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와이어프레임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초

온라인마켓 와이어 프레임에 대한 주시빈도 분석 (Analysis of the Visual Trajectory for Wire Frame of Online Markets)

  • 하종수;반재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457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마켓을 효율적이고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 UX 디자인)적 설계가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위하여 와이어 프레임에 대한 사용자의 주시빈도를 분석한다. 국내 대표적인 온라인마켓의 와이어 프레임을 제작하여 각 사이트의 화면분할과 정보영역을 분석한다. 주시빈도 확인을 위해 시선추적 장치를 사용하고 시선이 머무는 히트맵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마켓의 디자인 설계시 화면에 보이는 요소들의 효율적 배치를 위한 프레임 레이아웃 영역을 살펴본다.

  • PDF

와이어 본딩 검사용 현미경 광학계의 설계 (The Design of Zoom Microscope System for Inspecting Wire-Bonding)

  • 류재명;임천석;조재흥;정진호;전영세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256-257
    • /
    • 2003
  • 반도체 와이어 본딩(wire-bonding) 조립공정에 사용되는 검사용 현미경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와이어는 리드프레임에 대해 $\pm$ 1 mm의 단차를 가진다. 이 때 리드프레임은 6배로 관찰하며, 와이어 부분은 2배로 관찰하고자 한다. 그러나 와이어의 단차로 인해 물체거리가 변하게 되며, 일반 광학계로는 배율도 변하게 된다. 물체거리가 변해도 동일한 배율을 가지는 광학계를 설계하기 위해 유한 물점용 3군 줌 광학계를 목적에 맞게 변형시켰다. (중략)

  • PDF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의 와이어 프레임에 대한 시각궤적의 분석 (Analysis of the visual trajectory of the wire frame of the major web portal sites)

  • 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2-385
    • /
    • 2016
  •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의 효율적이고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 UX 디자인)적 설계가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위하여 와이어 프레임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궤적과 주시빈도를 확인한다.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를 점유비율에 따라 세 가지를 제시하고 로고의 유무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을 제작하여 각 사이트의 화면분할과 정보영역을 분석한다. 시선추적 장치를 통해 총 6가지 와이어 프레임의 시각궤적 및 주시빈도를 확인하여 시선이 머무는 히트맵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의 디자인 설계시 페이지나 화면에 보이는 요소들의 효율적 배치를 위한 주시영역을 살펴본다.

  • PDF

개방형 구조를 갖는 복합다양체 모델러에서의 불리안 작업

  • 김재동;한순흥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2-797
    • /
    • 1996
  • 형상모델링(Geometric Modeling)은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실제 3차원 물체를 정확하게 표현하려는 형태로발전하였다. 와이어프레임 모델링(Wireframe Modeling) 기술은 3차원 형상을 빠르게 모델링하고 이로 부터 치수 기입이 된 정확한 2차원 도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면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모델의 표현이 모호해질 수 있다. 1960년대에 자유곡면의 가공을 위해 개발된 곡면 모델링(Surface Modeling) 기법은 NC 가공과 컴퓨터를 이용한 금형의 제작을 가능하게 했고 와이어프레임 모델링보다는 더 상세하게 모델 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구조를 갖는 복합다양체 모델러에서의 불리안 작업을 구현하고 이의 결과를 가시화 하는데 있으며 개략적인 개방형 형상 모델링 시스템 Fig.1과 같다

  • PDF

근육 모델 기반의 자연스러운 3차원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 (Realistic 3D Facial Expression Animation Based on Muscle Model)

  • 이혜진;정현숙;이일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65-268
    • /
    • 2002
  • 얼굴은 성별, 나이, 인종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개개인을 구별하기가 쉽고 내적인 상태를 쉽게 볼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여겨지고 있다. 본 논문은 얼굴표정 애니메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제얼굴의 피부조직 얼굴 근육 등 해부학적 구조에 기반한 근육기반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구성은 얼굴 와이어프레임 구성과 폴리곤 메쉬분할 단계, 얼굴에 필요한 근육을 적용시키는 단계, 근육의 움직임에 따른 얼굴 표정생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와이어프레임 구성과 폴리곤 메쉬 분할 단계에서는 얼굴모델을 Water[1]가 제안한 얼굴을 기반으로 하였고, 하나의 폴리곤 메쉬를 4등분으로 분할하여 부드러운 3D 얼굴모델을 보여준다. 다음 단계는 얼굴 표정생성에 필요한 근육을 30 개로 만들어 실제로 표정을 지을 때 많이 쓰는 부위에 적용시킨다. 그 다음으로 표정생성단계는 FACS 에서 제안한 Action Unit 을 조합하고 얼굴표정에 따라 필요한 근육의 강도를 조절하여 더 자연스럽고 실제감 있는 얼굴표정 애니메이션을 보여준다.

  • PDF

펜 기반 학습컨텐츠 상황에서의 향상된 전자 노트 작성 인터페이스 설계 연구 (A Study on Improving Electronic Notetaking Interface Design on Pen based learning contents situation)

  • 이선호;손원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19-22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펜 기반 학습컨텐츠(서책행 교과서를 기본으로 넣고 최소한의 기능만 첨가한 패드형태) 상황에서 전자노트 작성 프로그램의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자문, 자료 분석, 설문, 멘탈모델 기법을 통한 요구분석 후 개발목표와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개발목표와 요구사항 명세서를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작성하고 시나리오,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였으며, 전체적인 와이어프레임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와이어프레임을 종이 프로토타입을 제작을 통해 구현하고 사용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를 통해 도출된 사항은 보완을 하고 설계를 완료한다.

  • PDF

와이어프레임 기반의 3차원 형상제시기의 실시간 SMA 제어 (Real-time SMA control for wire frame-based 3D shape display)

  • 김영민;추용주;송재복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6
    • /
    • 2006
  • We developed wire frame drive unit based on SMA for the 3D Shape display. Our basic concept is wire frame combination connected with a chain form which can create various shapes and it compared with pin array mechanism which is not able to display mushroom shape. It imitates antagonist mechanism of human musculoskeletal system. we create similar motion using repair-relaxation mechanism and locking mechanism by SMA.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SMA control solution for actuating repair-relaxation mechanism and locking mechanism. In our control system. we use optical sensor and quantitative angle between wire frames for closed loop control. And we supply amplified current for SMA by circuit composed of transistor and apply PWM signal to circuit for efficient control. So, wire frame drive unit enable diversity angle control based on sensor data. And then combination of wire frame drive units will create various objects.

  • PDF

SMA을 이용한 3차원 형상제시기의 와이어프레임 구동 유닛 (Wire frame drive unit ofa SMA-based 3D shape display)

  • 추용주;김영민;송재복;박신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9-440
    • /
    • 2006
  • This research proposes a novel method of shape display to present 3-dimensional objects. Shape displays allow us to feel the actual volume of the object, unlike conventional 2D visual displays of 3D objects. The proposed method employs a wire frame structure to present 3D objects. The wire frame is composed of small units driven by shape memory alloy(SMA) actuators. The drive unit is analogous to the agonist-antagonist system of animal musculoskeletal systems, where the SMA actuators serve as agonist and antagonist muscles. The force in the SMA actuator is controlled by electrical current. The drive unit is equipped with the locking mechanism so that it can sustain the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user as well as the own weight of the wire frame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to the SMA actuator and locking mechanism, we call control the angle of the drive unit. A chain of drive units enables presentation of 2 dimensional objects. 3 dimensional presentations are possible by collecting the chains of drive units.

  • PDF

2차원 형상 제시를 위한 SMA에 기반한 와이어프레임 구조의 개발 (Development of SMA-based Wireframe Structure for 2D Shape Display)

  • 추용주;송재복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2-88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 of 2 dimensional shape display. Shape displays allow us to feel tile actual volume of the object, unlike conventional 2D visual displays of 3D objects. The proposed method employs a wireframe structure to present 2D or 3D objects. The wireframe is composed of small units driven by shape memory alloy (SMA) actuators. The drive unit is analogous to the agonist-antagonist system of animal musculoskeletal systems, where the SMA actuators serve as agonist and antagonist muscles. The force in the SMA actuator is controlled by electrical current. The drive unit is equipped with the locking mechanism so that it can sustain the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user as well as the own weight of the wireframe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to the SMA actuator and locking mechanism, we can control the angle of the drive unit. A chain of drive units enables presentation of 2 dimensional objects. 3 dimensional presentations are possible by collecting the chains of drive units.

온라인마켓의 UX설계를 위한 사용자의 주시빈도 분석 (Analysis of the User's Visual Attention Frequency for UX Design of Online Markets)

  • 하종수;반재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079-2084
    • /
    • 2016
  • 최근 디자인 트렌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 디자인으로 바뀌는 추세로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 설계 시 사용자가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디자인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메인 화면 구성 시 사용자경험 중심의 디자인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대표적인 온라인마켓을 선정하여 메인화면을 구성하는 정보요소를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주시빈도를 측정하는 시선추적방법을 이용하여 메인화면과 와이어프레임을 비교하며 시간에 따른 주시빈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분석한다. 실험의 결과 온라인 마켓의 메인 화면 설계 시 중요한 정보를 이미지나 움직이는 이미지로 가운데에 배치시켜 이용자의 주시를 집중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