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전 무치악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103초

Conventional한 방식과 CAD/CAM System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 동시 수복 증례 (The treatment of an edentulous patient with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and CAD/CAM complete denture)

  • 조성윤;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42-49
    • /
    • 2020
  • 무치악 환자에게서 의치의 제작은 통상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을 따를 경우 최종 의치 장착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이로 인한 환자의 잦은 내원이 불가피하다. 또한 기공 과정 상에서 나타나는 중합수축에 의한 오차나, 의치의 파절이나 분실 시 빠른 재제작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최근 치과 분야에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의치 제작에까지 그 영역을 넓히기 시작하였다. 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의치를 제작하면 첫 번째 내원 시에 인상채득과 악간관계의 기록, 인공치의 선택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두 번째 내원 시 의치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내원 횟수와 진료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3D-Printing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중합수축에 의한 기공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CAD/CAM System을 사용한 의치로는 DENTCA CAD/CAM denture (DENTCA Inc., Los Angeles, CA, USA)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서 conventional 한 방법과 DENTCA CAD/CAM Denture System을 사용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두 쌍의 총의치로 수복함으로써 발음, 저작, 연하 등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사용한 부분 유도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 평가: 증례보고 (An assessment of accuracy of half-guided implant surgery using implant surgical guide: A case report)

  • 김충길;이원섭;권호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50-159
    • /
    • 2019
  •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치료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임플란트를 적절한 위치에 정확히 식립하기 위해 최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소개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임플란트 수술 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적용하는 수준에 따라 완전 유도 임플란트 수술과 부분 유도 임플란트 수술로 구분할 수 있다. 비록 완전 유도 임플란트 수술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은 사실이나 수술상황에서의 다양한 임상적 환경 등으로 인해서 부분 유도 임플란트 수술이 종종 시행된다. 이 증례는 치아파절과 치주염 등으로 치아를 상실하게 된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고정성보철물을 이용해서 보철 수복 치료를 시행한 사례이다. 임플란트 수술 과정에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사용해서 부분 유도 임플란트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임플란트 수술 계획과 수술 결과 간의 정확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소개하였다.

전방 임플란트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이용한 전악 보철 치료의 3년 경과 관찰 증례 (Three-year follow-up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nterior implant surveyed bridges and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 길기성;이효경;김경아;이정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8-226
    • /
    • 2018
  •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소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인 위치에 식립하여 추가적인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를 제작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치료한 여러 증례와 임상가이드라인을 보면 후방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구치부의 심한 치조골 흡수나 해부학적 이유로 외과적 수술(상악동거상술, 골 이식술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후방의 무치악 부위는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되, 소수의 치아가 잔존하는 전방 무치악 부위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여 지대주로 활용하는 치료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구치부 치아의 상실과 잔존치열에 중등도 이상의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 대한 증례로 상악 전방부에 3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잔존하는 상악 전치부 자연치와 더불어 각각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상악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그와 함께 손상된 하악 자연치는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수복하였다. 이로써 감소된 수직고경 및 붕괴된 교합평면을 회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지속적인 경과관찰 중이다. 본 증례를 통해 전방부 임플란트 써베이드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에 의한 보철치료 증례의 3년 경과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디지털 방법을 활용하여 임시수복물을 최종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물로 이행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using digital method to transfer provisional restoration to final fixed implant restoration)

  • 조은한;이영후;홍성진;백장현;배아란;김형섭;권긍록;노관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62-373
    • /
    • 2022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고정성 보철 수복 시 수술 전 적합한 치아 위치를 확인하고 잔존 치조골과 연조직의 평가를 통해 수술을 계획하여 정확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과 CAD-CAM 기술은 보철 치료와 수술을 동시에 계획할 수 있고 치료에 대한 예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임상 증례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시의치 제작, 고정성 수복 치료 전 심미성 평가 및 가이드 수술을 계획하였다. 수술 후에도 기존에 얻었던 정보들을 통해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임시 보철물을 반영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조골 흡수가 심한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짧은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using short implants in the mandibular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loss: a case report)

  • 황희선;이기영;김유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9호
    • /
    • pp.692-702
    • /
    • 2016
  • A short dental implant is considered as possible solution in difficult clinical situations for the placement of a regular length implant. Using a short implant avoiding more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simplifies the treatment plan and shortenes the duration of treatment. In this case, 71-year-old female came up with discomfort from her old mandibular denture. As she had fully edentulous mandible and got a negative feedback from removable denture,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was planned. Six short implants were placed on her mandible with severe alveolar bone loss. After 1 year follow up period, implants were well retained with any other abnormal findings.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her prostheses and satisfactory outcomes were attained in terms of both esthetic and functional clinical results.

  • PDF

심한 골격성 class III 환자에서 교합양식을 고려한 총의치 수복증례 (Complete denture of a skeletal class III patient with occlusal scheme in consideration: A case report)

  • 임소은;권긍록;노관태;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0-55
    • /
    • 2018
  • 무치악 환자에서 악간관계의 부조화는 자주 관찰되며, 의치에서 인공치의 교합접촉 시 안정의 결여는 환자의 불편감과 점막 외상, 나아가서는 근육과 신경의 변화나 감정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기능 시 의치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합을 설정하는 것이 성공적인 의치 치료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전돌로 인한 상하악 악궁간의 심한 부조화를 가진 완전무치악 환자를 양악총의치로 수복하였다. 비정상적인 악간 관계를 보상하기 위해 구치부 교차교합으로 인공치를 배열함으로써 의치의 안정과 유지를 확보하였고, 환자 또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다.

심한 골 흡수와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Piezography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bone resorption and class II jaw relation using piezography)

  • 권우일;송영균;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5-450
    • /
    • 2016
  • Piezography는 발음을 이용하여 채득된 보철 공간을 의미하며, 의치의 인공치와 연마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참고점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증례 대상은 67세 여성환자로, 새 의치 제작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존 의치에서 2급 악간관계와 불량한 유지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정적인 의치를 위해 piezography와 설측교합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상 채득 후 주모형 상에서 상하악 기초상과 왁스 교합제를 제작하였고, 별도로 piezography를 위하여 하악에 추가적인 기초상을 하나 더 제작하였다. 이 추가 기초상에 실리콘 인상재를 적용 한 뒤 '시', '소', '메', '테', '데', '무' 여섯개의 발음으로 piezography를 채득하였다. 하악 인공치를 이 보철공간에 맞추어 배열한 뒤, 형태를 수정하여 설측 교합을 부여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새로운 의치에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다.

상악 완전 무치악에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 보고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Milled Titanium Bar with $Locator^{(R)}$ Attachment on Fully Edentulous Maxillae : A Case Report)

  • 오상천;한지석;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1
    • /
    • 2011
  •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위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새로운 milled titanium bar를 소개하고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56세 남자 환자가 상악 고정성 보철물(10-유닛 브릿지)의 동요도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악관절 및 치과 치료에 영향을 줄만한 특이한 전신병력은 없었다. 방사선 검사 및 임상 검사 결과, 상악의 경우 모든 잔존치아에서 심한 골흡수와 동요도를 보이고 있어 전악 발치를 시행한 후,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 저작효율, 청소의 용이성, 심미성과 발음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Locator^{(R)}$ 어태치먼트를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에 탭핑(tapping)으로 연결시키는 새로운 디자인을 고안하였으며, 1년 이상 경과 후,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3차원 디지털 영상과 CAD/CAM 시스템을 활용한 전악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utilizing 3D digital image and CAD/CAM system: case report)

  • 강세하;정승미;신재옥;방정환;김대환;최병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2호
    • /
    • pp.158-168
    • /
    • 2015
  • 본 증례는 상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진단, 식립 그리고 보철물 제작에 디지털 방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상악은 구개 부위, 하악은 기존 의치에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부착한 후 구강스캔 및 CBCT 촬영을 시행하였다. 구강스캔 이미지와 CBCT 이미지를 중첩시켜 진단 및 수술가이드와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다. 골유착 후에는 스캔바디를 이용한 구강스캔을 통해 최종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수복에서 디지털 방식을 다양하게 활용하였으며 정확성과 환자의 불편감 최소화라는 목적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