분산 고분자를 혼합한 2성분 다분산 농축계에 equivalent primitive chain model을 적용하여 사슬주위의 제약완화에 따른 관의 재형성 효 과를 각 사슬의 특성완화시간으로 산정하여 나타내었다. Polystyrene 시료에 대하여 동력하 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동모델에 따른 각 사슬의 최장완화시간은 복소수 점도 의 허수분분(η")대 주파수($\omega$)의 관계, 관의 재형성 시간은 $\omega$ 변화에 따른 storage modulus(G') 로부터 각각 도출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특성완화 시간들이 분자량 및 각 성분 농도에의 의존성을 더욱 상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Geosynthetics (지오신세틱스의 응력완화거동 해석)

  • Jeon, Han-Y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5 no.3
    • /
    • pp.31-36
    • /
    • 2006
  • In this study,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nonwoven geotextile and geomembrane which have protection, filtration and drainage, water barrier functions, respectively were examined. 'Theory of transition phenomen' was applied to interpretate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two geosynthetics. The initial and later relaxation times for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geosynthetics were derived from the constitutive equations. The initial relaxation behaviors of these geosynthetics were dependent on the additional strains and were especially faster with temperature. Finally, both relaxation times of geosynthetics were shorter with additional strain and temperature and the reduction of relaxation times of nonwoven geotextile were larger than those of geomembrane.

  • PDF

Effect of large-scale Molecular Structure on the Viscolastic Properties of Entangled Flexible Polymers (분자량 분포와 사슬구조가 엉킨유연성 고분자의 점탄성에 미치는 영향)

  • 최광식;김희영;정인재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2 no.2
    • /
    • pp.45-55
    • /
    • 1990
  • 분자량이 큰 고분자의 구조가 점탄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선형-선형 고 분자 블랜드에 적용되었던 equivalent primitive chain 모델을 블랜드의 긴 완화시간을 갖는 사슬이 엉킴이중용한 star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농도 용액에 까지 확장한다. 긴 완화시간을 갖는 사슬의 완화현상에서 이 사슬의 국부에서 주의 사슬들의 제약이 해제되므로서 일어나 는 현상의 고려하여 분자량과 사슬구조는 다르나 화학적 성질은 같은 이성분계 고분자 블랜 드의 유변학적 거동을 설명한다.

  • PDF

Proton and Deuteron Spin-Lattice Relaxation in Gaseous HD (HD 기체에서의 수소 및 중수소 원자핵 스핀-격자 완화시간에 관한 핵자기공명 연구)

  • ;R. E. Norberg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4 no.1
    • /
    • pp.52-55
    • /
    • 1994
  • The proton and deuteron spin-lattice relaxation times, $T_{1}(H)$ and $T_{1}(D)$, have been measured in HD between 30 K and 313 K in the pressure of 0.67 - 1.92 atm.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frequencies are respectively 358.012 MHz for a proton and 58.958 MHz for a deuteron. From the measurements of $T_{1}(H)$ and $T_{1}(D)$ the ratio of the correlation times ${\tau}_{1}\;and\;{\tau}_{2}$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molecular angular momentum operators was obtained. The nuclear spin-lattice relaxation time at J = 1 state has been observed to have a temperature dependence being proportional to $T^{0.25}$.

  • PDF

천연고무 및 합성시스-1,4- 포리이소프렌의 무우니이점도와 완화탄성률의 관계

  • GyeonSa Ung-Il;ChimGan Ho
    • The tire
    • /
    • s.61
    • /
    • pp.16-19
    • /
    • 1975
  • 무우니이점도 30에서 70까지의 천연고무(이하 NR이라고 약)와 합성 시스-1,4-포리이소프렌(이하 IR이라고 약)의 완화탄성률에 대해서 검토했다. 완화탄성률은 -50℃로부터 90℃이며 시간 3초로부터 3,000초에 긍해서 측정했다. 동일한 무우니이점도로서 어느 온도에 있어서도 IR의 완화탄성률은 NR에 비하면 작으며 따라서 IR은 부드럽게 촉감된다고 생각된다. NR과 IR의 각종온도에서의 완화탄성률과 시간의 관계는 같은 환산계수를 사용해서 중합이 가능했었다. 얻어진 합성곡선에 대해서 특히 종단역에 있어서 NR의 완화탄성률이 IR에 비해서 크다. 이것은 같은 무우니이점도로서 NR쪽이 IR에 비하여 높은 평균분자량과 넓은 분자량분포를 가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A Study of TSDC for Li2B4O7 Single Crystal (Li2B4O7 단결정의 TSDC에 관한 연구)

  • Cha, Jong Wo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3 no.1
    • /
    • pp.269-277
    • /
    • 1998
  • The TSDC(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in the temperature range $30{\sim}500^{\circ}C$. We observed the anomalous two peaks that have a thousand times longer relaxation time than that of the space charge. It seems that the origin of the two peak are due to the electron trapping effect and to the adsorption of the vacancies at silver electrode.

  • PDF

Analysis of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Geosynthetics (토목 합성재료의 응력완화 거동 해석)

  • Jeon, Han-Yong;Park, Young-Mok;Chung, Jin-Gyo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3 no.4
    • /
    • pp.21-27
    • /
    • 2004
  •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nonwoven geotextile and geomembrane which have protection, filtration and drainage, water barrier functions, respectively were analyzed. 'Theory of transition phenomena' was applied to interpretate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two geosynthetics. The initial and later relaxation times for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geosynthetics were derived from the constitutive equations. The initial relaxation behaviors of these geosynthetics were dependent on the additional strains and were especially faster with temperature. Finally, both relaxation times of geosynthetics were shorter with additional strain and temperature.

  • PDF

linear Viscoelastic Properties and Relaxation Time Spectrum of Dilute Polymer Solutions (묽은 고분자 용액의선형 점탄성과 완화 시간 스펙트럼)

  • 안경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3
    • /
    • pp.211-224
    • /
    • 1995
  • 묽은 고분자 용액의선형 점탄성과 완화시간 스펙트럼에 대하여 비드수, 유체역학적 상호작용, 배제 부피와 비선형 스프링들의 영향을 비드-스프링 모델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Fixman의 모델을 개량하였고, 비선형 스프링개념을 도입한후 선형점탄성에 관한 식들을 유 도하였다. 그중에서 주로 복고 점도의 크기와 위상차에 대한 BSM 파라미터들의 영향을 살 펴보았다. 실험데이터에서 진동수에 따른 위상차의 평평한 부분의 길이로부터 비드수를 Mark-Houwink 식의 지수 값으로부터 유체역학적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그리고 fitting 파라 미터로써 배제 부피 파라미터와 비선형 스프링 파라미터의 함수형태로 표현되는 동적 확장 파라미터를 결정할수 있었다. 또한 광산란 실험등으로부터 배제 부피 파라미터를 결정하게 된다면 이로부터 비선형 스프링 파라미터도 결정할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불연속적인 현태인 BSM의 완화시간 스펙트럼에 미치는 BSM 파라미터들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각 파람터의 효과와 차이점을 분명히 알수 있었다. 본논문에서는 BSM에 비드수, 유체역학적 상호작용 배제 부피 그리고 비선형 스프링 효과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하여 묽은 고분자 용액의 선형 점탄성 실험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