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와류실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6초

자동차의 연소실 효율 향상을 위한 와류장치 연구 (Study on Vertex System for Improvement on Combustion Efficiency of Automobile)

  • 최해규;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05-607
    • /
    • 2011
  • 자동차의 연료비 절감 대책으로 연소 효율 증대를 위해서 연소실의 와류를 형성시켜주는 장치를 Modeling하여 유동해석을 실시하였다. 와류발생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형태의 Model과 와류발생장치의 형태가 다른 Model을 설계하였다. 와류발생장치는 공기의 연소실 흡입 전에 설치되어 와류발생장치의 날개에 의해 흡입공기를 휘감으며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와류발생자치를 사용함으로써 흡입 공기의 유동과 흡입행정의 압력분포를 해석하여 와류발생장치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와류실의 온도 분리 현상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emperature Separation Phenomenon in a Vortex Chamber)

  • 예아란;;김희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9호
    • /
    • pp.731-737
    • /
    • 2014
  • 와류실은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고온과 저온 가스로 분리할 수 있는 단순한 장치로, 차세대 새로운 열교환기로 각광받고 있으나, 와류실 내부에서 발행하는 물리적 유동특성에 대해 아직까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분리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공급 압력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압력 및 온도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CFD 기법을 적용하여 3차원 비정상 압축성 유동장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통해 온도 분리 현상은 점성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급 압력과 와류실의 직경에 영향을 받았으며, 와류실에서 발생하는 온도분리 현상은 압력구배파의 개념으로 확증할 수 없었다.

동축스월분사기에서 와류실 유무 및 노즐길이에 따른 연소특성 변화 (Combustio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 Swirl Chamber and Nozzle Length of Coaxial Swirl Injectors)

  • 임병직;서성현;최환석;최영환;이석진;김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5-340
    • /
    • 2005
  • 액체 로켓엔진 연소기에 적용되는 분사기 형상에 따른 연소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분사기는 동축와류형으로서 챔버 와류실의 유무와 노즐 길이에 의한 특성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챔버 와류실의 유무에 따라 닫힘형과 열림형으로 구분이 된다. 노즐 길이에 따른 변화는 산화제와 연료가 분사되는 노즐을 증가시킨 분사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소기는 분사기가 한 개만 장착된 단일분사기 헤드, 내열재 형식의 연소실, 냉각 유로를 가진 동 재질의 노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소실과 노즐의 외부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졌다.

  • PDF

자동차 연소실 효율 향상을 위한 와류장치 연구 (Study on Vortex Apparatus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Combustion Chamber of Automobile)

  • 최해규;국정한;유중학;김세환;김기선;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45-2950
    • /
    • 2011
  • 자동차의 연비개선을 위한 대책으로 연소 효율 증대를 위해서 흡입라인에 연소실의 와류를 형성시켜주는 장치를 모델링하였다. 와류발생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것과 와류발생장치의 형태가 다른 모델들을 각각 장착하여 유동해석을 실시한다. 와류발생장치는 공기의 연소실 흡입 전에 설치되어 와류발생장치의 날개에 의해 흡입공기를 휘감으며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와류발생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흡입 공기의 유동과 흡입행정의 압력분포를 해석하여 와류발생장치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다.

와류간섭에 의한 하이브리드로켓 연소 특성 (The Interaction of Vortex Shedding Behavior in Hybrid Rocket Combustion)

  • 박경수;이창진;신경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2년도 제3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44-248
    • /
    • 2012
  • 산화제 유동 변화를 위한 디스크를 예혼합실에 장착하여 디스크의 직경과 길이를 변경하며 PMMA/GOx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의 지상연소 시험을 수행하였다. 디스크에 의해 산화제 유동의 와류유출(vortex shedding)이 발생하여, 연소율과 압력 진동 등의 연소 특성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로켓에서 발생하는 유동간섭과 연소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연료 표면에 인접한 곳에서 발생하는 작은 크기의 와류와 예혼합실 안에서 발생하는 와류흘림과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실험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파력발전형 유공 부유식방파제의 발전효율 검토 (Hydraulic experiment on floating breakwater mounted wave-power generation)

  • 윤재선;하태민;예동완;이병욱;송현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4-2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방파제의 입사면과 전달면이 Slit으로 구성되어있어 유수실이 존재하는 투수성 부유식방파제에 대하여 2차원 자유도운동에 따른 발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입사파랑이 부유식방파제 유수실구간의 내부로 유입될 때 발생하는 강한 와류는 입사파랑의 주기와 파고가 증가할수록 궤적이 높고 길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부유식방파제 유수실구간 입사면과 전달면에 각각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수차를 설치하고 와류 발생에 따른 2차 에너지 생성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입사파랑의 내습에 따라 수차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주기가 긴 규칙파랑 실험조건(파고 0.1m, 주기 2.0sec)에서 약 0.5W 내외의 지속적인 전기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입구 와류발생과 질량분사가 있는 연소실 내부유동의 LES 해석 (LES for Turbulent Duct Flow with Surface Mass Injection and Vortex Shedding)

  • 몬킨우;구희석;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745-751
    • /
    • 2012
  • 하이브리드 로켓은 축 방향의 산화제 유동과 고체 연료의 기화로 인한 벽면 분출 유동사이의 상호 간섭에 의해 복잡한 형태의 혼합 전단층이 존재한다. 연소실 입구에 링이 설치되어 있고 질량분사가 있는 실린더 유동에 대하여 압축성 효과를 고려한 LES(Large Eddy Simul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최근의 실험에 의하면 연료 중간에 링과 같은 다이아프램이 설치된 경우, 연소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계산 결과에 따르면, 축방향 유동과 벽면 분출 유동이 상호 간섭하여 발생하는 벽면 와류가 국부적인 연료 표면으로의 열전달을 증가시켜 실험에서 관찰되는 딤플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소실 입구에 설치된 링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류는 벽면 와류가 보다 활발하게 생성되고 열전달과 혼합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 때문에 연소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인다.

와류실식 소형 디젤기관의 연소실 형상이 기관 성능에 미치는 영향(II) (The Effect of Combustion Chamber Shape on the Performance of Swirl Chamber in Diesel Engine(II))

  • 라진홍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3B호
    • /
    • pp.47-55
    • /
    • 1999
  • A study on swirl chamber for diesel engine is to realize lower fuel consumption and exhaust emission than the current marketing engines. Author formerly reporte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IDI diesel engine with swirl chamber by changing the jet passage area and its angle, and the depth and shape of the piston top cavity. Following after the first report,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fuel consumption, soot emission, and exhaust gas temperature were examined and analyzed after dimension of jet passage area expanded to $70.1mm^2$ The results were that the optimum values of the jet passage area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piston top cavity were different at each engine speeds and loads, and in accordance with application of engine running conditions they were able to be selected as optimum dimensions of each design parameters.

  • PDF

하이브리드로켓 연소실의 와류발생과 연소압력 진동 (Vortex sheddings and Pressure Oscillations in Hybrid Rocket Combustion)

  • 박경수;신경훈;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0-47
    • /
    • 2013
  • 하이브리드 로켓은 고체로켓과 매우 흡사한 내부유동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와류흘림(vortex shedding)은 하이브리드 로켓에서도 연소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연소실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연료 표면와류와의 간섭과 연소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기본 형상과 디스크를 장착한 실험 결과, 5개의 주파수 특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추진제의 열적지연에 의한 주파수, 디스크, 연료 단면, 후연소실 단면 변화에 의한 와류흘림과 관련된 주파수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디스크 1과 3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디스크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와류흘림이 연소실의 특정 주파수 특성과 상호 간섭하여 공진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경우에는 어떠한 간섭도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선택적 공진현상은 하이브리드 로켓의 비선형 연소안정성 발생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메카니즘으로 판단된다.

축류압축기 회전익의 후방유동장(I) - 누설와류의 궤적 (Floor Field Behind an Axial Compressor Rotor ( I );Locus of Tip Leakage Vortex)

  • 조강래;정의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963-96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누설와류는 유동에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손실로 된다. 누설 와류에 의한 손실은 다른 원인에 의한 손실에 비교하여 그 비중이 크다. 따라서 누 설와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설계영각(.alpha.=10.7˚)에서 절현비를 t/C=0.90와 2.71로 바꾸고, 또 절현비가 설계절현비 t/C=0.90일 경우에 영각을 설계 영각 .alpha.=10.7˚와 실 속점의 영각 .alpha.=18.9˚사이에서 바꾸어 회전익 후방의 회전유동장을 측정하여 누설와 류의 거동을 연구하였다.