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충효과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33초

사회적 지지에 관한 사회복지 논문분석 -주효과, 완충효과 모델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배지연;김은이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45-26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회복지악계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지난 10여년간의 연구를 정리하고 집중적인 내용분석을 아는데 있다. 분석대상논문은 1990년대 이후부터 2002년까지 노인관련 학술지와 사회복지학술지에 게재된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들이며, 총 30여편이었다. 연구결과는 사회적지지에 관한 연구들은 90년 중반부터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연구대상은 노인이 많았다. 사회적지지에 대한 개념 측정은 기능적 특성을 측정한 연구가 많았고, 측정도구의 사용이 불분명해서 측정도구의 타당성 문제와 표준화된 척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효과성 검증결과에서는 주효과모델보다 완충효과 모델의 연구가 적어, 향후 완충효과모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미국 청소년의 문제성 음주에 대한 심리사회적 보호변인과 위험변인의 역할 - 보호변인의 보상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Psychosocial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American Adolescents: Focused on Compensatory and Buffer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 김영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269-290
    • /
    • 2004
  • 본 연구는 미국 청소년들의 문제성 음주에 대한 심리사회적 보호변인들과 위험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들 중 보호변인들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개별 보호변인의 보상효과와 완충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The Monitoring the Future 2002 연구의 10학년 4,362명의 사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위계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친구의 영향력, 감각추구성향, 일탈행동경험이 문제성 음주에 대해 유의미한 위험변인으로 기능함을 보여주었다. 보호변인의 경우에는 음주결과에 대한 부정적 기대, 부모와의 유대, 학교에 대한 유대, 친사회적 활동이 직접적으로 문제성 음주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 보상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음주결과에 대한 부정적 기대는 친구의 영향력을 완화시켜 문제성 음주를 감소시키는 유의미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성 음주에 대한 예방적 개입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우울감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 김윤정;강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9
    • /
    • 2014
  • 본 논문은 청소년, 성인, 노인의 우울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청소년 399명, 성인 473명, 노인 370명을 대상으로 전국 10개 도시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살위험과 우울감 수준은 노인이 가장 높고, 청소년, 성인 순이었으나, 가족결속력은 성인이 가장 높고, 노인, 청소년 순이었다. 둘째, 우울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과 성인의 가족결속도는 우울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과 성인의 자살감소를 위해서 가족결속력을 향상시켜야 함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가족관계가 어느 시기보다 중요한 노인의 경우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해석을 노년기 자살의 특성에서 논의하였다.

지역자율방재단의 재난피해 완충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Disaster Damage Buffer Effect of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 신희욱;윤홍식;이재준;임진욱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Arc GIS의 Network Analysis로 119안전센터의 재난 대응 권역을 설정해 재난 취약 면적을 계산하고 지역자율방재단의 재난피해 완충효과를 분석했다. 모든 값은 Min-Max Normalization 되어 동일한 Scale로 계산되었다. 지역자율방재단은 재난피해 완충 대책으로써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지속적인 지역자율방재단의 활성화는 주민 참여, 지역특화적 재난 방재 대책 수립에 효과적이다.

  • PDF

중년기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무아관의 완충효과 (The Buffering Effect of Non-Self Perspective on Life Stress in Middle Age)

  • 박희영;윤석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803-81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아관이 중년기 성인이 겪는 생활사건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40대와 50대 성인남녀 2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순 기울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아관은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무아관은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를 감소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양적·불교적 자기관인 무아관이 중년기의 성인이 겪는 생활사건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무아관을 중년기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불교적 개념인 무아에 관한 후속 실증연구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고랭지밭의 토양침식 저감을 위한 완충식생대의 효과 (Effects of Vegetative Buffers on Reducing Soil Erosion and Nutrient Loss of Highland Field in Korea)

  • 진용익;이정태;이계준;황선웅;장용선;박창영;서명철;류종수;정진철;정일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31-238
    • /
    • 2009
  • 본 연구는 고랭지 경사밭에서 발생하는 유거수량, 토양유실, 영양물질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완충식생대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포장의 토양은 운교통이고, 가로 2.5m, 세로 20m인 무저 lysimeter에서 시험하였다. 연구포장은 경사율 17%를 가진 경사밭이며, 배추를 재배하였다. 완충식생대로 이용된 초종은 Rye(Secale cereale L.), Tall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이다. 이들은 경사밭 아래 부분에 조성되었다. 호밀 식생대의 폭은 1m, 2m, 4m를 두었고, Orchard grass와 Tall fescue는 2m로 설정하였다. 완충식생대를 조성하기 위해 각 초종을 2005년 9월에 파종하였고, 배추는 2006년 6월에 정식하였다. 토양유실량, 유거수량, 영양물질 유출량의 측정은 2006년 6월부터 8월까지 수행하였다. 유거수량, 토양유실량 및 영양물질 유실량은 강우가 집중된 7월에 가장 높았다. 유거수를 감소시키는 완충식생대의 효과를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2m로 폭이 같은 완충식생대에서 호밀은 3%, Orchard grass는 1%, Tall fescue는 2% 저감 효과가 있었다. 폭이 다른 호밀 완충식생대간의 비교에서, 1m는 1%, Rye 2m는 3%, Rye 4m는 13%의 저감효과가 나타나 Rye 4m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토양유실저감측면에서 대조구와 비교할 때, 2m 완충식생대 중 호밀식생대는 59%, Orchard grass 46%, Tall fescue 28% 토양유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 같은 폭에서 호밀식생대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폭이 다른 호밀 식생대의 비교에서 1m는 62%, 2m는 60%, 4m는 88%의 토양유실 저감 효과가 나타나, 4m의 효과가 토양유실을 저감하는데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유거수와 토양에서 발생한 N, P, K 유출 저감에서는 호밀 2m완충식생대에서 각각 54%, 16%, 11%, Orchard grass는 각각 22%, 24%, 22%를, Tall fescue는 10%, 7%, 12% 영양물질유출을 줄였다. 호밀완충식생 중에서 폭이 큰 4m에서 영양물질 유출저감효과가 가장 좋았다. 이 연구의 결과, 유거수량, 토양유실 저감효과는 호밀완충식생대가 다른 초종의 식생대보다 좋아서 유거수, 토양유실 그리고 영양물질 유출 저감을 위해 폭이 큰 호밀완충식생대의 설치가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Na-Acetate 및 Na-Malate와 K-Sorbate가 김치발효중 pH, 산도 및 산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Acetate, Na-Malate and K-Sorbate on the pH, Acidity and Sournes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박경자;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4
    • /
    • 1988
  • 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유기산염인 Na-acetate와 Na-malate의 산미완충작용을 점검하였고, 이를 김치에 첨가하여 K-sorbate와 K-sorbate+acetic acid의 보존효과와 교하였다. 산미와 유기산염의 완충능력은 동일산도에서 산염이나 완충용액의 완충효과에 따라 pH가 달라지며 산미의 강도도 다르게 느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산과 산염의 비율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연후에 완충작용을 나타내고 있었다. 김치시료중 첨가구들은 모델김치(Control)에 비해 모두 가식기간을 뚜렸하게 연장 시켰다. 0.3% Na-acetate와 0.3% Na-malate는 김치발효중 유기산이 생성되면서 산미완충 작용을 나타내어 산도에 비하여 pH는 높고 산미는 적게 느끼게하며 K-sorbate보다는 가식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sorbate와 K-sorbate+acetic acid는 미생물 생육을 지연시키며 후자가 전자보다 우수한 숙성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 신준섭;이영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241-269
    • /
    • 1999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갖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서 사회적 지지이론에 대한 경험적 분석과 실직자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략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충청북도, 충주시 및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369명의 실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상태에 미치는 주효과(main effect)가설과 스트레스 완충효과(stress buffering effect)가설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가설과 스트레스 완충효과가설의 부분적인 검증을 시사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에 대한 검증에서는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표본 실직자들에게 가장 유용한 사회적 지지의 출처였고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완충효과가설이 검증이 된 경우에도 완충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의 이론 검증을 위한 추후연구방향이 제시되었고 실직자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이 제기되었다.

  • PDF

도시지역 녹화공간의 배식기법 : 공동주택단지 완충녹지의 배식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8-90
    • /
    • 1998
  •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부모역할 전환 후 부모로서의 긴장감이 취업모의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parental strain on the marital adjustment of employed mothers after transition to the parenthood and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고선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37-64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strain and marital adjustment of employed mothers after their transition to the parenthood, and to investigat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The parental strain variables (physical strain and emotional strain) appear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marital adjustment for employed mothers with first baby. The analysis on interaction effect indicates that social support can be a positive buffering indicator. A comparison reveals that mothers with high physical strain have significantly higher marital adjustment than those with low strain. But in the context of high social support, the difference of marital adjustment between the two mothers is redu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