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완충계수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3초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팽창계수 추정 (A Prediction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Materials)

  • 윤석;김건영;백민훈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9-346
    • /
    • 2018
  •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심층처분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처분용기, 완충재, 뒷채움 및 근계 암반이 있다. 이 중 완충재는 심층 처분시스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처분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량은 완충재로 전파되기에 완충재의 열적 특성은 처분시스템의 안정성 평가에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고온의 열량은 완충재의 열적 팽창을 야기하여 근계 암반에 열응력을 야기할 수 있기에 완충재의 열팽창 특성 규명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경주산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KJ-II)에 대한 열팽창 거동 특성을 실내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선형 열팽창계수에 대한 추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선형 열팽창계수는 딜라토미터 장비를 이용하여 승온속도, 건조밀도, 온도 범위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선형 열팽창계수 값은 대략 $4.0{\sim}6.0{\times}10^{-6}/^{\circ}C$ 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비선형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밀도에 따른 경주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선형 열팽창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동탄성계수 변화 (The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s for floor impact sound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 연준오;구희모;이성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8-342
    • /
    • 2018
  • 상하층 간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바닥충격음 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완충재에 대한 물성 기준도 함께 고시하고 있다. 완충재에 대한 물성 기준중 가열전후 동탄성계수, 손실계수는 특히 바닥충격음과 가장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에서 명시하고 있는 $70^{\circ}C$의 온도 조건을 기준으로 $10^{\circ}C$씩 증가시키고 $10^{\circ}C$씩 저감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에 대하여 변화율을 검토하였다. 총 8가지 종류의 시료에 대하여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측정 방법은 펄스 가진법으로 수행되었으며 결과 산출방법은 감쇠 진동 파형을 이용한 시계열 해석법으로 산출하였다.

항공기 올레오식 2중 완충기 종류에 따른 특성 비교 연구 Part I. 수학적 모델링 (Comparative Study on the Several Types of Double-Acting Oleo-Pneumatic Shock Absorbers of Aircraft Part I. Mathematical Modeling)

  • 이철순;정선호;김경종;김정호;조진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939-95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올레오식 2중 완충기 특성 비교를 위한 첫 단계 연구로서 수학적 모델링을 새롭게 수행하였다. 논문의 완결성을 위해 먼저 전형적인 올레오식 단일 완충기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 후, 세 가지 종류의 올레오식 2중 완충기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유도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을 위해 베르누이 방정식과 오리피스 방출계수를 이용하였으며, 완충기 내부의 기체와 유체는 각각 폴리트로픽 과정 그리고 비압축성으로 가정하였다. 올레오식 2중 완충기 특성 연구에 제안된 모델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완충재의 동탄성 및 손실계수 측정 시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 in Measuring the Dynamic Stiffness and Loss Factor of Damping Materials)

  • 이성호;정갑철;정진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9-282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of measuring the dynamic stiffness and loss factor of materials used under floating floors in the dwelling by korea standard (KS F 2868).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mplitude change of an impact source have no effect on the variation of the dynamic stiffness and loss factor. Comparing with the heating before, heating makes lower the dynamic stiffness except the EPS. In EVA material, the loss factor is increased by heating.

  • PDF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동탄성계수 특성 및 측정 영향인자 (A Study On the Property and Influence Factor in Measuring of the Dynamic Stiffness of Damping Materials)

  • 김경우;최현중;강재식;양관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56-12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influence factor in measuring the dynamic stiffness of damping materials. The property of the dynamic stiffness of damping materials was tested and analysed in condition such as the size of test samples and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in heating chamb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dynamic stiffness of after-heating was lower than that of before-heating in most samples and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in heating chamber got little influence of the dynamic stiffness. The resonant frequency of test sample decreased $2{\sim}7Hz$ as the decrease of the size of sample. Because it was increased that total mass per unit area of sample, the change of dynamic stiffness had little influence.

  • PDF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역학 물성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Compacted Bentonite Buffer Materials)

  • 윤석;홍창호;김태현;김진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0호
    • /
    • pp.5-11
    • /
    • 2021
  •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고준위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학적방벽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는 외부 하중이나 지하수 침투로부터 처분 용기를 보호하기에, 열-수리-역학적인 요구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완충재의 열-수리 물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역학 물성 규명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건조밀도와 함수비에 따른 다양한 국내 압축 벤토나이트 시료를 조성하여 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일축압축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포아송비를 도출하였다. 압축 벤토나이트의 일축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건조밀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포아송비는 건조밀도가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압축강도, 탄성계수 및 포아송비는 건조밀도와 큰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함수비와는 특별한 상관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도시지역 녹화공간의 배식기법 : 공동주택단지 완충녹지의 배식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8-90
    • /
    • 1998
  •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완충재 구성방법에 따른 동탄성계수 및 중량바닥충격음 저감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Dynamic Stiffness and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by Composition of Resilient Materials)

  • 김경우;정갑철;손장열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47-254
    • /
    • 2008
  • Resilient materials are generally used for the floating floors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 which has the most to do with the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The resilient materials available in Korea include EPS(styrofoam), recycled urethane types, EVA(ethylene vinylacetate) foam rubber, foam PE(polyethylene). glass fiber & rock wool, recycled tire, foam polypropylene. compressed polyester, and other synthetic materials. In this study, we tested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 and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characteristic to a lot of kinds of resilient materials. It was found that dynamic stiffness of multi-layered damping material could be estimated if know value of each layer that compose whole structure. And the test showed that the amount of the heavy-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appeared by being influenced from this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 The dynamic stiffness looked like between other resilient materials, a similar to the amount of the heavy-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was shown.

완충재의 구성에 따른 동탄성계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namic Stiffness of Multi-layered Damping Materials)

  • 임정빈;정진연;김경우;정갑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49-1152
    • /
    • 2007
  • Many kind of damping materials are generally used on concrete slab in apartment building to reduce floor impact noise level. Lately, multi-layered damping material that is consist of several materials are used to improve the effect of floor impact noise insulation. In this study, dynamic stiffness of multi-layered damping material that is consist of common materials such as expanded polystyrene(EPS), expended polyethylene(EPE), ethylene vinyl acetate(EVA) and polyester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dynamic stiffness of multi-layered damping material could be estimated if know value of each layer that compose whole structure. And it was found that dynamic stiffness of whole structure did not change even if change order that build layer.

  • PDF

완충재 동탄성계수와 경량바닥충격음 저감량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s and Lightweight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Level)

  • 김경우;정갑철;손장열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886-895
    • /
    • 2008
  • Resilient materials are generally used for the floating floors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stiffness and lightweight impact sound level, the dynamic stiffness and floor impact sound level of 51 resilient materials were measured. The impact sound level of each of these resilient materials, whose dynamic stiffness was measured,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and the level difference (${\Delta}L$) was analyzed. The result of test showed that the dynamic stiffness of resilient materials decreased,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level also decreased,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dynamic stiffness and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especially in the low frequency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