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완만한 경사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un-up and Evolution of Solitary Waves on Steep Slopes (급경사에서 고립파의 처오름과 진행과정)

  • 조용식
    • Water for future
    • /
    • v.28 no.6
    • /
    • pp.159-168
    • /
    • 1995
  • The run-up and the evolution of solitary waves on steep beaches are investigated by using a two-dimensional boundary integral equation model. The model is first used to compute the run-up heights of solitary waves on a relatively mind slope. The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computed numerical solutions with available experimental data, other numerical solutions and approximated analytical solutions. The agreement between the present numerical solutions and the other data is found to be excellent. The model is then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run-up heights on very steep slopes. As far as the maximum run-up of solitary waves is concerned, the boundary integral equation model provides reasonable and reliable solutions. Finally, the evolution on steep beaches is also examined and the obtained wave heights are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from the Green's law.

  • PDF

Estimation of Flood Wave for Non-Stationary Seepage Analysis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Seo, Lynn;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3-703
    • /
    • 2012
  • 대규모 하천이 많은 미국과 유럽 등은 정상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제방을 설계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상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급하여 홍수지속시간이 짧고, 하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완만하여 홍수지속시간이 길어 비정상 침투해석을 통해 제방을 설계한다. 설계 홍수파형을 정상상태로 해석하면 대상지점의 홍수파형이 갖는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가 고려되지 않아, 상류 지역은 과대한 외력이 설정될 수 있으며, 하류 지역은 과소한 외력조건으로 과소 설계될 우려가 있어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를 고려한 비정상 침투해석이 필요하다.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서는 제방에 대한 외력조건으로 적용될 하천의 홍수파형이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홍수위와 지속시간 등 홍수파형의 시간분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실무에서는 설계하고자하는 대상지점의 계획홍수량에 사용된 홍수파형의 계획홍수위와 홍수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방에 대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위해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5대강 유역에 위치한 수위관측소 중 수위자료가 충분히 구축된 지점을 대상으로 과거 홍수사상 기간의 수위수문곡선과 계획홍수량 산정에 사용되었던 설계수문곡선을 이용하여 홍수파형을 결정하였다. 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은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로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홍수지속시간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실무에서 사용되는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이 과소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수파의 감수부 경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감수부 경사가 계획홍수파의 감수부 경사보다 비교적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시간이 긴 실제 홍수사상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 외력으로 설정되는 홍수파형은 계획홍수량 산정시 이용한 계획 홍수파형만을 사용한다. 이 경우 과거 홍수사상의 홍수지속시간이 반영되지 않아 안정성 측면에서 계획홍수파형과 과거 홍수를 모두 고려한 본 연구의 방법이 더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s on Flow Characteristics in a Crossroad due to Slope Variation (유입경사에 따른 도로 교차부에서의 흐름특성에 관한 수치적 및 실험적 연구)

  • Kim, Kyung-Hwan;Jeong, Woo-Chang;Le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1-321
    • /
    • 2011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예측이 어려운 게릴라성 집중호우 등의 증가로 재해 및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지역내로 유입되는 홍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건물과 도로의 배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매우 복잡한 흐름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지역이 조밀한 건물군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홍수의 대부분은 도로와 교차점을 통해 흐르므로 도시지역 내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도로 교차로에서의 홍수파의 전파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차로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도로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차로에서의 흐름은 유입되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도로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경우 상류 특성을 나타내나 이와 반대일 경우에는 상류 및 사류가 공존하는 복잡한 수면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도지지역 내 도로 교차점에서 유입경사 변화에 따른 도로 교차부에서의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결과와 수리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Case 1은 수로의 유입경사가 3%일 경우 도로 교차로에서 수위 및 흐름특성을 수치모의결과와 비교한 결과 조도계수가 0.0086일 경우 RMSE 값은 X축에서는 0.0023, Y축에서는 0.0042로 수로중심에서의 수심분포가 잘 일치 하였으며, 흐름특성 또한 수치모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Case 2에서는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유입경사가 3%와 5%일 경우 도로와 교차점에서의 흐름특성을 수치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입경사가 변화함에 따른 수면흐름특성을 모의하였다.

  • PDF

Depositional features and sedimentary facies of steep-faced fan-delta systems: modern and ancient (현생 및 고기 급경사 선상지-삼각쭈계 퇴적층의 특성과 퇴적상)

  • Choe M. Y.;Chough S. K.;Hwang I. G.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2 no.2 s.3
    • /
    • pp.71-81
    • /
    • 1994
  • Alluvial fan delta often extends into deep water, forming steep-faced delta front. Depositional features of modern steep-faced fan-delta slope and prodelta are characterized by slump scar, chute/channel, swale, lobe, splay and debris fall. These features largely originate from sediment failure or sediment-laden underflows (sediment-gravity flows) off river mouth. Sedimentary facies of equivalent ancient systems comprise sheetlike and/or wedged bodies of gravelstone and sandstones, slump-scar and -fill, chute/channel-fills, and sheetlike, lobate and slump mass on steeply-inclined fan-delta foreset and prodelta.

  • PDF

Application of Slope-area Discharge Estimation Method using Continuously Observed Water Level Data in a Gravel Bed River -Case Study of the Dal Cheon River- (자갈하천에서 연속적인 수위 자료를 이용한 경사면적법 유량 산정 -달천 사례연구-)

  • Lee, Chan-Joo;Kim, Ji-Sung;Kim, Chi-Young;Kim, Dong-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5
    • /
    • pp.503-515
    • /
    • 2008
  • In this study we calculate discharge by slope-area method using continuously observed water level data and analyse the results. This study is performed in the Dalcheon river reach of 960 m length including riffles and a pool, which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Goesan Dam. Three values of roughness coefficient are applied to discharge calculation, which are established using bed material size analysis. Another roughness coefficient value obtained from the river improvement plan is also used. Calculated discharges by slope-area method are compared with dam discharges. Relative difference from dam discharges appears to be largely affected by roughness values and a value of 0.042 or more seems most suitable for the entire study reach. Smaller roughness value is suitable to the reach which has gentler water surface slope than mean channel slope of the entire study reach, while a larger value to steeper reach. In case roughness value is set considering overall slope of the channel, it is desirable to select the entire calculation reach including both gentler and steeper sub-reaches. Since relative difference becomes nearly constant at over 500 cms, in case that verification of applied roughness is conducted with other directly measured discharge, accuracy of measurement by slope-area method for larger discharge may be improved.

Experimental Study on Bed Material and Slope in Sloping drop Structures (하상재료와 경사에 따른 경사형낙차공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oong;Yoon, By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41-845
    • /
    • 2007
  • 낙차공(drop structure)은 치수목적의 하천정비를 위한 주요 수공구조물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환경을 고려한 하천공법이 요구되면서 고낙차로 인해 발생하는 수중생물의 단절은 기존 낙차공의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기존 고낙차를 이용한 낙차공 보다는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낙차공을 설치함으로써 기존 낙차공에 의해 단절되었던 어류의 이동통로로서의 역할과 주변 경관개선을 위해 설치하고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필요성에서 시작되었으며 완경사 낙차공을 경사형 낙차공이라 정의하고 조건에 따른 흐름특성을 수리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경사형 낙차공의 경사조건과 하상재료의 입경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 소산에 따른 효율과 구조물 하류부 도수현상에 대한 것으로 이를 통해 경사형 낙차공 조건에 따른 흐름특성을 파악하였다. 수리실험은 폭 0.6m, 길이 20.0m 인 가변경사수로에서 수행하였으며, 하상재료는 크기에 따라 2가지 입경(16mm, 25mm)의 재료를 선정하였고, 구조물 경사에 대해 각각 1V:2H, 1V:3H, 1V:4H, 1V:6H의 경사도를 가지는 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량조건 및 도수발생위치는 유입부 수위에 따라 단계별로 4가지 수위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량을 통수하였고, 하류부 수위를 조절하여 도수위치를 조절하여 유입부(1), 낙차공부(5), 사류부(1), 하류부(1)에 대하여 총 8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위$(y_n)$ 및 유속(V), 도수길이(Lr), 도수발생거리(Lj) 등을 측정하였다.

  • PDF

신형 유공블록을 이용한 계단식 호안의 월파특성 수리실험

  • 이달수;오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62-166
    • /
    • 1996
  • 재래식 간척 및 매립은 연안 간사지를 소멸시켜 수생생물의 산란 및 서식지를 훼손시킴으로써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킬 뿐 아니라 연안역 해수의 자정능력을 감소시켜 수질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Y, Hosokawa, 1992). 따라서 향후 간척, 매립을 하거나 호안을 축조할 때에는 외해측에 수심이 얕고 경사가 완만한 해저 환경을 새롭게 조성함으로써 수질 및 해양 생태계를 보전하는 환경 친화적 연안개발 공법의 도입이 요망된다. (중략)

  • PDF

사천진항 해저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백승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68-72
    • /
    • 1997
  • 사천진항은 동해안에 위치한 제1종 어항으로 강원도 강릉시에 소재하고 있는 항구로서 남북쪽에 비교적 긴 모래 해안이 발달해 있으며 항 남단으로 사천천 하구와 연결되고 있다. 항북쪽으로는 연곡천, 남쪽 아래쪽에서는 남대천이 흐르고 있으며 해안은 1/40-l/60의 대체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사천진항은 태풍의 내습이 없는 항으로 탁월풍은 SW, 평균풍속은 2.7㎧로서 년 강우량이 1383mm이며 조석관계는 평균조차가 13cm, 대조차가 약 17cm, 소조차가 약 9cm로서 작은 조차를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감포남서부 효동리일대 화산암류와 벤토나이트의 분포 및 암석 화학적 특징

  • 윤현수;홍세선;박덕원;유장한;김용욱;김대업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91-293
    • /
    • 2003
  • 감포남서부 효동리일대는 효동리 화산암류(다데이와, 1924)로 보고된 바 있으나, 야외조사결과 경상계 퇴적암, 화산쇄설암류, 안산암류, 데사이트류, 석영장석반암류, 유문암류 그리고 염기성 암맥류로 구분될 수 있다. 경상계 퇴적암은 최하부층으로서 대체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주로 셰일로 구성되며 일부 사암이 발달한다 화산쇄설암류는 가장 넓게 분포되며, 쇄설물의 크기에 따라 부분적으로 분대되기도 하나, 대부분 연속성이 빈약한 편이다. (중략)

  • PDF

Design and Analysis of Lighting Installation at Tourist Destination (관광지 조명설비 해석 및 설계)

  • Jang, Young-Hoo;Oh, Seong-Bo;Kim, Deo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5-14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007년도 유네스코 지정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어 많은 내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유명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는 성산 일출봉 조명설비의 해석 및 모델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상으로 오르는 보행자도로 중에서 경사도가 완만한 잔디광장부분에서의 조명 기구 실태 파악하고 조도분포에 대하여 실측하였다. 적합한 관광지 조명 모델링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쾌적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